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다시 한 번 안정을 찾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필리핀 대통령인 베니그노 아키노와 MILF의 지도자인 무라드 에브라힘은 마닐라의 대통령궁에서 예비 평화협정에 서명을 했고, 협정의 핵심 내용은 반군 거점인 남부 민다나오섬에 독립 국가를 건설하는 대신 이슬람 자치지역인 방사 모르주를 신설하는 것 이었다. 양측의 합의를 중재한 말레이시아는 필리핀 남부의 경제발전을 위한 지원도 약속하였다.
결론
필리핀의 모로 분쟁을 위에서 살펴보았다. 모로족은 이슬람 종교를 믿는 필리핀 내의 소수민족이다. 인구가 필리핀 전체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모로족은 다수에게 독립을 주장했고 이를 막으려는 다수와 투쟁을 하였다. 무력으로 이들을 제압하려는 다수에 맞서 무력으로 저항하였다. 3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그들은 토지와 종교, 정체성을 지키려 목숨을 바쳤다. 현재 모로족 분쟁은 소수의 반군이 존재하고 있지만 평화협정이 지속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조금씩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필리핀정부의 역할은 평화협정의 완전체결과 지원방침에 대한 실천이다. 또한 반군들의 협정을 체결한 MNLF 그리고 MILF 단체는 정부와 평화협정체결 이후 잔여 급진무장투쟁세력을 지속적으로 설득하여 더 이상의 희생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민족 간의 근본적인 평화구축방안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특히 모로족의 자치를 허용하는 과정에서 기득권의 침해에 불만을 품은 다수 가톨릭 주민들이 평화협정을 거부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 필리핀 내전의 완전종식을 위해서는 UN의 기술적인 지원 아래 이슬람 자치정부를 세우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필리핀의 소수민족의 해결과정은 앞으로의 다가올 세계사회에서 소수민족분쟁과 종교분쟁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종교적,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며 이러한 다른 나라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표본이 되어야 한다. 지나친 분리와 폭력성은 지양하고 타종교와 문화에 대해서 융통성 있고 개방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성철, 2003, 『필리핀』, 전주대학교 출판부
이삼열, 2005, 『아시아의 종교분쟁과 평화』, 오름
박성용, 2004, 『민다나오의 무슬림들은 왜 저항하는가? : 필리핀의 인종·종교갈등의 원인 :아시아의 분쟁지역과 종교문화 갈등의 이해』, 유네스코
한국이슬람학회, 2002, 『끝나지 않은 전쟁』, 청아출판사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2004, 『세계분쟁과 평화운동』, 아르케
결론
필리핀의 모로 분쟁을 위에서 살펴보았다. 모로족은 이슬람 종교를 믿는 필리핀 내의 소수민족이다. 인구가 필리핀 전체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모로족은 다수에게 독립을 주장했고 이를 막으려는 다수와 투쟁을 하였다. 무력으로 이들을 제압하려는 다수에 맞서 무력으로 저항하였다. 3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그들은 토지와 종교, 정체성을 지키려 목숨을 바쳤다. 현재 모로족 분쟁은 소수의 반군이 존재하고 있지만 평화협정이 지속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조금씩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필리핀정부의 역할은 평화협정의 완전체결과 지원방침에 대한 실천이다. 또한 반군들의 협정을 체결한 MNLF 그리고 MILF 단체는 정부와 평화협정체결 이후 잔여 급진무장투쟁세력을 지속적으로 설득하여 더 이상의 희생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민족 간의 근본적인 평화구축방안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특히 모로족의 자치를 허용하는 과정에서 기득권의 침해에 불만을 품은 다수 가톨릭 주민들이 평화협정을 거부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 필리핀 내전의 완전종식을 위해서는 UN의 기술적인 지원 아래 이슬람 자치정부를 세우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필리핀의 소수민족의 해결과정은 앞으로의 다가올 세계사회에서 소수민족분쟁과 종교분쟁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종교적,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며 이러한 다른 나라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표본이 되어야 한다. 지나친 분리와 폭력성은 지양하고 타종교와 문화에 대해서 융통성 있고 개방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성철, 2003, 『필리핀』, 전주대학교 출판부
이삼열, 2005, 『아시아의 종교분쟁과 평화』, 오름
박성용, 2004, 『민다나오의 무슬림들은 왜 저항하는가? : 필리핀의 인종·종교갈등의 원인 :아시아의 분쟁지역과 종교문화 갈등의 이해』, 유네스코
한국이슬람학회, 2002, 『끝나지 않은 전쟁』, 청아출판사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2004, 『세계분쟁과 평화운동』, 아르케
추천자료
디지털시대의 새로운 강자 휴맥스
[장애인편견][장애인인식]장애인편견(장애인인식)의 원인과 장애인편견(장애인인식) 이론 및 ...
[이슬람교][이슬람교 의례][이슬람교 문화][이슬람교 한국 전파]이슬람교의 개념, 이슬람교의...
[독일어][독어][문형론][동사][방향전치사][대문자]독일어의 문형론, 독일어의 불변화사 이동...
[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의 의미, 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
유아 교통안전교육의 개요와 유아 교통안전교육의 내용과 방법 - 교육의 개념 및 목표, 기본...
정보통신망 C형 드론 - Drone에 관하여 조사하고 Drone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에 ...
[국어국문학과] [방통대 공통학과 4학년 성 사랑 사회 A형] 여성의 (돌봄)노동이 종종 낮은 ...
2022년 2학기 제3세계의역사와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