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대사증후군
1. 나의 생활습관 점검과 특징
2.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II. 응급처치
1. 하임리히법
2.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
III. 참고문헌
1. 나의 생활습관 점검과 특징
2.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II. 응급처치
1. 하임리히법
2.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최고> 대사증후군 예방, ‘10계명’을 지켜라, 김길원 기자, 연합뉴스, 2016년 12월 10일
II. 응급처치
1. 하임리히법
75세 박 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 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 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박 씨의 경우, 식사 중 이물질이 기도를 막고 있는 상황으로 판단된다. 지속적으로 기침을 하였지만 이물질이 나오지 않는 긴박한 상황이며, 기침으로 이물질이 빼낼 수 없는 경우는 기도가 완전히 막힌 상황으로 판단하여 빠르게 응급조치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저산소증으로 인해 심정지까지 올 정도로 위험하다. 이때 할 수 있는 응급조치법이 바로 하임리히법 (Heimlichh maneuver)이다. 하임리히법이란 기도가 이물질로 인해 막힌 경우 이물질을 빼내는 응급처치법이다.
2.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
의식이 있는 환자와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시행하는 방법이 각각 다른데, 박 씨의 경우, 현재 의식은 있는 상태이므로,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 하는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10kg 이하의 영아의 경우 하임리히법이 다르게 시도되므로 영아 환자에게 취해지는 하임리히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10kg 이상의 유아부터 성인 환자의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
① 환자의 상태를 재빠르게 살핀 후, 주변인에게 119 신고 요청을 한다.
② 환자에게 일단 기침을 유도해본다. 이때 기침을 중단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③ 기침으로 이물질이 나오지 않는다면, 환자를 세운 뒤 다리를 벌리게 하여 환자 뒤에 선다.
④ 한 발을 환자의 두 발 사이에 넣고, 나머지 발은 뒤로 물려서 중심을 잡는다
⑤ 주먹 쥔 손으로 배꼽과 명치의 중앙지점을 누르고 나머지 손으로 주먹을 감싸며 등 쪽으로
세게 누른다.
⑥ 이물질이 제거되거나,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복부를 등 쪽으로 미는 동작을 반복한다.
(2) 10kg 미만 영아의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
환자의 상태를 살핀 후, 주변에 119 신고를 요청한다.
아이의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하여 아이를 자신의 팔 위에 엎어서 올려놓고 손으로 머리와
경부가 고정되도록 잡는다. 이때, 아이를 받치지 않은 채, 다리만 잡고 거꾸로 들게 되면
아이의 고관절과 대퇴부의 탈구가 일어나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아이를 안은 처치자의 팔은 허벅지 위에 얹어 팔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다.
손바닥으로 아이의 어깨뼈 사이를 5회 두드린다.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두드림을 반복한다.
III. 참고문헌
1. 대사증후군, 질환백과, 의료정보,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www.amc.seoul.kr/asan)
2. 대사증후군, 예방과 관리 위해서는 ‘생활습관’부터 개선, 편집부, EMD Medical News,
2022년 3월 13일
3. <건강이 최고> 대사증후군 예방, ‘10계명’을 지켜라, 김길원 기자, 연합뉴스, 2016년 12월 10일
II. 응급처치
1. 하임리히법
75세 박 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 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 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박 씨의 경우, 식사 중 이물질이 기도를 막고 있는 상황으로 판단된다. 지속적으로 기침을 하였지만 이물질이 나오지 않는 긴박한 상황이며, 기침으로 이물질이 빼낼 수 없는 경우는 기도가 완전히 막힌 상황으로 판단하여 빠르게 응급조치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저산소증으로 인해 심정지까지 올 정도로 위험하다. 이때 할 수 있는 응급조치법이 바로 하임리히법 (Heimlichh maneuver)이다. 하임리히법이란 기도가 이물질로 인해 막힌 경우 이물질을 빼내는 응급처치법이다.
2.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
의식이 있는 환자와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시행하는 방법이 각각 다른데, 박 씨의 경우, 현재 의식은 있는 상태이므로,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 하는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10kg 이하의 영아의 경우 하임리히법이 다르게 시도되므로 영아 환자에게 취해지는 하임리히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10kg 이상의 유아부터 성인 환자의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
① 환자의 상태를 재빠르게 살핀 후, 주변인에게 119 신고 요청을 한다.
② 환자에게 일단 기침을 유도해본다. 이때 기침을 중단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③ 기침으로 이물질이 나오지 않는다면, 환자를 세운 뒤 다리를 벌리게 하여 환자 뒤에 선다.
④ 한 발을 환자의 두 발 사이에 넣고, 나머지 발은 뒤로 물려서 중심을 잡는다
⑤ 주먹 쥔 손으로 배꼽과 명치의 중앙지점을 누르고 나머지 손으로 주먹을 감싸며 등 쪽으로
세게 누른다.
⑥ 이물질이 제거되거나,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복부를 등 쪽으로 미는 동작을 반복한다.
(2) 10kg 미만 영아의 하임리히법의 시행방법
환자의 상태를 살핀 후, 주변에 119 신고를 요청한다.
아이의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하여 아이를 자신의 팔 위에 엎어서 올려놓고 손으로 머리와
경부가 고정되도록 잡는다. 이때, 아이를 받치지 않은 채, 다리만 잡고 거꾸로 들게 되면
아이의 고관절과 대퇴부의 탈구가 일어나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아이를 안은 처치자의 팔은 허벅지 위에 얹어 팔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다.
손바닥으로 아이의 어깨뼈 사이를 5회 두드린다.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두드림을 반복한다.
III. 참고문헌
1. 대사증후군, 질환백과, 의료정보,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www.amc.seoul.kr/asan)
2. 대사증후군, 예방과 관리 위해서는 ‘생활습관’부터 개선, 편집부, EMD Medical News,
2022년 3월 13일
3. <건강이 최고> 대사증후군 예방, ‘10계명’을 지켜라, 김길원 기자, 연합뉴스, 2016년 12월 10일
추천자료
생활과건강 공통 2023년)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생활과건강 대사증후군 예방 ...
2023년 생활과건강)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실천방안 생...
(생활과 건강, 공통)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
[생활과건강 2023]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한 후 특징 기...
[2023 생활과건강]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생활과건강(공통)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
건강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과건강 )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건강 ) 일상생활 속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