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해왕성의 형성
3. 내부구조
4. 대기
5. 자기권
6. 고리
7. 위성
2. 해왕성의 형성
3. 내부구조
4. 대기
5. 자기권
6. 고리
7. 위성
본문내용
- 대기 대순환에 의해 형성
- 낮은 고도의 대류권에서 생성
- 거대한 소용돌이 구조
- 현재는 소멸하였다고 추정
5. 자기권
ㆍ자기축 → 자전축에 약 47˚ 기울어짐
ㆍ자기중심
- 행성의 물리적 중심에서 13,500km떨어져 있음
ㆍ핵 중심 부근의 전기 전도성 액체
- 암모니아, 메테인, 물의 화합물
ㆍ태양풍을 상쇄하는 자기권계면
- 23~36.5RN의 지점
ㆍ자기권의 말단 최소 72RN의 지점
6. 고리
ㆍ애덤스 고리
→ 해왕성 중심부에서 63,000km
ㆍ르베리에 고리
→ 해왕성 중심부에서 53,000km
ㆍ규산염+탄화수소+얼음조각
ㆍ굉장히 불안정한 고리
- 약한 충격에도 사라지고 나타나기를 반복
7. 위성
ㆍ14개의 위성 발견
ㆍ네레이드, 라리사, 프로테우스, 트리톤
ㆍ제1위성:트리톤(triton)
- 가장 무거운 위성
- 위성 질량의 99.5%이상 차지
- 윌리엄 러셀이 발견
- 트리톤 → 역행 궤도 운동
→ 해왕성의 중력에 포획된 미행성
ㆍ트리톤의 표면온도:38K
ㆍ네레이드(Nereid)
- 불규칙하게 생김(정역학 평형 유지(X))
- 이심률이 매우 큼(0.7512)
ㆍ프로테우스(Proteus)
- 자체 질량으로 구형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
- 낮은 고도의 대류권에서 생성
- 거대한 소용돌이 구조
- 현재는 소멸하였다고 추정
5. 자기권
ㆍ자기축 → 자전축에 약 47˚ 기울어짐
ㆍ자기중심
- 행성의 물리적 중심에서 13,500km떨어져 있음
ㆍ핵 중심 부근의 전기 전도성 액체
- 암모니아, 메테인, 물의 화합물
ㆍ태양풍을 상쇄하는 자기권계면
- 23~36.5RN의 지점
ㆍ자기권의 말단 최소 72RN의 지점
6. 고리
ㆍ애덤스 고리
→ 해왕성 중심부에서 63,000km
ㆍ르베리에 고리
→ 해왕성 중심부에서 53,000km
ㆍ규산염+탄화수소+얼음조각
ㆍ굉장히 불안정한 고리
- 약한 충격에도 사라지고 나타나기를 반복
7. 위성
ㆍ14개의 위성 발견
ㆍ네레이드, 라리사, 프로테우스, 트리톤
ㆍ제1위성:트리톤(triton)
- 가장 무거운 위성
- 위성 질량의 99.5%이상 차지
- 윌리엄 러셀이 발견
- 트리톤 → 역행 궤도 운동
→ 해왕성의 중력에 포획된 미행성
ㆍ트리톤의 표면온도:38K
ㆍ네레이드(Nereid)
- 불규칙하게 생김(정역학 평형 유지(X))
- 이심률이 매우 큼(0.7512)
ㆍ프로테우스(Proteus)
- 자체 질량으로 구형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