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1_한국문화자원의이해1_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1_한국문화자원의이해1_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인가?

2.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인 한국과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불탑의 건립은 오대 십국 시대에도 마찬가지로 지속되었다.
일본은 나무가 많은 산지지형이었으며 외세의 침략 등 여러 요인에 의해서 중국에서 전래된 목탑형식이 지속해서 유지되었다. 대개 탑은 삼층과 오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탑의 형태는 사각형의 누각형태였다. 탑의 가운데에는 나무기둥인 심주가 있고 심주의 아래에 사리를 묻었다. 목탑의 특성상 화마와 전쟁, 자연재해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데 계속적으로 증축과 복원을 통해서 탑을 유지시켰다. 이러한 삼층, 오층목탑 이외에도 돌로만든 오륜탑, 각이 없는 무봉탑등 다양한 형태의 탑이 건립되었다.
8. 일반적인 탑의 명칭에서 알 수 있는 정보를 모두 기술하시오.
[정답] 사리, 인물, 건축양식, 보물, 탑 자체의 구조
[설명]
탑에는 여러 가지 보물을 봉안한다. 원래는 부처님의 사리, 즉 신골만을 봉안했지만 누구의 사리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신골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리 외에도 머리칼, 손톱, 발톱, 이는 물론, 법사리인 불경과 법신사리인 깨끗한 모래, 수정, 금, 은 등의 보 배까지 봉안했다. 사리는 작은 병이나 합에 넣고 이 병을 다시 내함과 외함에 차례로 넣어 사리공에 봉안한다.
탑 자체의 구조는 인도의 산치탑처럼 복발탑일 때와 목탑이나 석탑 등 여러 층일 경우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탑의 재료나 형식에 따라서도 구조가 다양하다. 공통적으로 탑은 기초가 되는 기단부와 중심인 탑신부, 그리고 꼭지를 장식하는 탑두부인 상륜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탑이란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트의 ‘스투파(stupa)를 한자음으로 옮긴 것인데 원래 ‘무덤’이란 뜻이다. 탑은 불교의 건축물로 원래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지은 건축물이었다. 이후 부처님의 사리가 여러 지방으로 옮겨지면서 여러 형태의 탑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대부분 네모난 기단을 다지고 그 위에 봉분에 해당하는 둥근 구조물을 얹고 다시 그 위에 우산 모양의 상륜부를 얹은 당시 인도의 무덤 형태를 따랐다. 이 구조는 탑이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는데, 중국의 목조건축양식 혹은 벽돌건축양식과 만나 둥근 구조물과 상륜부는 축소되어 탑의 지붕 위에 장식처럼 얹히게 되었다. 이들을 각각 목탑양식, 전탑양식이라 부른다. 이러한 방식의 탑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해졌고 이 두 양식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양식이 석탑이다.
9. 무불상시대에 불상 대신 예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들은 무엇인가?
[정답] 보리수, 탑, 금강보좌
[설명]
보리수(깨달은 붓다), 수레바퀴(설법하는 붓다), 사라쌍수(열반한 붓다)가 붓다를 대신하였다.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성도에 이르신 것도 보리수 아래이셨고 최초의 절 ‘죽림정사’도 대나무 숲에 지어졌으며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장소도 ‘사라쌍수’ 아래였으니 불교에서 나무가 차지하는 상징성은 상당히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부처님의 형상을 만들지 않았던 무불상 시대에 부처님을 표현했던 상징 중의 하나가 보리수였음은 이를 더욱 확연히 알게 해준다.
10. 석굴암 불상이 취하고 있는 수인은 무엇인가?
[정답] 항마촉지인
[설명]
직역하면 ‘마귀를 물리치고자 땅을 향해 손을 가르키는 모습’이다. 부처가 악마를 항복시키는 인상(印相)으로 왼손은 펴서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무릎에 올려놓고 오른손은 펴서 땅을 가리키는 모습이다.
석가모니가 성도하기 전에 비파라수 아래 금강좌에 앉아 선정인(禪定印)을 했다. 석가는 깨달음을 이루지 않으면 자리를 떠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이때 마왕 파순은 만약 석가가 성도하여 부처가 된다면 일체의 중생은 구제되고 마왕의 위력은 감퇴된다고 생각해 방해를 했다. 마왕은 3명의 미녀를 보내 쾌락으로 석가를 유혹하려고 했다.
이러한 시도가 성공하지 못하자 최후의 수단으로 악마 군사를 동원해 힘으로 쫓아내려 했다.
마왕은 \"나무 아래 앉아서 무엇을 구하는가. 너는 신성한 금강보좌에 앉을 가치가 없는 자이다\"라고 외쳤다. 석가모니는 \"천상 천하에 이 보좌에 앉을 수 있는 사람은 나 한 사람뿐이다. 지신이여 이를 증명하라\"고 하면서 선정한 오른손을 풀어서 오른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으로 땅을 향해 가르켰다.
참고문헌
신명호, 목경찬, 한필원, 안계복, 이장웅, 김윤미, 고운기, 권선정, 서인화, 박종성, 정형호, 김신연, 이재윤, 최은희, 한국문화자원의 이해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신명호, 이석호, 한국문화자원의 이해1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7.12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7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