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영상론 영상의 환유법과 은유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진영상론 영상의 환유법과 은유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게 쇼트들을 연결하는 기법을 몽타주라고 한다. 몽타주는 영화에서의 환유법이라고 할 수 있다. 감독이 어떤 효과를 기대하느냐에 따라 액션을 잘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쇼트들을 빠르게 전환하기도 하고 과감하게 쇼트를 삭제함으로써 관객들이 사건의 상황을 비약적으로 이해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한은실. \"알프레드 히치콕 작품 속, 서스펜스 구현을 위한 몽타주 기법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서울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다리오 아르젠토가 연출한 1997년 작(作) <서스페리아(Suspiria)>는 내러티브의 극적 변화와 인물의 심리적 충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영화미술에 신경을 썼다. 영화 <서스페리아>의 주요 장면들을 살펴보면 발레학교의 로비 공간은 M.C에셔의 1921년 작 <부활절의 꽃-아름다운(Flor de Pascua-Beatiful)>을 차용하여 회오리치는 모양의 바닥 타일을 통해 혼돈에 빠진 주인공의 심리를 보여준다. 또한, 살인사건에도 평상을 유지하는 발레학교의 이상한 기운이 새겨진 붉은색 기숙사 벽은 선과 악이 공존하는 모호한 이미지를 상징하고 주인공이 미궁 속으로 빠지고 있음을 암시하는데 이는 에셔의 1938년 작 <하늘과 물(Sky & Water)>를 차용한 것이다. 심형근.(2023).영화로 가는 미술, 미술로 가는 영화-다리오 아르젠토와 비토 아콘치의 작품들을 통해 본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23(4),p.78
이처럼 영화에서 이미지 구성은 프레임 내에 배치된 모든 시각적 구성을 의도적으로 배열하는데 이를 미장센Muse-en-Scene이라고 한다. 미장센은 피사계 심도를 이용한 전경, 중경, 배경의 상관성 관계까지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이미지의 의도성을 배가한다. 미장센은 영화에서의 은유법이라고 할 수 있다.
3. 참고문헌.(1996). .임상훈. (2004). 현대 언어학에 기여한 야콥슨의 은유와 환유에 관한 연구, 그리고 문제점. 수사학, no.1
강유정.(2019).영화에서의 은유와 환유.새국어생활,29(4)
심형근.(2023).영화로 가는 미술, 미술로 가는 영화-다리오 아르젠토와 비토 아콘치의 작품을 통해 본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23(4)
한은실. \"알프레드 히치콕 작품 속, 서스펜스 구현을 위한 몽타주 기법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서울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9.07
  • 저작시기202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2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