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Gardner 다중지능이론
2. 적성개발 및 진로 지도를 위해서 가장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이론 – 다중지능이론
1) 강점지능 활용 능력 향상
2) 지능의 조화를 통한 능력 발휘
3) 폭넓은 진로탐색
4) 적합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역량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Gardner 다중지능이론
2. 적성개발 및 진로 지도를 위해서 가장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이론 – 다중지능이론
1) 강점지능 활용 능력 향상
2) 지능의 조화를 통한 능력 발휘
3) 폭넓은 진로탐색
4) 적합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역량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의 적성과 능력에 알맞은 일을 선택,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평생 동안 학교와 지역사회가 노력하여 도와주는 경험들의 총체라고 정의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진로교육의 개념을 종합해 보면 진로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생활 방식과 인생의 설계를 현명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활동으로서, 자신의 성격 적성 등을 파악하게 하여 자기 이해를 돕고 직업세계를 탐색하여 앞으로의 직업과 관련을 분명히 해주는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진로교육이란 자신의 흥미, 적성, 능력을 발견하고 진로를 선택하는데 있어 개인적으로 필요한 지식, 기술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활동으로서 학생들은 이를 통해 직업세계를 탐색하여 준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앞으로의 직업에 관하여 개인의 자아실현과 건강한 사회실현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적성개발 및 진로 지도를 위해서 가장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이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제시해 보았다. 다중지능이론(Gardner, 2007)은 미국의 Howard Gardner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Gardner는 왼쪽 뇌와 관련된 IQ지능검사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보고 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중지능이론을 창시했다. Gardner는 두뇌 양쪽의 전반적인 기능을 모두 포괄하는 능력에 주목했고, 이들 능력 중 더 기초적이고 근원적인 능력 요소를 다중지능이라고 보았다. 다중지능과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윤인리(2004)는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이 가장 상관이 높았음을 보고하였고, 류숙희(1996), 김명희김양분(1996)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길호(2002)와 최정민(2001)의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의 모든 영역과 상관이 있으며, 자기성찰지능의 상관성의 특징을 주장한 결과는 최근 강조하고 있는 감성지능의 중요성을 타당하게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조선옥(1999)은 언어지능과 논리수학지능이 상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참고문헌
강소연 외(2019). 교육학개론. 파주: 양서원.
하순련 (2012). 다중지능 프로젝트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도서출판 파란마음.
김주현(200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은정(2011). 다중지능 기반 진로교육이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적성개발 및 진로 지도를 위해서 가장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이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제시해 보았다. 다중지능이론(Gardner, 2007)은 미국의 Howard Gardner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Gardner는 왼쪽 뇌와 관련된 IQ지능검사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보고 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중지능이론을 창시했다. Gardner는 두뇌 양쪽의 전반적인 기능을 모두 포괄하는 능력에 주목했고, 이들 능력 중 더 기초적이고 근원적인 능력 요소를 다중지능이라고 보았다. 다중지능과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윤인리(2004)는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이 가장 상관이 높았음을 보고하였고, 류숙희(1996), 김명희김양분(1996)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길호(2002)와 최정민(2001)의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의 모든 영역과 상관이 있으며, 자기성찰지능의 상관성의 특징을 주장한 결과는 최근 강조하고 있는 감성지능의 중요성을 타당하게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조선옥(1999)은 언어지능과 논리수학지능이 상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참고문헌
강소연 외(2019). 교육학개론. 파주: 양서원.
하순련 (2012). 다중지능 프로젝트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도서출판 파란마음.
김주현(200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은정(2011). 다중지능 기반 진로교육이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청소년인성교육 및 상담> 민호진로지도① Holland, ② Adler, ③Jung의 이론에 근거하여 설명하...
여학생 특기.적성 교육 과 인테넷 진로 탐색 프로그램 지도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교육)의 의미, 초등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초등학...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개념과 기본방침, 선택중심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선택중심교육과정의 ...
[생활지도 및 상담] 최종보고서 (진로카드별첨)
[심리검사 및 측정 공통] 자신에게 필요한 심리검사 2가지를 선택하여, 심리검사를 받고 검사...
[검사][인성검사][적성검사][성격검사][MBTI-성격유형검사][진로검사][가치관검사]인성검사, ...
[심리검사 및 측정 공통] 자신에게 필요한 심리검사를 2개 선택하여, 심리검사를 받고 검사결...
적성개발 및 진로지도를 위해서 가장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이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적성개발 및 진로 지도를 위해서 가장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이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