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총괄생산계획
2. 문제풀이
(1) 무재고 정책
(2) 무잔업정책
(3) 비용 최소화-혼합전략
(4) 결론
3. 참고문헌
2. 문제풀이
(1) 무재고 정책
(2) 무잔업정책
(3) 비용 최소화-혼합전략
(4) 결론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립절차를 보여준다.
2. 문제풀이
월별 생산능력과 수요량을 비교해 보면 표 1과 같다. 기초재고와 기말필요재고를 고려해야 하므로, 재고를 감안한 조정수요(adjusted demand)를 사용하여 생산계획을 설정해야 한다. 표 1을 보면, 1월과 6월을 제외하고 모든 월에서 평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수량의 수요가 발생한다. (평산생상능력은 : 월 800단위)
<표1>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합계
수요
1100
900
1200
1400
900
600
1200
1300
1200
1500
1000
1200
13,500
기초재고
기말필요재고
(-600)
(+)600
조정수요
500
900
1200
1400
900
600
1200
1300
1200
1500
1000
1800
13,500
연간 총수요량은 조정수요의 총합인 13,500이고, 연간 평상생산능력은 월 800개 * 12개월 = 9,600이며, 연간 잔업생산능력은 월 400개 * 12개월= 4,800이다. 연간 총생산능력은 주간작업 + 잔업소화로 = 14,400이다. 따라서 잔업 또는 재고 둘 중 어느 한 방법으로는 총수요를 충당할 수 없다. 즉, 생산량의 변동을 통한 잔업을 시행한 무재고 정책을 선택한다면, 이는 재고가 전혀 없다는 것이 아닌 재고 최소화 정책을 의미하게 되고,마찬가지로 재고비축을 통한 보관료 상승을통한 방법또한 무잔업 정책도 이와 같다.
(1) 무재고 정책
재고유지비용은 월/단위별 2만원으로 무재고 정책을 사용했을 때 생산계획으로, 1월, 4월, 12월을 제외하면 모두 재고가 발생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잔업만으로는 총수요를 대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무재고 정책을 선택할 경우 계산되는 총비용은 30,400만원이다.
(2) 무잔업정책
잔업생산비용은 월 400단위로 비용적인 측면을 계산해본다면 총수요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고만으로 부족하므로 잔업이 필요하다. 즉, 1월과 2월을 제외 한 모든 월에서 잔업을 시행 해야 한다. 무잔업정책의 총비용을 계산해보면 29,300만원이다.
(3) 비용 최소화-혼합전략
한가지 방법으로는 비용적인 부분을 해결 할 수없고 효율또한 최대한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확인이 된다. 최대한에 운영 계획을 위해서는 혼합전략으로도 판단 해봐야 한다. 총수요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잔업과 재고를 모두 활용해야 하므로, 이들의 혼합전략을 통해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첫번
2. 문제풀이
월별 생산능력과 수요량을 비교해 보면 표 1과 같다. 기초재고와 기말필요재고를 고려해야 하므로, 재고를 감안한 조정수요(adjusted demand)를 사용하여 생산계획을 설정해야 한다. 표 1을 보면, 1월과 6월을 제외하고 모든 월에서 평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수량의 수요가 발생한다. (평산생상능력은 : 월 800단위)
<표1>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합계
수요
1100
900
1200
1400
900
600
1200
1300
1200
1500
1000
1200
13,500
기초재고
기말필요재고
(-600)
(+)600
조정수요
500
900
1200
1400
900
600
1200
1300
1200
1500
1000
1800
13,500
연간 총수요량은 조정수요의 총합인 13,500이고, 연간 평상생산능력은 월 800개 * 12개월 = 9,600이며, 연간 잔업생산능력은 월 400개 * 12개월= 4,800이다. 연간 총생산능력은 주간작업 + 잔업소화로 = 14,400이다. 따라서 잔업 또는 재고 둘 중 어느 한 방법으로는 총수요를 충당할 수 없다. 즉, 생산량의 변동을 통한 잔업을 시행한 무재고 정책을 선택한다면, 이는 재고가 전혀 없다는 것이 아닌 재고 최소화 정책을 의미하게 되고,마찬가지로 재고비축을 통한 보관료 상승을통한 방법또한 무잔업 정책도 이와 같다.
(1) 무재고 정책
재고유지비용은 월/단위별 2만원으로 무재고 정책을 사용했을 때 생산계획으로, 1월, 4월, 12월을 제외하면 모두 재고가 발생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잔업만으로는 총수요를 대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무재고 정책을 선택할 경우 계산되는 총비용은 30,400만원이다.
(2) 무잔업정책
잔업생산비용은 월 400단위로 비용적인 측면을 계산해본다면 총수요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고만으로 부족하므로 잔업이 필요하다. 즉, 1월과 2월을 제외 한 모든 월에서 잔업을 시행 해야 한다. 무잔업정책의 총비용을 계산해보면 29,300만원이다.
(3) 비용 최소화-혼합전략
한가지 방법으로는 비용적인 부분을 해결 할 수없고 효율또한 최대한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확인이 된다. 최대한에 운영 계획을 위해서는 혼합전략으로도 판단 해봐야 한다. 총수요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잔업과 재고를 모두 활용해야 하므로, 이들의 혼합전략을 통해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첫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