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의사소통장애
I. 정의
II. 원인
1. 신체적 요인
2. 상황적 요인
3. 환경적 요인
III. 특성
1. 지적 특성
2. 사회-정서적 특성
IV. 진단평가
1. 의학적 진단
2. 청력검사
3. 심리검사
4. 언어평가
V. 의사소통장애아 교육방법 및 교수전략
1. 언어학적 접근법
1) 확대
2) 확장
3) 모방
4) 혼잣말기법
5) 평행적 발화
6) 스크립트 문맥을 이용한 지도
2. 의사소통 촉진
1) 모델 제공
2) 수용적인 환경 조성
* 참고문헌
I. 정의
II. 원인
1. 신체적 요인
2. 상황적 요인
3. 환경적 요인
III. 특성
1. 지적 특성
2. 사회-정서적 특성
IV. 진단평가
1. 의학적 진단
2. 청력검사
3. 심리검사
4. 언어평가
V. 의사소통장애아 교육방법 및 교수전략
1. 언어학적 접근법
1) 확대
2) 확장
3) 모방
4) 혼잣말기법
5) 평행적 발화
6) 스크립트 문맥을 이용한 지도
2. 의사소통 촉진
1) 모델 제공
2) 수용적인 환경 조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이해력 평가와 언어표현력 평가, 언어사용능력 평가, 말의 명료도 평가를 한다.
V. 의사소통장애아 교육방법 및 교수전략
의사소통장애의 지도방법은 개인과 집단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교육은 개별화교육이 주를 이루지만 최근에는 집단지도가 보편적이며 일반학교 교육, 즉 통합교육 측면에서는 집단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의사소통 지도가 중요한 이유는 의사소통 발달이 늦게 되면 또래아동과의 상호작용 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말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소리나 단어를 잘못 발음하거나 더듬거리면서 말하거나 이상한 목소리로 말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말을 듣는 상대방이 이해하기가 어렵다. 또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데 문제가 나타난다.
따라서 그들을 지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법이나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1) 언어학적 접근법
언어학적 접근법은 언어의 구조나 형식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방법이며 확대(expansion)나 확장(extension), 평행적 발화(parallel talk), 혼잣말 기법(self-talk), 모방 등을 활용하여 지도한다.
(1) 확대
아동의 발화에서 그 주제는 유지한 채 내용을 보충하여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엄마 차.\"라고 말하였다면 \"엄마 차가 노란색입니다.\"라고 확대시켜 주는 것이다.
(2) 확장
확장은 아동의 발화를 문법적으로 보충하여 다시 돌려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비 와.\"라고 말하였다면 \"비가 와.\"라고 정확한 조사를 넣어서 표현해 준다.
(3) 모방
모방은 교사나 치료사가 말한 것을 아동이 모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동에게 모방하도록 하기도 하지만 교사나 치료사도 아동의 말을 모방할 수 있다. 아동이 말을 많이 할수록 음운론적, 어휘적, 구문적 형태를 연습할 기회가 더 많아지며 피드백을 받을 기회가 많아지므로 모방은 언어를 발달시키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4) 혼잣말기법
혼잣말기법은 교사나 치료사, 부모가 자신의 입장에서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모가 물을 마시면서 \"물을 마셔요.\"라고 말하는 것이다.
(5) 평행적 발화
평행적 발화는 아동의 입장에서 말하는 것으로서 아동의 행동을 그대로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신발을 신고 있는 아동에게는 \"신발 신어요.\" 그리고 밥을 먹는 아동에게는 \"숟가락으로 밥을 먹어요.\"와 같이 아동이 하는 행동을 언어로 표현해 준다.
(6) 스크립트 문맥을 이용한 지도
쉥크와 아벨슨(Schank & Abelson, 1977)이 스크립트를 \"특정한 문맥 속에서 진행되는 단계적인 일련의 사건들을 설명하는 구조\"라고 하였다.
아동들은 익숙하고 일상화된 상황적 문맥 속에서 성인의 말을 예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황적인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 스크립트 문맥을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단기적인 목표언어의 구조를 계획한다.
2/ 아동에게 익숙하며 주제가 있는 일상적인 활동을 선정한다.
3/ 선택한 스크립트 속에 포함될 하위행동들을 나열한다.
4/ 선택한 하위행동마다 구체적인 목표언어를 계획한다.
5/ 불필요한 하위행동을 삭제한다.
6/ 목표언어를 유도할 수 있는 상황이나 발화를 계획한다.
7/ 계획한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여러 회기 동안 반복하여 실시한다.
2) 의사소통 촉진
말이나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은 일반학급에서 교육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그들이 일반학급에서 또래들이 사용하는 정확한 말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말/언어장애를 지닌 아동들이 학급에서 새롭게 학습한 의사소통 기술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언어모델을 제공하고 수용적인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더 나아가서 말을 통한 의사소통 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언어장애의 발생에 대해서 보면, 형제관계에서도 연령의 차이가 클수록 동생의 조음 음운장애 발생 확률이 낮아진다. 그것은 정확한 표현을 더 많이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1) 모델 제공
말장애를 지닌 아동들은 말로 의사소통을 잘하는 모델을 필요로 한다. 교사는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모델의 역할을 수행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항상 적절한 억양과 분명한 발음으로 유창하게 말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학급의 또래들이 그들에게 모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적절한 말의 시범자가 될 수 있도록 교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2) 수용적인 환경 조성
말/언어장애를 지닌 아동들을 위해서 수용적인 학급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아동이 말을 하는 도중에 실수했을 때 교사나 학급친구들이 그 실수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서 아동의 말하는 행동은 큰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말장애를 지닌 아동이 말로써 의사소통을 하고자 시도를 보일 때 상대방의 말에 대한 존중하는 마음과 인내심을 가지고 대하는 태도는 그 아동으로 하여금 앞으로도 계속해서 말을 시도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일 교사나 학급의 친구들이 수용적인 청취자가 되어 준다면 장애아동은 누군가에게 말을 하는 것에 대해서 편안함을 느끼고 더 많은 시도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V. 의사소통장애아 교육방법 및 교수전략
의사소통장애의 지도방법은 개인과 집단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교육은 개별화교육이 주를 이루지만 최근에는 집단지도가 보편적이며 일반학교 교육, 즉 통합교육 측면에서는 집단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의사소통 지도가 중요한 이유는 의사소통 발달이 늦게 되면 또래아동과의 상호작용 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말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소리나 단어를 잘못 발음하거나 더듬거리면서 말하거나 이상한 목소리로 말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말을 듣는 상대방이 이해하기가 어렵다. 또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데 문제가 나타난다.
