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한국, 중국, 일본과의 관계 및 상황2) 한국, 중국, 일본 평화 유지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한국, 중국, 일본과의 관계 및 상황2) 한국, 중국, 일본 평화 유지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구축해나갈 책임이 있다.
3. 결론
각 나라의 출발점을 생각해보면 1965년에 한국과 일본은 국교 정상화를 구현하면서 현재의 양국 관계를 출발시켰다. 냉전 시기의 이루어진 국교 정상화 협상은 다양한 과제를 남겼지만, 경제원조, 정상화 및 배상을 연결함으로써 전후처리를 최소화했다. 1972년 일본과 중국의 국교 정상화는 전쟁의 종식, 정통 정부 인정이라는 과제를 해결했지만, 과거의 전쟁의 전후처리를 완벽하게 했다고 볼 수는 없다. 수많은 문제점을 남겨둔 채 시간이 흘러갔다. 일본은 평화헌법을 바탕으로 국민주권을 중심으로 경제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대외 관계에서는 유엔 중심주의를 관철해왔다. 이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시기에 대해 일본 국민을 내적 비판한 것과 다름이 없으며 미국의 어느 연구기관에서는 이것을 ‘소극적 평화주의’라고 내세우지만, 그동안의 일본의 행보가 아시아 70년의 발전과 평화에 크게 공헌했다고 본다. 중국 또한 근대화 정책으로 들어선 1980년대부터 아시아 경제 발전과 평화에 크게 기여했다.
‘중·일 관계론’은 중국에 대해 건실한 입장이지만 일본 다수파의 생각과는 다르다. 2010년 이후로 일본에서 중국에 대해 친밀감을 느끼는 사람은 이전보다 20% 내려갔고, 중국과 일본 관계가 양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0% 이하로 밑돌고 있다. 중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다.
중국의 강경한 반일은 중국과 일본 관계를 점점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일본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해서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고 미래지향적인 대일관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아시아의 이웃 나라와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것은 우선 역사문제로 인해 상대국에 대한 불신과 상대국에 대해 과도한 기대를 하는 감정적인 부분이 많다. 현재 양국의 냉정하게 상대를 인식하고 존중해야 한다. 일본은 한국과 중국 두 나라와 영토 문제와 역사 문제를 빚고 있다. 한국과 일본보다 일본과 중국의 대립이 정면충돌되고 있는 상황에 중국과 일본의 관계 불안정성을 해결해야 한다. 한국과 일본, 중국과 일본, 양국 모두 훌륭한 역사가 있는 나라로써 서로를 인정하고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외교적 내지 경제적 가치에 있어 더 이상 필요성이 없거나 다른 선택지가 있다면 다른 선택지를 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 관계에 있어 자기 나라의 가치를 얼마나 제고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하고 늦었지만, 경제적으로 대중 의존도를 완화할 방법을 재계와 정부 모두 적극 참여해야 한다.
4. 참고문헌한중일 산업별 기술무역 경쟁력 분석, 2021, 백은영, 통상정보연구한중일 3국 협력 현황과 발전 과제 연구, 2020, 양동훈, 동북아시아문화학회동남아의 지역주의와 ‘동아시아 공동체’: 그 역사에 대한 재해석, 2009, 신윤환, 동아연구21세기 동북아공동체 형성의 과제와 전망, 2006, 김영작·김기선 편, 서울: 한울세계의 정치와 경제, 2017, 강수돌 외 12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3. 결론
각 나라의 출발점을 생각해보면 1965년에 한국과 일본은 국교 정상화를 구현하면서 현재의 양국 관계를 출발시켰다. 냉전 시기의 이루어진 국교 정상화 협상은 다양한 과제를 남겼지만, 경제원조, 정상화 및 배상을 연결함으로써 전후처리를 최소화했다. 1972년 일본과 중국의 국교 정상화는 전쟁의 종식, 정통 정부 인정이라는 과제를 해결했지만, 과거의 전쟁의 전후처리를 완벽하게 했다고 볼 수는 없다. 수많은 문제점을 남겨둔 채 시간이 흘러갔다. 일본은 평화헌법을 바탕으로 국민주권을 중심으로 경제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대외 관계에서는 유엔 중심주의를 관철해왔다. 이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시기에 대해 일본 국민을 내적 비판한 것과 다름이 없으며 미국의 어느 연구기관에서는 이것을 ‘소극적 평화주의’라고 내세우지만, 그동안의 일본의 행보가 아시아 70년의 발전과 평화에 크게 공헌했다고 본다. 중국 또한 근대화 정책으로 들어선 1980년대부터 아시아 경제 발전과 평화에 크게 기여했다.
‘중·일 관계론’은 중국에 대해 건실한 입장이지만 일본 다수파의 생각과는 다르다. 2010년 이후로 일본에서 중국에 대해 친밀감을 느끼는 사람은 이전보다 20% 내려갔고, 중국과 일본 관계가 양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0% 이하로 밑돌고 있다. 중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다.
중국의 강경한 반일은 중국과 일본 관계를 점점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일본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해서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고 미래지향적인 대일관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아시아의 이웃 나라와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것은 우선 역사문제로 인해 상대국에 대한 불신과 상대국에 대해 과도한 기대를 하는 감정적인 부분이 많다. 현재 양국의 냉정하게 상대를 인식하고 존중해야 한다. 일본은 한국과 중국 두 나라와 영토 문제와 역사 문제를 빚고 있다. 한국과 일본보다 일본과 중국의 대립이 정면충돌되고 있는 상황에 중국과 일본의 관계 불안정성을 해결해야 한다. 한국과 일본, 중국과 일본, 양국 모두 훌륭한 역사가 있는 나라로써 서로를 인정하고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외교적 내지 경제적 가치에 있어 더 이상 필요성이 없거나 다른 선택지가 있다면 다른 선택지를 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 관계에 있어 자기 나라의 가치를 얼마나 제고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하고 늦었지만, 경제적으로 대중 의존도를 완화할 방법을 재계와 정부 모두 적극 참여해야 한다.
4. 참고문헌한중일 산업별 기술무역 경쟁력 분석, 2021, 백은영, 통상정보연구한중일 3국 협력 현황과 발전 과제 연구, 2020, 양동훈, 동북아시아문화학회동남아의 지역주의와 ‘동아시아 공동체’: 그 역사에 대한 재해석, 2009, 신윤환, 동아연구21세기 동북아공동체 형성의 과제와 전망, 2006, 김영작·김기선 편, 서울: 한울세계의 정치와 경제, 2017, 강수돌 외 12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추천자료
세계의정치와경제2B)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문화적, 경제적 교류가 점차 활발해질수록, 이 국...
(세계의정치와경제, B형) 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문화적, 경제적 교류가 점차 활발해질수록, ...
2023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중간시험과제물 B형(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문화적)
세계의 정치와경제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B형) - 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문화적, 경...
세계의 정치와 경제 ) 한국, 중국, 일본 간 문화적, 경제적 교류가 점차 활발해질수록, 이 국...
정치경제 ) 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문화적, 경제적 교류가 점차 활발해질수록, 이 국가들 사...
세계정치와경제 ) 한국, 중국, 일본 , 이 국가들 사이의 정치적, 군사적 긴장도 점차 강해지...
세계의경제정치 ) 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문화적, 경제적 교류가 점차 활발, 이 국가들 사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