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실습 (A+) 당뇨병 케이스 사례 연구 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 실습 (A+) 당뇨병 케이스 사례 연구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1) 일반적 자료
(2) 대상자와 면담
(3) 사회적 지지 체계
(4) 부양자 정보
(5) 대상자의 건강력
(6) 계통별 고찰
(7) 노인 사정 도구
(8) 진단검사
(9) 약물

Ⅳ. 간호문제 도출

Ⅴ. 간호과정

Ⅵ. 느낀점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마다 혈당을 체크하여 정상 혈당을 유지하도록 한다
혈당 조절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치료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3. 상처에 대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드레싱을 시행한다
당뇨로 인한 발 궤양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주위 피부로 번지거나, 나았음에도
재발될 확률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4. 대상자의 통증 부위에 Ice bag을 30분 적용 후, 10분 휴식 간격으로 적용한다.
냉요법은 통증 유발 화학물질의 감소와 통증
자극의 전도를 늦춤으로써,
통증, 염증, 근육경련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교육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5. 대상자에게 당뇨의 합병증 중 하나인 당뇨발의 예후, 합병증, 치료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당뇨에 대한 지식부족을 해결할 수 있고,
당뇨관리를 꾸준히 할 수 있다.
6. 상처 회복을 위해 당 조절이 필요함을 교육한다
효과적인 당 조절을 통해
상처 회복기간을 줄일 수 있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발 상태를 사정하였다.
2. BST를 측정하였다. - 23.03.22시간
6:00
11:00
14:30
20:00
혈당 수치
221
137
335
352
3. 상처 부위를 dressing하여 통증의 원인을 완화시키도록 하였다.
4. 냉요법을 적용하여, 통증을 경감시켰다.
5. 대상자에게 당뇨발의 예후와 합병증, 치료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관련된 교육 자료를 제공하였다.
6. 효율적인 당 조절을 위해, 대상자의 협조가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단기
대상자는 2일 내로 통증의 정도를 표현하고, 통증이 경감된다.
NRS점수가 5점에서 2점으로 경감되었다. (달성)
대상자는 2일 내로 당뇨발 통증 관리법에 대한 내용 1가지를 말할 수 있다.
발이 건조하거나 갈라질 때, 보습크림이나 로션을 발라야 함을 말할 수 있다.
(달성)
장기
대상자는 6일 내로 FBS이 100mg/dL 이하로 내려간다.
FBS 221mg/dL에서 145mg/dL로 감소했다. (미달성)
대상자는 6일 내로 식후 BST가 200mg/dL 이하로 내려간다.
식후 BST 335mg/dL에서 197mg/dL로 감소했다. (달성)
#1. 통증
#2. 자가간호 결핍
건강
사정
주관적 자료
“교환식이가 뭔데요?”
“짜게 먹는 것이 익숙한 걸요~”
“간식을 안 먹으면 허전해요”
“운동은 거의 안하죠”
객관적 자료
교환식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적은 있지만,
교환식이에 대해 물어봤을 때 전혀 숙지를 하지 못하고 있음
주로 침대에 앉아있거나 누워있음
평소 짜고 자극적인 음식을 즐겨 먹고, 입원 중에도 몰래 간식을 자주 섭취함
항상 주머니에서 간식을 넣고 다님
간호진단
부적절한 혈당 관리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간호목표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 당뇨와 관련된 식이조절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동안 간식 섭취를 중단한다.
장기
대상자는 6일 이내 적절한 당뇨식이를 실천한다.
대상자는 6일동안 매일 30분간 걷기운동을 실천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평소 대상자의 식단을 사정한다.
식단을 사정하면서 대상자 또한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2. 매일 혈당을 4회 측정한다.
BST를 매일 측정함으로써 환자에게 혈당관리의 중요성을 자각할 수 있게 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치료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3. 간식섭취를 제한하고, 당뇨식이로 총 열량 섭취량을 조절한다.
당뇨식이를 통해 정상혈당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설탕 및 과당같은 경우는 혈당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므로 제한하도록 한다.
4.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운동은 근육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켜,
인슐린을 촉진하여 혈당을 감소시킨다.
교육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5. 대상자에게 당뇨식이와 올바른 영양교육을 실시한다.
올바른 영양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당뇨식이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 올바른 당뇨식단을 지키도록 한다.
환자의 당뇨식이에 대한 실천의욕을 고취한다.
간호수행
대상자에게 매일 식단일기를 적도록 하고,
대상자와 식단일기를 검토하면서 스스로의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다.
하루에 4번 혈당을 측정하였다. (6AM-11AM-14:30PM-21PM)시간
6:00
11:00
14:30
20:00
혈당 수치
178
265
335
280
- 23.03.24
3-1. 군것질을 좋아하는 대상자를 위해, 점심 간식으로 바나나와 우유를 제공하고,
저녁 간식으로는 사과 및 방울토마토를 제공하였다.
3-2. 교환식이를 통해 같은 식품군 내에서 식품을 골라 섭취하도록 하였다.
4. 병원 내 정원 자주 걷기, 병원 내 맨손 체조 등 운동프로그램을 연계하였다.
5. 식품교환단위 표를 이용해,
같은 식품군 안에서는 식이를 교환할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 당뇨와 관련된 식이조절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혈당 수치를 낮추기 위해 식이조절이 필요함을 안다. (달성)
대상자는 2일동안 간식 섭취를 중단한다.
하루만에 당 함유량이 높은 음료수를 섭취함 (미달성)
장기
대상자는 6일 이내 적절한 당뇨식이를 실천한다.
교환식이를 통해 꾸준히 당뇨식단을 시행함 (달성)
대상자는 6일동안 매일 30분간 걷기운동을 실천한다.
병원 밖 정원을 돌아다니는 등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였음 (달성)
Ⅶ. 참고문헌
1.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 당뇨병 (2023.03.22.)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96
2.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당뇨병 (2023.03.22.)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60
3. 대한당뇨병학회
https://www.diabetes.or.kr/
4. 2023 힐팁.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ealtip@naver.com
http://www.healtip.co.kr/
5. 동방메디칼 당뇨정보센터
https://www.healthpeople.co.kr/new/index.htm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3.09.04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2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