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48-52페이지에 있는 연습문제를 풉니다.
2. 교재 91-92페이지에 있는 연습문제를 풉니다.
출처
2. 교재 91-92페이지에 있는 연습문제를 풉니다.
출처
본문내용
가 우리 아이가 깨우칠 것\"이라며 자녀들을 믿어 의심치 않았다. \'피그말리온 효과\'에 대한 믿음의 사례라 볼 수 있다. 그 학부모들에게 공부란 운동이나 예술 능력과 같은 재능이 아니라 노력의 영역이었던 것이다. 즉 열심히 하면 무조건 될 것이라는 믿음이 그들에게는 있었던 것이다. \'피그말리온 효과\'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와 잘못된 적용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가져온다. 때문에 피그말리온 신화와 같은 고대 신화를 현대 사회에 무조건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신화 속 피그말리온은 아무런 노력 없이 그저 신의 기적에 의해 원하는 것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여자가 된 조각상 갈라테이아의 입장은 고려되지 않았다는 것도 신화 내용의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우리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은 갈라테이아처럼 자신의 의견은 무시된 채 공부에 내몰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학부모의 결과에 대한 과도한 욕망으로 인해 공부를 하는 당사자인 학생들의 자질과 노력의 중요성이 간과될 수도 있다. 피그말리온 신화는 대상이 무엇이든 간에 욕망을 가진 현대인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신화 속 내용에 대한 과도한 맹신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인은 피그말리온 신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아무런 노력이 없는 맹목적인 기대와 예측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대상과 환경의 조건을 고려하여 실제적인 노력을 행할 때 우리는 진정으로 바라던 \'피그말리온 효과\'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세상읽기와논술. 박정하, 박은미, 현남숙, 이현재, 이정호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7년
출처
세상읽기와논술. 박정하, 박은미, 현남숙, 이현재, 이정호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7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