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라지지 않을 전쟁의 상처
2. 아들 파슈카와 동물 이야기
3. 여성 중심의 스토리 전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1. 사라지지 않을 전쟁의 상처
2. 아들 파슈카와 동물 이야기
3. 여성 중심의 스토리 전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정말 주도적이지 못하는 역할이라는 점이 보였다. 마샤는 이 장면을 보면서 이바노비치를 택해 그와 아야를 통해 아이를 얻으려는 협박을 하게 되는데 이 상황에서도 이바노비치는 어쩔 수 없이 협박에 동조해주는 모습을 보였다.
세 번째는 영화 안에서 마샤의 연인으로 발전했던 샤샤 이다. 샤샤는 처음부터 주도적이지 않은 소극 적이고 외소한 모습으로 보였는데 착한 친구이긴 하지만 그는 경험이 없는 온실 속 화초였다. 샤샤는 귀족의 아들이기 때문에 전쟁 경험이 없다. 두 사람의 생활이 다르다는 점은 정말 사소해 보일 수 있는 식사 장면에서 보인다. 마샤가 샤샤에게 집에 초대해서 귀리죽을 대접하는데 샤샤는 귀족이기 때문에 귀리죽을 먹지 않는 모습이 보여 졌다. 귀리죽은 이야나 마샤에게는 귀중한 식품이었던 것에 반해 그에게는 그렇지 않았던 것이다. 사실 전쟁 전에는 귀리는 가축이 먹는 음식이었지만 전쟁 통에 도시가 봉쇄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먹을 수 밖에 없었던 음식인 귀리는 마샤와 샤샤가 얼마나 겪어 왔던 것이 다른지 알 수 있는 장면 이었다.
Ⅲ. 결론
만약에 이 영화의 부재를 붙인다면 ‘가장 차가운 색 그린‘ 이라고 붙이고 싶다. 영화 내용 전체에 색감은 두가지로 나온다. 아야는 그린색을, 마샤는 붉은 색을 상징하며 영화 전체에 집 배경에서도 초록색과 붉은 색이 섞여 나오게 된다. 초록색 이라는 것은 생명의 색이자 아야 에게는 마비가 되는 색으로 표현이 되었고, 마샤는 계속 피를 흘리는 상처를 가지고 있었던 사람이기 때문에 붉은 색으로 표시 되었던 것으로 보여 진다. 영화가 극에 달하면서 점점 붉은 색이 초록색을 먹는 것처럼 보였지만 중반에 귀리죽을 먹고 나서 부터는 두 사람의 옷의 색깔이 섞이기 시작하고 영화 끝부분에는 둘이 정 반대의 색을 입게 된다.
이런 색의 상징은 시각적 리듬과 의미를 상징한다. 영화는 전체적으로 설명적이지 않기 때문에 많은 의미를 생각하고 부여해서 보아야 하는 장면들이 많은데 이런 설명적이지 않은 영화에 강력한 이야기의 틀을 내재시키는 것이 색의 상징이었던 것 같다.
영화 내내 붉은 색 옷을 입고 있던 마샤가 녹색 드레스를 입고 한 바퀴를 도는 장면이 있는데 녹색 드레스를 입고, 도는 장면에서 자신이 가질 수 없는 색이지만 그녀의 욕망은 생명력 가득한 녹색의 드레스를 입고 싶다는 마음이 비추어졌었다. 하루 빌려 입고 마샤는 샤샤의 부모님을 만나러 가는데 그 날 코피가 흐른다. 그런 의미에서 생명을 갖고 싶지만 갖지 못하는 마샤의 이야기를 어쩌면 녹색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차가운 녹색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영화 빈폴은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에서 영감을 받아서 영화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 점과 부합하게 주인공인 여성들의 시선과 목소리를 통해 전쟁의 잔인함과 참혹함 그리고 여성이 견디어야 하는 무게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던 먹먹한 영화였다.
