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는 역사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
[서론]
I. 역사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론]
I. 우리 사회와 역사
II. 역사의 올바른 활용 방식
III. 더 나은 역사의 활용 방식을 위한 노력
[결론]
I. 역사와 우리 삶
[출처 및 참고문헌]
[서론]
I. 역사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론]
I. 우리 사회와 역사
II. 역사의 올바른 활용 방식
III. 더 나은 역사의 활용 방식을 위한 노력
[결론]
I. 역사와 우리 삶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변화를 지양한다면, 안주한다면 당장에는 괜찮을 수 있겠지만 결국에는 쇠하게 된다. 우리는 변화를 지향함으로써, 수많은 시도를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아이들이 역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상황을 그리고 그 역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우리는 고민하고 고찰하고 바꾸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는 것이다.
[결론]
I. 역사와 우리 삶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예측할 수 있고, 현재의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의 한계에 의해 우리가 우리의 경험 아래에서 볼 수 있는 과거는 기껏해야 하나 혹은 둘 정도밖에 없다. 이에 하나 혹은 둘의 과거가 아닌 수많은 사람의 과거가 집합된 결정을 다루는 학문이 존재하고 그것이 역사라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역사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과 함께 과거에 그러했다는 사실을 벗어나 우리는 그것을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수많은 전쟁이 왜 일어나게 되었고, 기술의 발전은 왜 일어났으며, 우리의 삶이 이렇게 흘러가게 된 계기 그것이 바로 역사라는 집합체이다. 우리의 판단 기준은 과거의 우리 삶뿐만 아니라 과거의 수많은 다른 사람들의 결정체로부터 판단을 내려야 하고, 넓게 나아가서 국가 또한 과거의 수많은 사례, 역사로부터 성공의 과실을 얻기 위해 장점만을 취합하여 나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역사라는 학문을 다루는 방식과 받아들이는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 자신의 살아갈 방향에 맞게 역사를 분석하고, 그 역사를 통해 나와 비슷한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았던 관점을 배워야 한다.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익히기도 쉽지 않은 시점에서 다른 사람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그것들을 취합해서 더 나은 나의 미래를, 사회의 미래를, 세계의 미래를 추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역사라는 학문이다. 우리는 역사라는 학문을 잘못 이해하고, 배우고 있다. 역사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고, 무엇을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우리는 생각해보아야 한다.
우리는 역사를 잘못 알고 있었다. 역사라는 학문에 대하여, 그것의 활용 방식을 생각해보지 않았고, 그저 사실만을 받아들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우리는 이를 잘못된 것으로 규정하고 이 잘못된 부분을 고치기 위해 나아가야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1) E.H.카 저, 김택연 역,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2015.03
[결론]
I. 역사와 우리 삶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예측할 수 있고, 현재의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의 한계에 의해 우리가 우리의 경험 아래에서 볼 수 있는 과거는 기껏해야 하나 혹은 둘 정도밖에 없다. 이에 하나 혹은 둘의 과거가 아닌 수많은 사람의 과거가 집합된 결정을 다루는 학문이 존재하고 그것이 역사라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역사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과 함께 과거에 그러했다는 사실을 벗어나 우리는 그것을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수많은 전쟁이 왜 일어나게 되었고, 기술의 발전은 왜 일어났으며, 우리의 삶이 이렇게 흘러가게 된 계기 그것이 바로 역사라는 집합체이다. 우리의 판단 기준은 과거의 우리 삶뿐만 아니라 과거의 수많은 다른 사람들의 결정체로부터 판단을 내려야 하고, 넓게 나아가서 국가 또한 과거의 수많은 사례, 역사로부터 성공의 과실을 얻기 위해 장점만을 취합하여 나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역사라는 학문을 다루는 방식과 받아들이는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 자신의 살아갈 방향에 맞게 역사를 분석하고, 그 역사를 통해 나와 비슷한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았던 관점을 배워야 한다.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익히기도 쉽지 않은 시점에서 다른 사람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그것들을 취합해서 더 나은 나의 미래를, 사회의 미래를, 세계의 미래를 추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역사라는 학문이다. 우리는 역사라는 학문을 잘못 이해하고, 배우고 있다. 역사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고, 무엇을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우리는 생각해보아야 한다.
우리는 역사를 잘못 알고 있었다. 역사라는 학문에 대하여, 그것의 활용 방식을 생각해보지 않았고, 그저 사실만을 받아들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우리는 이를 잘못된 것으로 규정하고 이 잘못된 부분을 고치기 위해 나아가야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1) E.H.카 저, 김택연 역,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2015.03
추천자료
[역사란무엇인가] 역사란무엇인가 서평
[역사학개론] 역사에 관한 질문을 통한 역사에 대한 이해 - 역사란, 역사형성, 진행, 역사학...
(역사란무엇인가 감상) 카의 역사란무엇인가 저자 E.H. 카
역사란무엇인가 비평(카의 역사란무엇인가)(E.H 카의 역사란무엇인가)
『역사란 무엇인가』 _ 에드워드 H 카 (Edward Hallett Carr) 저 [전체 내용 요약 및 감상문]
역사란 무엇인가-EH카
[독후감] E.H카(에드워드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독후감] E. H 카의‘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역사란 무엇인가 - EH카 (까치) 책을 읽고, 에세이 주제로 한 편의 논설문 혹은 소논문을 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