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하고,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작성하시오
2. 75세 박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3. 출처 및 참고문헌
2. 75세 박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응급의료체계에 의하면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현장에서는 진행할 수 있는 적절한 처치를 정확한 매뉴얼에 따라 시행한 후 안전하고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문제에서 박씨와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응급환자인 박씨를 처음 발견한 일반인이자 신고 접수자, 최초로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사람의 역할을 수행한다. 박씨의 경우 식사 중 이물질로 인한 기도폐쇄가 의심되며 의식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침으로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했으나 잘 배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119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리를 해야 한다. 기도폐쇄의 응급처치는 기도의 일부가 막힌 경우, 혹은 기도가 완전히 막힌 경우로 나누어 각 상황에 적절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하는데 박씨의 경우 1분 이내에 의식을 잃게 되는 완전기도폐쇄가 아닌 경우로 당황하여 급하게 등을 두드리거나, 인공호흡을 하거나, 물을 먹이는 등 이물질이 더 깊이 들어갈 수도 있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하임리히법은 창시자인 헨리 하임리히 박사의 이름에서 따온 기도폐쇄 응급 환자에 대한 처치법으로, 복부 밀쳐 올리기라고도 하며 배꼽과 명치 중간 부위를 등 쪽으로 누르면서 올려 치듯이 빠르게 밀어 올려주는 방법으로 폐에 있는 공기를 강제로 밀어내어 기도의 이물질이 밀려 나오게 하는 방법이다. 이 때 배꼽과 명치의 중앙지점을 정확하고 빠르게 밀어 올려쳐야 순간적으로 공기가 밀려나오면서 이물이 배출되며 천천히 누를 경우 순간적인 공기 배출이 안 되어 이물질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하임리히법에 따르면 성인의 경우 기도가 막혔다고 판단되면 우선 말을 시켜본다. 말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기침하며 계속 숨을 쉴 수 있는 경우 경과를 지켜보다가 환자가 말하지 못하거나 호흡을 제대로 못하는 것으로 보이면 한 팔을 어깨 안쪽으로 넣어 꽉 잡고 다른 손바닥으로 양 어깻죽지의 중앙 부근을 강하게 5회 내리친다. 하임리히법에는 흉부충격과 복부충격 방법이 있다. 흉부충격 방법은 서있는 환자의 가슴에 충격을 주는 방법을 뜻한다. 양팔 밑으로 환자를 껴안은 자세에서 한쪽 주먹의 엄지손가락을 환자의 흉골에 대고 다른 손으로 감싼 뒤 빠르게 5회 충격을 준다. 이는 일시적으로 흉곽의 크기를 축소시켜서 공기를 기도로 밀어 보내 이물질을 나오게 한다. 이보다 쉬운 방법이 복부충격 방법으로, 단순히 갈비뼈와 배꼽의 중간 지점을 선택해 빠르게 5회 충격을 주는 방법으로 흉부충격 방법보다 비교적 안전하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박윤진(2007), 생활습관병에 관한 운동행동 및 식사습관, 청대학술논집(The Journal of Sciences and Arts), 10,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이용규(2013),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4 실천리스트 - 단맛을 줄이면 건강이 보인다, 건강소식, 37(6), 14-15p, 한국건강관리협회.
하임리히 요법, 두산백과, 당뇨병,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료체계에 의하면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현장에서는 진행할 수 있는 적절한 처치를 정확한 매뉴얼에 따라 시행한 후 안전하고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문제에서 박씨와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응급환자인 박씨를 처음 발견한 일반인이자 신고 접수자, 최초로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사람의 역할을 수행한다. 박씨의 경우 식사 중 이물질로 인한 기도폐쇄가 의심되며 의식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침으로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했으나 잘 배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119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리를 해야 한다. 기도폐쇄의 응급처치는 기도의 일부가 막힌 경우, 혹은 기도가 완전히 막힌 경우로 나누어 각 상황에 적절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하는데 박씨의 경우 1분 이내에 의식을 잃게 되는 완전기도폐쇄가 아닌 경우로 당황하여 급하게 등을 두드리거나, 인공호흡을 하거나, 물을 먹이는 등 이물질이 더 깊이 들어갈 수도 있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하임리히법은 창시자인 헨리 하임리히 박사의 이름에서 따온 기도폐쇄 응급 환자에 대한 처치법으로, 복부 밀쳐 올리기라고도 하며 배꼽과 명치 중간 부위를 등 쪽으로 누르면서 올려 치듯이 빠르게 밀어 올려주는 방법으로 폐에 있는 공기를 강제로 밀어내어 기도의 이물질이 밀려 나오게 하는 방법이다. 이 때 배꼽과 명치의 중앙지점을 정확하고 빠르게 밀어 올려쳐야 순간적으로 공기가 밀려나오면서 이물이 배출되며 천천히 누를 경우 순간적인 공기 배출이 안 되어 이물질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하임리히법에 따르면 성인의 경우 기도가 막혔다고 판단되면 우선 말을 시켜본다. 말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기침하며 계속 숨을 쉴 수 있는 경우 경과를 지켜보다가 환자가 말하지 못하거나 호흡을 제대로 못하는 것으로 보이면 한 팔을 어깨 안쪽으로 넣어 꽉 잡고 다른 손바닥으로 양 어깻죽지의 중앙 부근을 강하게 5회 내리친다. 하임리히법에는 흉부충격과 복부충격 방법이 있다. 흉부충격 방법은 서있는 환자의 가슴에 충격을 주는 방법을 뜻한다. 양팔 밑으로 환자를 껴안은 자세에서 한쪽 주먹의 엄지손가락을 환자의 흉골에 대고 다른 손으로 감싼 뒤 빠르게 5회 충격을 준다. 이는 일시적으로 흉곽의 크기를 축소시켜서 공기를 기도로 밀어 보내 이물질을 나오게 한다. 이보다 쉬운 방법이 복부충격 방법으로, 단순히 갈비뼈와 배꼽의 중간 지점을 선택해 빠르게 5회 충격을 주는 방법으로 흉부충격 방법보다 비교적 안전하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박윤진(2007), 생활습관병에 관한 운동행동 및 식사습관, 청대학술논집(The Journal of Sciences and Arts), 10,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이용규(2013),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4 실천리스트 - 단맛을 줄이면 건강이 보인다, 건강소식, 37(6), 14-15p, 한국건강관리협회.
하임리히 요법, 두산백과, 당뇨병,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추천자료
생활과건강 공통 2023년)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생활과건강 대사증후군 예방 ...
2023년 생활과건강)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실천방안 생...
(생활과 건강, 공통)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
[생활과건강 2023]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한 후 특징 기...
[2023 생활과건강]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생활과건강(공통)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
생활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과건강 )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건강 ) 일상생활 속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