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론 독후감 (국부론 내용요약과 기억에 남는 문장 5가지와 나의생각 / 국부론 비판과 새롭게 알게된 내용 및 독후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부론 독후감 (국부론 내용요약과 기억에 남는 문장 5가지와 나의생각 / 국부론 비판과 새롭게 알게된 내용 및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부론 책소개

2. 국부론 내용요약

3. 국부론에서 기억에 남는 문장 5가지와 나의생각

4. 국부론을 읽고 새롭게 알게된 내용

5. 책내용 비판

6. 국부론 독후감

본문내용

만을 보아도 그렇다. 세계 최고, 최대 컴퓨터 회사도 그런 실패작을 내놓을 때가 있다. 그리고 업계의 이런 사업 실패는 비단 빌게이츠만의 문제도 아니고 늘상, 빈번하게 일어난다.
6. 국부론 독후감
우리나라의 국민들의 임금이 낮아지고 있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리는데 그럼 우리나라는 급속히 후퇴하고 있다는 것인가? 세금은 높아지는데 임금은 낮아지고. 참 걱정이다. 몇 년 전에 가족이 크리스마스 선물로 보드게임인 [인생게임]을 선물받았는데, 그 게임을 하다가 세금을 내는 게 걸릴 때가 주로 있었다. 그때 토지세와 건물세를 낼 때가 있었는데, 국부론을 읽으면서 이게 그거구나 싶었다. 스미스가 말한 네 가지 조세에 대한 조건을 보자면 연애인들 같은 더 능력있는 사람들은 세금을 더 낸다는 건가? 그런데 요즘은 이리저리 부패가 번져가니 그렇다 해도 꼬박꼬박 알맞게 잘 내는지는 모르겠다. 최근에 집에서 만화 [애덤 스미스의 경제 노트] 라는 책을 읽고 왔다. 읽으면서 [국부론]에서 본 내용들 중 기억나는 걸 떠올리며 연결하며 읽어보니까 전보다 더 쉽게 이해가 되었다. 그리고 [국부론]에서 자세히 나오지 않았거나 나오지 않은 부분들도 있어서 참고가 되었다. 하지만 그래도 나에게는 꽤 어려운지라 이번주에 가서 다시 읽어보도록 해야겠다. 가장 이해가 잘 된 부분은 ‘분업’ 이었다. [국부론] 에서나 [애덤 스미스 경제 노트]에서나 분업에 대해서 잘 설명을 해주어서인지, 그리고 분업이라는 것 자체가 우리 실생활속에서도 많이 적용되고 있어서일지도 모르겠다. [애덤 스미스 경제 노트]를 따르면 분업의 단점은 맡은 일만 게속 단순히 반복하니 일에 대한 흥미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라 했다. 아직도 좀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중농주의와 중상주의에 대한 것들이다. 아, 생각난 김에 적는데 중농주의에 사냥도 포함이 되나? 또한 임금, 이윤, 지대의 가치에 대한 것도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아무리 만화로 풀어썼다고 해도 역시 수준은 고전이다. 이해가 될 듯 하면서 안 되는. 경제나 정치 등 사회에 관련된 것은 [달빛 조각사] 라는 책이랑 여러모로 연결이 되는 것 같다. [마키아벨리 군주론] 은 특히 재미있으리만큼 많이 연결되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국부론으로도 꽤 크고작은 연결고리가 있었다. 식민지 경영에 대한 부분은 꽤나 흥미로웠다. 만약 일본이 우리나라를 식민지 삼았을 적에 영국이 아메리카 대륙을 식민지로 삼고 있었을 때 다스리던 방식으로 다스렸다면 우리나라는 지금쯤 엄청나게 발전해 있었겠지? 아마 영국이 아니었다면 지금의 미국은 없었을지도 몰랐겠다. 그러면 세계 최고 국가는 중국이었을까? 정말, 한 나라의 경제가 어떤가가 나라 미래를 좌지우지하는데 그걸 스미스가 정말 잘 알았던 것 같다. 통행료 부분에서는 아 이게 스미스의 아이디어였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고속도로를 지날 때마다 내는 게 도로 유지를 위한 통행료구나 하고 다 연결이 되었다. 사실 어릴 땐 아빠가 통행료를 내시는 게 좀 못마땅하기도 했었다. 안 그래도 기름값까지 나가는데 왜 통행료까지 내야 하는지를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다. 아마 그때 나는 우리나라가 엄청 부자인 줄 알았나보다. 그런데 도로 공사라는 것이, 어떨 때 하는 것일까? 자주 안 하지만 한 번에 많은 자금이 필요한가보다. 거의 맨 앞에서 이기심에 대해 언급된 그 내용이 꽤 인상깊었다. 고린도전서 13장에 사랑은 이기적이지 않다고 했는데 크리스천이었던 스미스가 이기심을 중요시 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크리스천이면 이기심은 무조건 버려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적당히는 필요한 건가? 하지만 스미스의 설명과 여기서 나온 예화를 보니 왜 그런지 이해가 되었다.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8.23
  • 저작시기2023.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1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