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구계
2. 층으로 이루어진 지권
3.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4. 암석을 이루는 광물
5. 풍화작용
6. 토양
7.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
8. 지진의 규모와 진도
9. 지진대와 화산대
10. 판의 경계
2. 층으로 이루어진 지권
3.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4. 암석을 이루는 광물
5. 풍화작용
6. 토양
7.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
8. 지진의 규모와 진도
9. 지진대와 화산대
10. 판의 경계
본문내용
후, 해수가 증발하여 남은 염이 결정화되며 나타나는 풍화작용
- 바람과 해수에 의한 침식작용
- 식물 뿌리에 의한 물리적 풍화작용
ㆍ화학적 풍화작용(암석의 성분 변화를 동반하는 풍화작용)
- 용해작용 : 지하수가 암석 내 일부 성분을 녹이면서 이루어지는 풍화작용
- 산화작용 : 암석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이루어지는 풍화작용
- 생물에 의한 화학적 풍화작용
- 가수분해작용 : 암석이 물과 반응한 후, 분해되며 나타나는 풍화작용
ㆍ풍화가 잘 일어날 조건
- 표면적이 넓을 것
- 광물 결정 구조가 약할 것
- 암석 내부와 바깥의 압력차이가 클 것
- 바람이나 해수의 흐름이 강할 것
- 산성비
- 암석이 분해되기 쉬운 광물로 구성될 것
- 고온다습할 것
ㆍ기온이 높은 지역, 습한 지역 → 화학적 풍화 우세
ㆍ기온이 낮은 지역, 건조한 지역 → 물리적 풍화 우세
6. 토양
ㆍ암석이 풍화작용을 받아 잘게 부서지며 생성
ㆍ표토 : 생물 활동이 매우 활발한 층
ㆍ심토
- 표토 아래 깔린 토양층
- 유기물질과 부식토가 없음 → 표토보다 밝은 색을 띰
- 표토의 물질이 침강하여 만들어진 층
ㆍ모질물 : 암석의 풍화로 돌조각과 모래로 이루어진 층
ㆍ기반암 : 풍화작용을 거의 받지 않은 암석층
ㆍ단면 순서 : 기반암 → 모질물 → 심토 → 표토
ㆍ생성 순서 : 기반암 → 모질물 → 표토 → 심토
7.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
ㆍ베게너
- 대륙과 해양의 기원
- 남미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해안선 모양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통해 대륙이동설 주장
ㆍ대륙이동설
- 과거 지구상의 모든 대륙이 하나로 붙어 있었음(판 게아)
- 과거 어느 시기에 여러 대륙으로 분리되어 현재와 같은 모습을 띰
ㆍ베게너가 제시한 대륙이동설의 증거
- 해안선 굴곡의 유사성
- 고생물 화석 분포
- 지질 구조의 연속성
- 빙하의 흔적 분포
ㆍ베게너는 지구의 자전에 의한 원심력과 달과 태양의 조석력에 의한 조석 마찰로 인해 대륙이 이동함을 주장 → 학계에서는 받아들이지 않음
ㆍ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해저 탐사를 위한 음향 측심법 발달
- 해저 지형의 정밀한 탐사 시작
- 해저 확장설
ㆍ대륙을 포함한 지구의 겉 부분 → 판
ㆍ판이 이동하면서 대륙이 천천히 움직이고 있음을 알게 됨(판 구조론)
8. 지진의 규모와 진도
ㆍ지진
- 강한 충격 및 단층 활동으로 인해 땅이 흔들리는 현상
- 지하 내부의 탄성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발생
ㆍ진원 : 지진이 최초로 발생한 지점
ㆍ진앙 : 지진 발생 지점의 지표
ㆍ규모
- 지진이 발생한 지점에서 방출된 에너지의 양
