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공학의 정의
- 초기 교육공학
- 근대 교육공학
- 현대 교육공학
2. 중요한 키워드 세 가지 교육공학의 새로운 명칭 제안
- 효과성과 효율성 추구
- 평가
- 자원의 관리
- 교육공학
참고문헌
- 초기 교육공학
- 근대 교육공학
- 현대 교육공학
2. 중요한 키워드 세 가지 교육공학의 새로운 명칭 제안
- 효과성과 효율성 추구
- 평가
- 자원의 관리
- 교육공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사례는 매우 많이 존재할 것이다. 어떻게 보면 교수-학습 과정 중의 어떠한 활동이라도 ‘자원의 관리’에 해당하는 사례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나는 ‘자원의 관리’가 교육공학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키워드라고는 생각하기는 하지만, 해당 키워드를 바꾸어 명명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아예 해당 키워드를 삭제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원의 관리’는 교육공학에서 다루는 모든 분야의 활동을 아울러 표현할 수 있는 교육공학의 대표 키워드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 너무 광범위한 표현이라는 데에도 동의하는 바이다. 즉, 교육공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람이 학습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자원의 관리’라는 표현이 존재하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면 오히려 여러 단계가 상호작용하며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공학에 의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따로 이를 지칭하는 표현이 없는 것이 전반적인 교육공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 교육공학
교육공학이라는 학문이 발생했을 당시, 교육공학은 교육적 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이었다. 즉, 정말 교육이라는 범위 내에서 공학과 유사한 사고 과정을 갖는 학문이었다. 그러나 연구를 거듭하고, 시간이 지나며 교육공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 공학과는 거리가 있는 학문이 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좀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과정에 투입되는 자본을 관리하고 평가하며 전반적인 과정을 점차 개선해나가는 경영학에 가까운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때문에 ‘교육공학’이라는 용어는 해당 학문이 발생했을 당시에는 학문을 잘 설명하는 단어였지만, 현대에 와서는 학문의 내용이나 영역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해당 용어가 생겼을 때보다 더 넓은 영역을 다루게 되었는데, 용어는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로 ‘교육 경영’을 교육공학을 대체하는 용어로 제시하려 하였으나, 이는 학교 내의 교사 조직에 대한 운영 전략과 관련된 영역을 다루는 학문으로 이미 존재하는 상황이어서 교육공학을 대체해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차선책으로 제시하는 단어는 ‘교육체제’ 또는 ‘교육시스템’이다. 체제, 시스템은 체계적인 방법이나 조직, 또는 제도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 단어를 통해서라면 교육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는 학문임을 잘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해당 용어를 제시하게 되었다.
해당 학문을 지칭하는 용어를 ‘교육공학’에서 ‘교육체제’ 또는 ‘교육시스템’으로 바꾸게 된다면 학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에도 용어를 들었을 때 ‘교육공학’이라는 용어에서는 알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체제’, ‘시스템’이라는 용어에서 해당 학문이 단순히 교육적 목표 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 아닌, 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며 그를 개선하기 위한 학문임을 눈치챌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의안 자료
따라서 나는 ‘자원의 관리’가 교육공학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키워드라고는 생각하기는 하지만, 해당 키워드를 바꾸어 명명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아예 해당 키워드를 삭제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원의 관리’는 교육공학에서 다루는 모든 분야의 활동을 아울러 표현할 수 있는 교육공학의 대표 키워드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 너무 광범위한 표현이라는 데에도 동의하는 바이다. 즉, 교육공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람이 학습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자원의 관리’라는 표현이 존재하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면 오히려 여러 단계가 상호작용하며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공학에 의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따로 이를 지칭하는 표현이 없는 것이 전반적인 교육공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 교육공학
교육공학이라는 학문이 발생했을 당시, 교육공학은 교육적 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이었다. 즉, 정말 교육이라는 범위 내에서 공학과 유사한 사고 과정을 갖는 학문이었다. 그러나 연구를 거듭하고, 시간이 지나며 교육공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 공학과는 거리가 있는 학문이 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좀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과정에 투입되는 자본을 관리하고 평가하며 전반적인 과정을 점차 개선해나가는 경영학에 가까운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때문에 ‘교육공학’이라는 용어는 해당 학문이 발생했을 당시에는 학문을 잘 설명하는 단어였지만, 현대에 와서는 학문의 내용이나 영역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해당 용어가 생겼을 때보다 더 넓은 영역을 다루게 되었는데, 용어는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로 ‘교육 경영’을 교육공학을 대체하는 용어로 제시하려 하였으나, 이는 학교 내의 교사 조직에 대한 운영 전략과 관련된 영역을 다루는 학문으로 이미 존재하는 상황이어서 교육공학을 대체해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차선책으로 제시하는 단어는 ‘교육체제’ 또는 ‘교육시스템’이다. 체제, 시스템은 체계적인 방법이나 조직, 또는 제도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 단어를 통해서라면 교육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는 학문임을 잘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해당 용어를 제시하게 되었다.
해당 학문을 지칭하는 용어를 ‘교육공학’에서 ‘교육체제’ 또는 ‘교육시스템’으로 바꾸게 된다면 학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에도 용어를 들었을 때 ‘교육공학’이라는 용어에서는 알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체제’, ‘시스템’이라는 용어에서 해당 학문이 단순히 교육적 목표 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 아닌, 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며 그를 개선하기 위한 학문임을 눈치챌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의안 자료
추천자료
[경영용어][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해설][경제][경영]경영경제용어(경영용어, ...
[웹사이트]웹사이트(Web Site)의 구성, 웹사이트(Web Site)의 성공요소, 웹사이트구축(Web Si...
[문헌정보학과][문헌][문헌정보학과 연혁]문헌정보학과의 연혁, 문헌정보학과의 교육목표, 문...
사회 관계망 분석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사례 분석
사티어 모델을 중심으로 한 경험적 가족치료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4학년 B형] 영유아교육기관 운영과 관련된 신문기사 3개를 골라서 내...
[교육공학] 2021년 기말결시자 추가과제물, 1. 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교육공학이 무엇이고...
[교육공학] 2021년 기말결시자 추가과제물, 1. 고등학교 학생에게 교육공학을 설명하기 위한 ...
지역사회 간호과정 보고서
정보처리기사 필기 핵심요약정리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