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질문
Ⅱ. 이론적 배경
1. 자기효능감과 도덕성의 개념
Ⅲ. 연구방법
1. 연구가설
2. 영가설
3.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도
4. 표집방법
5. 자료수집방법 혹은 서베이방법
6. 자료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해석 및 결론
1. 연구질문
Ⅱ. 이론적 배경
1. 자기효능감과 도덕성의 개념
Ⅲ. 연구방법
1. 연구가설
2. 영가설
3.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도
4. 표집방법
5. 자료수집방법 혹은 서베이방법
6. 자료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해석 및 결론
본문내용
학과 학생들의 도덕성과 전공 성적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알파는 .05 수준에서 사회복지 학생의 전공 성적은 도덕성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3. 요인변량분석
<표8> [사회복지학생(자기효능감vs전공성적)
구분
통제소재
N
평균(M)
표준편차(SD)
자기효능감
2.0이상
3.0미만
7
2.9388
.20886
3.0이상
4.0미만
15
3.0254
.38554
4.0이상
3
3.0635
.11984
F-value
F(2,22) = .219 p< .805
: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이 정적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알파는 .05 수준에서 사회복지 학생의 전공 성적은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4. 요인변량분석
<표9> 경영학생(자기효능감vs전공성적)
구분
통제소재
N
평균(M)
표준편차(SD)
자기효능감
2.0이상
3.0미만
9
3.1005
.22392
3.0이상
4.0미만
15
3.0190
.16672
4.0이상
1
2.8095
-
F-value
F(2,22) = .219 p= .805
: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이 정적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알파는 .05 수준에서 경영학과 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전공 성적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독립표본 T검증
<표10> 사회복지학생 [성별 vs 도덕성 및 자기효능감]
구분
통제소재
N
평균(M)
표준편차(SD)
도덕성
여자
15
3.3630
.22941
남자
10
3.3111
.18694
t-value
t(23) = .594 p= .558
: 추가적으로 도덕성에 관련하여 다른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에 따른 도덕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알파는 .05 수준에서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성별에 따른 도덕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구분
통제소재
N
평균(M)
표준편차(SD)
도덕성
성공
3
3.3148
.26401
실패
4
3.3611
.19378
t-value
t(5) = - .270, p= .798
5. 실험 성공 유무 결과<표11>
: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도덕성 실험을 진행 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공인원수는 3명으로 평균은 3.3148, 표준편차는 .26401이다. 실패인원수는 4명으로 평균은 3.3611, 표준편차는 .19378 으로 도덕성 실험의 성공 유무 결과 도덕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표본의 수가 너무 없었다.
Ⅴ. 해석 및 결론
* 해석
Ⅴ-1. <표5>, <표6>, <표10>을 통한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한 검증
독립표본 T검정은 두 집단 간에 평균이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분석이다.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과에 따른 사회복지학과와 경영학과의 도덕성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었다.
<표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과에 따른 사회복지학과 경영학과의 자기효능감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지 못하였다.
<표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성별에 따른 도덕성 차이를 알아본 결과이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지 못하였다.
Ⅴ-2. <표8>, <표9>의 결과를 통한 유의성 검사
요인변량분석은 알지 못하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문항이나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이 높은 문항이나 변인들을 묶어서 몇 개의 요인으로 규명하고 그 요인의 의미를 부여하는 통계방법이다. <표8>, <표9>는 변수를 2개 이상 설정한 요인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이다.
<표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복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지 못하였다.
<표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영학과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 25명과 **대학교 경영학 전공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네이버 폼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도덕성과 자기효능감이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를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과 경영학 전공 학생들을 비교함으로써 보다 사회복지학과만의 고유한 특성이자 가치인 도덕성과 자기효능감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예상대로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과 경영학 전공 학생들을 비교한 결과 도덕성에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대학교 사회복지 전공 학생들이 경영학 전공 학생들보다 도덕성이 높다.
