본문내용
우주기관이다. 국가 예산의 0.5%, 매년 200억 달러 이상을 사용한다. 미국 국방성 소속의 우주군도 우주 산업의 큰손이다. NASA나 우주군과 같은 국가기관이 위성 발사나 기밀 프로젝트를 민간 기업에 의뢰하면서 우주 산업에 돈이 들어왔다. 따라서 NASA의 선택을 받는 것이 우주 기업에는 굉장히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인상깊었던 글귀를 적으며 마무리하고자 한다.
“부로 축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이룬 억만장자들이 있다. 그들은 기념비가 될만한 것을 개척하고 싶은 의욕에 불타올랐다. 인류는 항상 미지의 것을 찾아 깃발을 꽂으려 한다. 그리고 우주는 가장 크고 탐구되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다. 다만 이제야 무제한에 가까운 재력으로 우주 산업을 실현하겠다고 말하는 ‘개인’이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했을 뿐이다.”
우주 산업은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 특이하면서도 멋진 산업이다. 공군인 내게도 사고를 확장시켜줄 수 있는 계기가 된 흥미로운 책이었다. 곧 머지않은 미래에 몇백만 원을 내고 우주 여행을 떠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머스크가 목표로 하는 화성 이주 티켓 가격이 2억 원이라고 하는데, 화성으로 이민가는 사람들도 생기지 않을까? 미래가 정말 궁금해진다.
마지막으로 인상깊었던 글귀를 적으며 마무리하고자 한다.
“부로 축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이룬 억만장자들이 있다. 그들은 기념비가 될만한 것을 개척하고 싶은 의욕에 불타올랐다. 인류는 항상 미지의 것을 찾아 깃발을 꽂으려 한다. 그리고 우주는 가장 크고 탐구되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다. 다만 이제야 무제한에 가까운 재력으로 우주 산업을 실현하겠다고 말하는 ‘개인’이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했을 뿐이다.”
우주 산업은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 특이하면서도 멋진 산업이다. 공군인 내게도 사고를 확장시켜줄 수 있는 계기가 된 흥미로운 책이었다. 곧 머지않은 미래에 몇백만 원을 내고 우주 여행을 떠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머스크가 목표로 하는 화성 이주 티켓 가격이 2억 원이라고 하는데, 화성으로 이민가는 사람들도 생기지 않을까? 미래가 정말 궁금해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