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 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하고,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작성하시오(20점).
2. 75세 박 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 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 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10점).
2. 75세 박 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 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 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10점).
본문내용
나뉜다. 박 씨의 경우에는 이물질이 기도에 걸렸지만, 의식이 있는 경우이다. 하지만, 힘 있게 기침을 해서 이물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지만 실패한 상황이다. 지속해서 기침해도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을 때는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 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하임리히법을 사용해야 한다. 이때, 복부를 밀쳐 올리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폐에 있는 공기를 강제로 밀어내어 기도의 이물질이 밀려 나오게 해야 한다. 배꼽과 명치 중간 부위를 등 쪽으로 누르면서 올려 치듯이 빠르게 위로 밀어 올려 주어야 한다. 또한, 배꼽과 명치의 중앙지점을 정확하고 빠르게 밀어 올려 쳐야 순간적으로 공기가 밀려 나오면서 이물이 배출된다. 천천히 누르면 순간적인 공기 배출이 안 되어 이물질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음식 조각이나 다른 사물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시행할 수 있는 응급처치로 성인과 어린이에게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하임리히법의 시행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환자의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를 팔로 감싸고 한쪽 다리를 환자의 다리 사이에 지지한다. 구조 생활과건강_12강
자는 한 손을 주먹 쥐고 주먹 쥔 손의 엄지를 배꼽과 명치 부위의 중간에 놓는다. 다른 한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고 빠르게 위로 쳐올려야 한다. 이물질이 밖으로 나올 때까지 이를 계속 시행하여야 한다.
만일 박 씨가 시간이 흘러 의식이 사라지게 되면, 의식이 없는 완전 기도폐쇄 환자의 하임리히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먼저, 환자를 바닥에 반듯하게 눕힌다. 그다음에 구조자는 환자의 허벅지 쪽에 무릎을 꿇고 앉아야 한다. 한 손의 손꿈치를 환자의 배꼽과 명치 사이에 놓고 다른 한 손을 그 위에 겹쳐 놓아야 한다. 이때 손꿈치 부위가 좌우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쳐올리기를 4~5회 실시한 후에 입안의 이물질을 꺼내야 한다.
이와 관련해 119에 신고할 때의 방침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환자가 발생한 장소와 사고 상황, 환자가 어떤 상태인지와 현장에서 처치한 응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야 한다. 응급의료전화 상담원과 효율적으로 전화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스피커 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통화를 해야 한다. 응급의료전화 상담원이 더는 지시사항이 없어 끊으라고 할 때까지 통화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만일 박 씨의 호흡이 중단된다면, 심폐소생술을 실행하여야 한다. 쓰러진 박 씨의 얼굴과 가슴을 10초간 살펴보면서 호흡을 하고 있는지 확인한 후에 가슴 압박을 시작하여야 한다. 가슴의 중앙 쪽에 위치하고 있는 가슴뼈 주변 부분을 반복적으로 압박하면 혈액을 순환할 수 있다. 환자를 바닥이 평평한 곳에 등을 대고 눕히거나 환자의 등에 단단한 판을 깔아주는 것 역시 좋은 방법이다. 이처럼 하나의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응급 상황의 경우의 수를 판단하여 이에 걸맞은 응급처치 행위를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출처 및 참고문헌>
생활과건강. 정성희, 박영숙 지음. 출판문화원. 2020
하임리히법의 시행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환자의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를 팔로 감싸고 한쪽 다리를 환자의 다리 사이에 지지한다. 구조 생활과건강_12강
자는 한 손을 주먹 쥐고 주먹 쥔 손의 엄지를 배꼽과 명치 부위의 중간에 놓는다. 다른 한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고 빠르게 위로 쳐올려야 한다. 이물질이 밖으로 나올 때까지 이를 계속 시행하여야 한다.
만일 박 씨가 시간이 흘러 의식이 사라지게 되면, 의식이 없는 완전 기도폐쇄 환자의 하임리히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먼저, 환자를 바닥에 반듯하게 눕힌다. 그다음에 구조자는 환자의 허벅지 쪽에 무릎을 꿇고 앉아야 한다. 한 손의 손꿈치를 환자의 배꼽과 명치 사이에 놓고 다른 한 손을 그 위에 겹쳐 놓아야 한다. 이때 손꿈치 부위가 좌우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쳐올리기를 4~5회 실시한 후에 입안의 이물질을 꺼내야 한다.
이와 관련해 119에 신고할 때의 방침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환자가 발생한 장소와 사고 상황, 환자가 어떤 상태인지와 현장에서 처치한 응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야 한다. 응급의료전화 상담원과 효율적으로 전화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스피커 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통화를 해야 한다. 응급의료전화 상담원이 더는 지시사항이 없어 끊으라고 할 때까지 통화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만일 박 씨의 호흡이 중단된다면, 심폐소생술을 실행하여야 한다. 쓰러진 박 씨의 얼굴과 가슴을 10초간 살펴보면서 호흡을 하고 있는지 확인한 후에 가슴 압박을 시작하여야 한다. 가슴의 중앙 쪽에 위치하고 있는 가슴뼈 주변 부분을 반복적으로 압박하면 혈액을 순환할 수 있다. 환자를 바닥이 평평한 곳에 등을 대고 눕히거나 환자의 등에 단단한 판을 깔아주는 것 역시 좋은 방법이다. 이처럼 하나의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응급 상황의 경우의 수를 판단하여 이에 걸맞은 응급처치 행위를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출처 및 참고문헌>
생활과건강. 정성희, 박영숙 지음. 출판문화원. 2020
추천자료
생활과건강 2023] 1.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생활과건강 2. ...
생활과건강 공통 2023년)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생활과건강 대사증후군 예방 ...
2023년 생활과건강)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실천방안 생...
[2023 생활과건강]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
생활과건강 2023)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 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실천방안 2.75...
생활과건강 2023)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
생활과건강 2023년 1학기 중간과제물)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 대사증후군 예방...
2023년 1학기 생활과건강 중간과제물 1)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 대사증후군 예방...
건강생활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 이어질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