- 진앙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 없이 일정
- 숫자로 표시 → 숫자가 클수록 강한 지진
ㆍ진도
- 지진이 발생했을 때 땅이 흔들린 정도, 피해 정도
- 지진이 발생한 지점에서 가까울수록 진도 증가
- 로마자로 표시 → 마찬가지로 숫자가 클수록 피해 정도가 큼
9. 지진대와 화산대
ㆍ지진대 :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을 연결한 띠
ㆍ화산대 : 화산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을 연결한 띠
ㆍ전 세계에서 지진과 화산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 → 태평양 연안
ㆍ환태평양 지진대 혹은 환태평양 화산대
-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화산활동의 70% 이상 발생
- 불의 고리
10. 판의 경계
ㆍ판
- 지각과 맨틀의 상부를 이루고 있는 암석층
- 유동성 있는 연약권의 유동에 따라 움직임
- 지구에는 대략 10여 개의 판이 존재
- 중 판들의 이동 방향과 속도가 다름 → 판의 경계 형성
ㆍ판의 경계
- 판의 경계에서 지진과 화산활동이 발생
- 판의 경계와 지진대, 화산대는 거의 일치
-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ㆍ발산형 경계
- 두 판이 서로 벌어지는 곳
- 새로운 지각이 생성
- 장력 작용
- 대륙 : 열곡
- 해양 : 해령
- 지진(천발지진)과 화산활동이 빈번
ㆍ수렴형 경계
- 두 판이 서로 수렴하는 곳
- 지각이 소멸
- 횡압력 작용
- 대륙과 대륙 충돌(대륙 충돌대)
→ 지진 발생,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음
→ 습곡 산맥 형성
→ 알프스-히말라야 산맥
- 대륙과 해양 충돌(섭입대)
→ 지진 발생, 화산 발생
→ 화산호 형성
→ 안데스 산맥, 일본 열도
- 해양과 해양 충돌(섭입대)
→ 지진 발생, 화산활동 발생
→ 화산호 형성
→ 필리핀 열도, 인도네시아
ㆍ보존형 경계
- 두 판의 이동 방향이 서로 반대 → 어긋나는 경계
- 지각의 충돌과 소멸이 일어나지 않음
- 주로 발산형 경계 사이에 존재
- 변환단층 형성
- 지진 발생, 화산은 발생하지 않음
- 바람과 해수에 의한 침식작용
- 식물 뿌리에 의한 물리적 풍화작용
ㆍ화학적 풍화작용(암석의 성분 변화를 동반하는 풍화작용)
- 용해작용 : 지하수가 암석 내 일부 성분을 녹이면서 이루어지는 풍화작용
- 산화작용 : 암석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이루어지는 풍화작용
- 생물에 의한 화학적 풍화작용
- 가수분해작용 : 암석이 물과 반응한 후, 분해되며 나타나는 풍화작용
ㆍ풍화가 잘 일어날 조건
- 표면적이 넓을 것
- 광물 결정 구조가 약할 것
- 암석 내부와 바깥의 압력차이가 클 것
- 바람이나 해수의 흐름이 강할 것
- 산성비
- 암석이 분해되기 쉬운 광물로 구성될 것
- 고온다습할 것
ㆍ기온이 높은 지역, 습한 지역 → 화학적 풍화 우세
ㆍ기온이 낮은 지역, 건조한 지역 → 물리적 풍화 우세
6. 토양
ㆍ암석이 풍화작용을 받아 잘게 부서지며 생성
ㆍ표토 : 생물 활동이 매우 활발한 층
ㆍ심토
- 표토 아래 깔린 토양층
- 유기물질과 부식토가 없음 → 표토보다 밝은 색을 띰
- 표토의 물질이 침강하여 만들어진 층
ㆍ모질물 : 암석의 풍화로 돌조각과 모래로 이루어진 층
ㆍ기반암 : 풍화작용을 거의 받지 않은 암석층
ㆍ단면 순서 : 기반암 → 모질물 → 심토 → 표토
ㆍ생성 순서 : 기반암 → 모질물 → 표토 → 심토
7.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
ㆍ베게너
- 대륙과 해양의 기원