Ⅳ. 참고 자료
문근해, 필름 느와르의 바로크적 기원 (2010)
최명진, 영화 연출 요소를 적용한 전시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2005)
세 번째는 영화 안에서 마샤의 연인으로 발전했던 샤샤 이다. 샤샤는 처음부터 주도적이지 않은 소극 적이고 외소한 모습으로 보였는데 착한 친구이긴 하지만 그는 경험이 없는 온실 속 화초였다. 샤샤는 귀족의 아들이기 때문에 전쟁 경험이 없다. 두 사람의 생활이 다르다는 점은 정말 사소해 보일 수 있는 식사 장면에서 보인다. 마샤가 샤샤에게 집에 초대해서 귀리죽을 대접하는데 샤샤는 귀족이기 때문에 귀리죽을 먹지 않는 모습이 보여 졌다. 귀리죽은 이야나 마샤에게는 귀중한 식품이었던 것에 반해 그에게는 그렇지 않았던 것이다. 사실 전쟁 전에는 귀리는 가축이 먹는 음식이었지만 전쟁 통에 도시가 봉쇄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먹을 수 밖에 없었던 음식인 귀리는 마샤와 샤샤가 얼마나 겪어 왔던 것이 다른지 알 수 있는 장면 이었다.
Ⅲ. 결론
만약에 이 영화의 부재를 붙인다면 ‘가장 차가운 색 그린‘ 이라고 붙이고 싶다. 영화 내용 전체에 색감은 두가지로 나온다. 아야는 그린색을, 마샤는 붉은 색을 상징하며 영화 전체에 집 배경에서도 초록색과 붉은 색이 섞여 나오게 된다. 초록색 이라는 것은 생명의 색이자 아야 에게는 마비가 되는 색으로 표현이 되었고, 마샤는 계속 피를 흘리는 상처를 가지고 있었던 사람이기 때문에 붉은 색으로 표시 되었던 것으로 보여 진다. 영화가 극에 달하면서 점점 붉은 색이 초록색을 먹는 것처럼 보였지만 중반에 귀리죽을 먹고 나서 부터는 두 사람의 옷의 색깔이 섞이기 시작하고 영화 끝부분에는 둘이 정 반대의 색을 입게 된다.
이런 색의 상징은 시각적 리듬과 의미를 상징한다. 영화는 전체적으로 설명적이지 않기 때문에 많은 의미를 생각하고 부여해서 보아야 하는 장면들이 많은데 이런 설명적이지 않은 영화에 강력한 이야기의 틀을 내재시키는 것이 색의 상징이었던 것 같다.
영화 내내 붉은 색 옷을 입고 있던 마샤가 녹색 드레스를 입고 한 바퀴를 도는 장면이 있는데 녹색 드레스를 입고, 도는 장면에서 자신이 가질 수 없는 색이지만 그녀의 욕망은 생명력 가득한 녹색의 드레스를 입고 싶다는 마음이 비추어졌었다. 하루 빌려 입고 마샤는 샤샤의 부모님을 만나러 가는데 그 날 코피가 흐른다. 그런 의미에서 생명을 갖고 싶지만 갖지 못하는 마샤의 이야기를 어쩌면 녹색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차가운 녹색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영화 빈폴은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에서 영감을 받아서 영화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 점과 부합하게 주인공인 여성들의 시선과 목소리를 통해 전쟁의 잔인함과 참혹함 그리고 여성이 견디어야 하는 무게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던 먹먹한 영화였다.
Ⅳ. 참고 자료
문근해, 필름 느와르의 바로크적 기원 (2010)
최명진, 영화 연출 요소를 적용한 전시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2005)
추천자료
`오태석 연극의 미학적 지평(1막)`을 읽고
사회복지 실습일지 13회모음집 (A+자료)
[아동문제행동지도][아동문제행동][문제행동]문제행동의 정의와 아동문제행동에 대한 오해, ...
행정 사례 연구 12월 학급
지역사회복지 프로그램 분석 및 문제점 파악 후 사회복지프로그램 수정보완재구성
영화 여자, 정혜 속 정혜에 대한 인지행동치료모델 분석과 상담일지 9개와 상담과정 - 통합적...
[영화개론] 코치 카터 - 캐릭터 이미지 플롯 분석
그동안 상담 심리학 과목에서 배운 상담 기법을 적용하여, 자기 자신을 분석 후, 자신과의 대...
상담심리학_그동안 상담심리학 과목에서 배운 상담기법을 적용하여, 자기 자신을 분석한 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