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 Fraud and Vulnerability Assessment(vaccp, 식품사기 프로세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Food Fraud and Vulnerability Assessment(vaccp, 식품사기 프로세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직도
- 책임과 권한
2. 목적과 역할
3. 관리주기 및 도구
- 관리 매트릭스
4. 식품사기 사례별 리스크 관리
- 예방조치 및 관리방법
5. 원재료, 부재료, 포장재별 리스크 관리
- 예방조치 및 관리방법
6. vaccp 결정도
7. 모니터링 방법

본문내용

본문내용
1.1 책임과 권한
1.1.1 대표이사
1) VACCP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자원의 제공
2) 팀장의 부재(공석) 시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1.1.2 구매팀
1) VACCP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자원의 제공
2) 신규 원/부자재, 기존 원/부자재 업체 이력관리
3) VACCP 프로그램에 적합한 원/부자재 구매

1.1.3 팀장
1) VACCP 프로그램 총괄 운영
2) 관련 기준서의 제ㆍ개정에 대한 지시, 검토 및 최종 승인
3) VACCP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자원의 배분
4) 모니터링 및 검증활동에 대한 승인
5) QA파트장, 공무파트장 및 생산관리담당 부재 시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1.1.4 QA파트장
1) VACCP 프로그램에 필요한 선행요건 작성
2) VACCP 프로그램의 개발, 실행 및 검증
3) VACCP 프로그램에 따른 부서별 업무 담당자에 대한 교육, 훈련
4) VACCP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요한 부서별 역할분담 및 그 실행과 결과의 검토
5) 검증의 결과에 따른 VACCP 프로그램 절차 및 관련 기준서의 수정과 변경
6) 협력업체에 대한 식품사기관련 사례 점검

1.1.5 생산관리담당
1) 생산 공정에 대한 감시활동과 개선조치
2) 제품 회수절차 유지
3) 원/부자재 구매업무
4) 원부재료 및 포장자재 반입, 보관 중 VACCP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5) 완제품 취급, 보관, 출고 관련 VACCP 프로그램 관리
6) 가공파트장 부재 시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1.1.6 가공파트장
1) 제조시설 및 설비의 점검관리
2) 생산계획 별 제품에 대한 규격 준수
3) 허가된 원/부자재 사용관리
  • 가격5,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3.09.02
  • 저작시기2019.10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1221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