- 남미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해안선 모양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통해 대륙이동설 주장
ㆍ대륙이동설
- 과거 지구상의 모든 대륙이 하나로 붙어 있었음(판 게아)
- 과거 어느 시기에 여러 대륙으로 분리되어 현재와 같은 모습을 띰
ㆍ베게너가 제시한 대륙이동설의 증거
- 해안선 굴곡의 유사성
- 고생물 화석 분포
- 지질 구조의 연속성
- 빙하의 흔적 분포
ㆍ베게너는 지구의 자전에 의한 원심력과 달과 태양의 조석력에 의한 조석 마찰로 인해 대륙이 이동함을 주장 → 학계에서는 받아들이지 않음
ㆍ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해저 탐사를 위한 음향 측심법 발달
- 해저 지형의 정밀한 탐사 시작
- 해저 확장설
ㆍ대륙을 포함한 지구의 겉 부분 → 판
ㆍ판이 이동하면서 대륙이 천천히 움직이고 있음을 알게 됨(판 구조론)
8. 지진의 규모와 진도
ㆍ지진
- 강한 충격 및 단층 활동으로 인해 땅이 흔들리는 현상
- 지하 내부의 탄성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발생
ㆍ진원 : 지진이 최초로 발생한 지점
ㆍ진앙 : 지진 발생 지점의 지표
ㆍ규모
- 지진이 발생한 지점에서 방출된 에너지의 양
- 진앙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 없이 일정
- 숫자로 표시 → 숫자가 클수록 강한 지진
ㆍ진도
- 지진이 발생했을 때 땅이 흔들린 정도, 피해 정도
- 지진이 발생한 지점에서 가까울수록 진도 증가
- 로마자로 표시 → 마찬가지로 숫자가 클수록 피해 정도가 큼
9. 지진대와 화산대
ㆍ지진대 :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을 연결한 띠
ㆍ화산대 : 화산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을 연결한 띠
ㆍ전 세계에서 지진과 화산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 → 태평양 연안
ㆍ환태평양 지진대 혹은 환태평양 화산대
-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화산활동의 70% 이상 발생
- 불의 고리
10. 판의 경계
ㆍ판
- 지각과 맨틀의 상부를 이루고 있는 암석층
- 유동성 있는 연약권의 유동에 따라 움직임
- 지구에는 대략 10여 개의 판이 존재
- 중 판들의 이동 방향과 속도가 다름 → 판의 경계 형성
ㆍ판의 경계
- 판의 경계에서 지진과 화산활동이 발생
- 판의 경계와 지진대, 화산대는 거의 일치
-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ㆍ발산형 경계
- 두 판이 서로 벌어지는 곳
- 새로운 지각이 생성
- 장력 작용
- 대륙 : 열곡
- 해양 : 해령
- 지진(천발지진)과 화산활동이 빈번
ㆍ수렴형 경계
- 두 판이 서로 수렴하는 곳
- 지각이 소멸
- 횡압력 작용
- 대륙과 대륙 충돌(대륙 충돌대)
→ 지진 발생,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음
→ 습곡 산맥 형성
→ 알프스-히말라야 산맥
- 대륙과 해양 충돌(섭입대)
→ 지진 발생, 화산 발생
→ 화산호 형성
→ 안데스 산맥, 일본 열도
- 해양과 해양 충돌(섭입대)
→ 지진 발생, 화산활동 발생
→ 화산호 형성
→ 필리핀 열도, 인도네시아
ㆍ보존형 경계
- 두 판의 이동 방향이 서로 반대 → 어긋나는 경계
- 지각의 충돌과 소멸이 일어나지 않음
- 주로 발산형 경계 사이에 존재
- 변환단층 형성
- 지진 발생, 화산은 발생하지 않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