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쌍극자모멘트의 정렬 상태
3. 열적 요동과 퀴리온도
4. Rowland 고리와 순수 자기쌍극자에 의한 자기장
5. 자기구역
6. 이력 곡선
2. 쌍극자모멘트의 정렬 상태
3. 열적 요동과 퀴리온도
4. Rowland 고리와 순수 자기쌍극자에 의한 자기장
5. 자기구역
6. 이력 곡선
본문내용
아니며 일정하지 않게 배치된 많은 작은 결정의 집합체이다. 이를 다결정 고체라고 한다. 다결정 고체를 이루는 각각의 작은 결정은 각기 다양한 방향을 갖는 구역으로 배열되어 있다. 만일 이러한 시료를 크기가 점점 커지는 외부 자기장에 놓으면 외부 자기장 방향의 구역이 확장되거나 각각의 구역 내 있는 자기쌍극자가 외부 자기장의 방향에 가깝도록 방향을 바꿀 것이다.
6. 이력 곡선
외부 자기장 가 주입되었다가 사라져도 강자성 물질의 자기화곡선은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그림 3]에서 보는 것처럼 초기 상태(점a) 외부 자기장이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이때 강자성 물질은 의 식을 근거로 점 b의 상태가 될 때까지 토로이드의 전류를 증가시킨다. 이후 외부 자기장이 사라지면 곡선을 따라 점 c를 통과하고 더 나아가 점 d의 수준까지 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이후 점 e를 통과하며 전류를 0으로 감소시킨 다음 전류의 방향을 다시 한번 바꾸어 점 b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렇게 [그림 3]에서 보는 것처럼 강자성 물질이 외부 자기장을 받았으나 외부자기장이 제거되어도 원래 상태(a)로 되돌아가지 않는 특성을 이력이라고 하며 이때 곡선 bcdeb를 이력곡선이라고 한다.
6. 이력 곡선
외부 자기장 가 주입되었다가 사라져도 강자성 물질의 자기화곡선은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그림 3]에서 보는 것처럼 초기 상태(점a) 외부 자기장이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이때 강자성 물질은 의 식을 근거로 점 b의 상태가 될 때까지 토로이드의 전류를 증가시킨다. 이후 외부 자기장이 사라지면 곡선을 따라 점 c를 통과하고 더 나아가 점 d의 수준까지 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이후 점 e를 통과하며 전류를 0으로 감소시킨 다음 전류의 방향을 다시 한번 바꾸어 점 b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렇게 [그림 3]에서 보는 것처럼 강자성 물질이 외부 자기장을 받았으나 외부자기장이 제거되어도 원래 상태(a)로 되돌아가지 않는 특성을 이력이라고 하며 이때 곡선 bcdeb를 이력곡선이라고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