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2.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 설명하시오.
2.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은 Wiggins와 McTighe가 처음 제안한 모델로 Tyler의 모델과 정반대 순서로 구성된다. 목표가 가장 우선되는 것은 동일하나 설계 순서는 \'목표-평가-수업\'의 역행 순서이다. 이 두 학자는 기존 개발 모델의 전형적인 순서를 바꾸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효과적인 설계는 교수, 학습활동을 계획하기에 앞서 학생들이 학습과정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결과가 무엇인지를 먼저 구체화해야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결론
본론에서 알아본것과 같이 사회와 학습자, 교과의 요소를 고려해 잠정적인 목표가 설정되어진다. 하지만 위와 같은 목표의 원천으로부터 설정할 수 있는 교육목표들은 중복되거나 모순되어질 수 있다.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모두를 학교교육에 실행하는 것은 학교교육의 제한성 때문에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세 가지 원천으로부터 추출해 놓은 목표들은 일관성과 중요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선별해야 한다. 이때 선별의 기준이 되는 것이 ‘학습심리’와 ‘교육철학’이다. 타일러는 교육목표의 설정에서 가치판단의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로서 ‘교육철학’을 상정하고, 또한 설정된 교육목표가 실제로 가르칠 수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장치로서 ‘학습심리학’을 제시하였다. 타일러는 잠정적으로 설정된 교육목표를 걸러내는 체(screen)의 역할을 교육심리학과 교육철학에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용남 외(2010), 교육심리학, 학지사.
J.S.Bruner(2004), 교육의 과정, 서울: 배영사.
이진주 외(2011). 교육과정 연구에서 내러티브의 정당화. 교육연구.
반면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은 Wiggins와 McTighe가 처음 제안한 모델로 Tyler의 모델과 정반대 순서로 구성된다. 목표가 가장 우선되는 것은 동일하나 설계 순서는 \'목표-평가-수업\'의 역행 순서이다. 이 두 학자는 기존 개발 모델의 전형적인 순서를 바꾸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효과적인 설계는 교수, 학습활동을 계획하기에 앞서 학생들이 학습과정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결과가 무엇인지를 먼저 구체화해야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결론
본론에서 알아본것과 같이 사회와 학습자, 교과의 요소를 고려해 잠정적인 목표가 설정되어진다. 하지만 위와 같은 목표의 원천으로부터 설정할 수 있는 교육목표들은 중복되거나 모순되어질 수 있다.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모두를 학교교육에 실행하는 것은 학교교육의 제한성 때문에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세 가지 원천으로부터 추출해 놓은 목표들은 일관성과 중요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선별해야 한다. 이때 선별의 기준이 되는 것이 ‘학습심리’와 ‘교육철학’이다. 타일러는 교육목표의 설정에서 가치판단의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로서 ‘교육철학’을 상정하고, 또한 설정된 교육목표가 실제로 가르칠 수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장치로서 ‘학습심리학’을 제시하였다. 타일러는 잠정적으로 설정된 교육목표를 걸러내는 체(screen)의 역할을 교육심리학과 교육철학에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용남 외(2010), 교육심리학, 학지사.
J.S.Bruner(2004), 교육의 과정, 서울: 배영사.
이진주 외(2011). 교육과정 연구에서 내러티브의 정당화. 교육연구.
추천자료
유아교육과정
(A+ 레포트, 유아교육)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시대별에 따른 교육기관
교육관에 따른 교사의 자질을 논하시고, 발달이론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시오. - ...
[교육과정 4학년 B형]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목표의 진술에 대해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을...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과정) 공통형,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과정) 공통형: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과정) 공통형: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