따라서 그들을 지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법이나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1) 언어학적 접근법
언어학적 접근법은 언어의 구조나 형식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방법이며 확대(expansion)나 확장(extension), 평행적 발화(parallel talk), 혼잣말 기법(self-talk), 모방 등을 활용하여 지도한다.
(1) 확대
아동의 발화에서 그 주제는 유지한 채 내용을 보충하여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엄마 차.\"라고 말하였다면 \"엄마 차가 노란색입니다.\"라고 확대시켜 주는 것이다.
(2) 확장
확장은 아동의 발화를 문법적으로 보충하여 다시 돌려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비 와.\"라고 말하였다면 \"비가 와.\"라고 정확한 조사를 넣어서 표현해 준다.
(3) 모방
모방은 교사나 치료사가 말한 것을 아동이 모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동에게 모방하도록 하기도 하지만 교사나 치료사도 아동의 말을 모방할 수 있다. 아동이 말을 많이 할수록 음운론적, 어휘적, 구문적 형태를 연습할 기회가 더 많아지며 피드백을 받을 기회가 많아지므로 모방은 언어를 발달시키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4) 혼잣말기법
혼잣말기법은 교사나 치료사, 부모가 자신의 입장에서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모가 물을 마시면서 \"물을 마셔요.\"라고 말하는 것이다.
(5) 평행적 발화
평행적 발화는 아동의 입장에서 말하는 것으로서 아동의 행동을 그대로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신발을 신고 있는 아동에게는 \"신발 신어요.\" 그리고 밥을 먹는 아동에게는 \"숟가락으로 밥을 먹어요.\"와 같이 아동이 하는 행동을 언어로 표현해 준다.
(6) 스크립트 문맥을 이용한 지도
쉥크와 아벨슨(Schank & Abelson, 1977)이 스크립트를 \"특정한 문맥 속에서 진행되는 단계적인 일련의 사건들을 설명하는 구조\"라고 하였다.
아동들은 익숙하고 일상화된 상황적 문맥 속에서 성인의 말을 예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황적인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 스크립트 문맥을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단기적인 목표언어의 구조를 계획한다.
2/ 아동에게 익숙하며 주제가 있는 일상적인 활동을 선정한다.
3/ 선택한 스크립트 속에 포함될 하위행동들을 나열한다.
4/ 선택한 하위행동마다 구체적인 목표언어를 계획한다.
5/ 불필요한 하위행동을 삭제한다.
6/ 목표언어를 유도할 수 있는 상황이나 발화를 계획한다.
7/ 계획한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여러 회기 동안 반복하여 실시한다.
2) 의사소통 촉진
말이나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은 일반학급에서 교육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그들이 일반학급에서 또래들이 사용하는 정확한 말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말/언어장애를 지닌 아동들이 학급에서 새롭게 학습한 의사소통 기술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언어모델을 제공하고 수용적인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더 나아가서 말을 통한 의사소통 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언어장애의 발생에 대해서 보면, 형제관계에서도 연령의 차이가 클수록 동생의 조음 음운장애 발생 확률이 낮아진다. 그것은 정확한 표현을 더 많이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1) 모델 제공
말장애를 지닌 아동들은 말로 의사소통을 잘하는 모델을 필요로 한다. 교사는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모델의 역할을 수행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항상 적절한 억양과 분명한 발음으로 유창하게 말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학급의 또래들이 그들에게 모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적절한 말의 시범자가 될 수 있도록 교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2) 수용적인 환경 조성
말/언어장애를 지닌 아동들을 위해서 수용적인 학급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아동이 말을 하는 도중에 실수했을 때 교사나 학급친구들이 그 실수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서 아동의 말하는 행동은 큰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말장애를 지닌 아동이 말로써 의사소통을 하고자 시도를 보일 때 상대방의 말에 대한 존중하는 마음과 인내심을 가지고 대하는 태도는 그 아동으로 하여금 앞으로도 계속해서 말을 시도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일 교사나 학급의 친구들이 수용적인 청취자가 되어 준다면 장애아동은 누군가에게 말을 하는 것에 대해서 편안함을 느끼고 더 많은 시도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2020 특수교육학개론4공통][지적장애선정] 1. 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지체영역...
[2020 특수교육학개론 4공통][자폐성장애 선정] 1. 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지체...
[2020 특수교육학개론4공통][청각장애 선정] 1.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지체영역...
[2020 특수교육학개론4공통][정서 및 행동장애 선정] 1.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
[2020 특수교육학개론4공통][의사소통장애 선정] 1. 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지체...
(특수교육학개론 공통) 1. 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지체영역별 교수학습 방법을 ...
특수교육학개론, 발달지체, 자폐성 장애 1. 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지체영역별 ...
[특수교육학개론]1. 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지체영역별 교수-학습 방법을 A4용지...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 및 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6가지 장애 중 ...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 및 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6가지 장애 중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