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개를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선택하고, 사회복지사로서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이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공개를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선택하고, 사회복지사로서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이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보공개와 사전동의

2. 비밀보장의 정의

3. 비밀보장 관련 윤리강령과 법

4. 사회복지사로서 정보공개에 대한 반대의견과 이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개 시 어려움
① 정보의 제공은 전문가처럼 보이고자 하는 상담자의 욕구를 만족시킨다. 하지만 이것은 정보 발생과정에서의 내담자 역할을 무시하며 해를 끼치고 있는 것이다.
② 자신이 적격한 상담자가 되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고 느낀다. 하지만 상담자가 모든 것을 알지 못하는 경우라도, 그들은 내담자를 도울 수 있다. 정보제공은 상담자 역할의 작은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③ 피드백을 주는 데 있어 상담자가 가지는 다른 문제는 비판적이 되는 것이다. 상담자는 자신이 내담자보다 더 많이 알고 있음을 내포하고서 생색을 낼 수 있다.→상담자는 항상 자신의 문제와 욕구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내담자에 대한 자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④ 내담자가 들을 준비가 되어있고 정보를 사용할 수 있기도 전에 미리 정보를 주게 될 수 가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정보공개를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선택하고, 사회복지사로서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이유를 제시해 보았다. 사회복지사로서 정보공개를 해야 할 땐 정보를 주는 것의 적절성을 결정하고, 무엇이 당신으로 하여금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발시켰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내담자가 정보를 필요로 하고 원한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 내담자가 상황을 철저히 탐색하고 있는지 체크해야 한다. 내담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묻고, 스스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한 사람으로서 내담자를 여기고 그 정보에 바탕을 두고 정보를 제공한다. 내담자가 정보를 찾도록 격려하고, 지식을 적극적으로 얻는 것에 대해 가르쳐 주어야 한다.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예의바르고, 공감적이고, 정중해야 한다. 내담자와 협조적이로 상호작용적이 되고,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권위자로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자원으로서 행동해야 한다. 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내담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에 유의해야 하며 내담자가 잘 반응하지 않는다면, 당신의 중재를 수정할 준비를 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인규(2004). 내담자 권리에 대한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강진령, 이종연, 유형근, 손현동 (2009). 상담자 윤리. 서울: 학지사.
김봉환 (2002). 상담자 윤리강령 제정방안 탐색. 한국상담학회 연차대회 자료집, 58-77, 서울: 한국상담학회.
김옥진, 김형수, 김기민, 장성화(2011). 상담윤리 결정모델을 통한 상담자윤리교육의 필요성. 한국교육논총.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7.20
  • 저작시기202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8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