둘째, 연구 결과 사회복지학과와 경영학과의 도덕성 점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자기효능감 점수, 사회복지 학생의 전공 성적과 도덕성의 관계, 사회복지 학생의 전공 성적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경영학과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과 경영학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네이버폼 온라인 설문조사와 실험을 한 결과,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설정했던 요인들 모두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덕성 실험 성공 여부를 살펴 본 결과 도덕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이 결론은 표본의 수가 7명으로 적은 편이기 때문에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덕성 실험을 했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도덕성과 사회복지 전공 성적은 정적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과 경영학 전공 학생들을 비교한 결과 도덕성에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나온 것에 따라 **대학교 사회복지 전공만의 고유한 가치인 개인의 도덕성을 보다 강조하는 사회복지 교육에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
3. 요인변량분석
<표8> [사회복지학생(자기효능감vs전공성적)
구분
통제소재
N
평균(M)
표준편차(SD)
자기효능감
2.0이상
3.0미만
7
2.9388
.20886
3.0이상
4.0미만
15
3.0254
.38554
4.0이상
3
3.0635
.11984
F-value
F(2,22) = .219 p< .805
: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이 정적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알파는 .05 수준에서 사회복지 학생의 전공 성적은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4. 요인변량분석
<표9> 경영학생(자기효능감vs전공성적)
구분
통제소재
N
평균(M)
표준편차(SD)
자기효능감
2.0이상
3.0미만
9
3.1005
.22392
3.0이상
4.0미만
15
3.0190
.16672
4.0이상
1
2.8095
-
F-value
F(2,22) = .219 p= .805
: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이 정적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알파는 .05 수준에서 경영학과 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전공 성적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독립표본 T검증
<표10> 사회복지학생 [성별 vs 도덕성 및 자기효능감]
구분
통제소재
N
평균(M)
표준편차(SD)
도덕성
여자
15
3.3630
.22941
남자
10
3.3111
.18694
t-value
t(23) = .594 p= .558
: 추가적으로 도덕성에 관련하여 다른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에 따른 도덕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알파는 .05 수준에서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성별에 따른 도덕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구분
통제소재
N
평균(M)
표준편차(SD)
도덕성
성공
3
3.3148
.26401
실패
4
3.3611
.19378
t-value
t(5) = - .270, p= .798
5. 실험 성공 유무 결과<표11>
: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도덕성 실험을 진행 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공인원수는 3명으로 평균은 3.3148, 표준편차는 .26401이다. 실패인원수는 4명으로 평균은 3.3611, 표준편차는 .19378 으로 도덕성 실험의 성공 유무 결과 도덕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표본의 수가 너무 없었다.
Ⅴ. 해석 및 결론
* 해석
Ⅴ-1. <표5>, <표6>, <표10>을 통한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한 검증
독립표본 T검정은 두 집단 간에 평균이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분석이다.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과에 따른 사회복지학과와 경영학과의 도덕성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었다.
<표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과에 따른 사회복지학과 경영학과의 자기효능감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지 못하였다.
<표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성별에 따른 도덕성 차이를 알아본 결과이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지 못하였다.
Ⅴ-2. <표8>, <표9>의 결과를 통한 유의성 검사
요인변량분석은 알지 못하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문항이나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이 높은 문항이나 변인들을 묶어서 몇 개의 요인으로 규명하고 그 요인의 의미를 부여하는 통계방법이다. <표8>, <표9>는 변수를 2개 이상 설정한 요인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이다.
<표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복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지 못하였다.
<표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영학과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검증되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 25명과 **대학교 경영학 전공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네이버 폼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도덕성과 자기효능감이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를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과 경영학 전공 학생들을 비교함으로써 보다 사회복지학과만의 고유한 특성이자 가치인 도덕성과 자기효능감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예상대로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과 경영학 전공 학생들을 비교한 결과 도덕성에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대학교 사회복지 전공 학생들이 경영학 전공 학생들보다 도덕성이 높다.
둘째, 연구 결과 사회복지학과와 경영학과의 도덕성 점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자기효능감 점수, 사회복지 학생의 전공 성적과 도덕성의 관계, 사회복지 학생의 전공 성적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경영학과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공 성적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과 경영학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네이버폼 온라인 설문조사와 실험을 한 결과,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설정했던 요인들 모두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덕성 실험 성공 여부를 살펴 본 결과 도덕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이 결론은 표본의 수가 7명으로 적은 편이기 때문에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덕성 실험을 했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도덕성과 사회복지 전공 성적은 정적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과 경영학 전공 학생들을 비교한 결과 도덕성에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나온 것에 따라 **대학교 사회복지 전공만의 고유한 가치인 개인의 도덕성을 보다 강조하는 사회복지 교육에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
추천자료
진로 자기 효능감 이론에 관한 개괄적 이해
[독일][독일문화][독일의 문화][독일의 역사][독일의 교통][독일의 교육]독일에 관한 분석 고...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의 성격, 목표, 현황과 실업계고등...
[대학교육, 대학교육과 재정, 대학교육 현황, 대학교육 문제 개선방안, 대학교육에 임하는 대...
[북한][관혼상제][음식문화][식생활][주거문화][주생활][명절][연예인][교육기관]북한의 관혼...
프랑스의 교육 제도
사범대(사대, 사범대학교) 전공과목, 사범대(사대, 사범대학교)와 정보소양, 사범대(사대, 사...
[대학교육][대학도서관][문화교육][섬유공학교육]대학교육의 개혁, 대학교육의 목표, 대학교...
K대학교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학 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 정신분석적 이론을 바탕으로 왜 어떤 어린이들은 ‘등교거부’를 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