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간호 (간호진단,간호사정,간호중재) 및 고혈압 병태생리와 증상,징후 연구과 고혈압 치료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혈압 간호 (간호진단,간호사정,간호중재) 및 고혈압 병태생리와 증상,징후 연구과 고혈압 치료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혈압 정의

2. 고혈압 증상과 징후

3. 고혈압 병태생리

4. 고혈압의 합병증

5. 고혈압의 치료법
(1) 생활습관의 교정
(2) 약물 요법

6. 고혈압 간호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3) 간호중재

본문내용

성 저혈압
→ 칼륨결핍 : 이뇨제 투여와 관계, 칼륨이 많이 포함된 음식이나 칼륨제 복용
→ 체위성 저혈압 : 낮아진 아침, 음주 후, 격렬한 운동 후 심해짐
고염식이, 고지방식이, 고열량식이와 관련된 영양 과다
식이요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 : 체중감소와 경미한 저염식이에서 중정도 저염식
소금, 열량, 콜레스테롤, 포화지방 섭취에 대한 교육 필요
고혈압과 고콜레스테롤은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요인
→ 콜레스테롤 : 동물성 지방과 유제품, 열대식물기름에 포함
포화지방섭취를 간소시키고 불포화지방섭취를 증가하는 것이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
BMI가 27 이상인 환자는 체중 감소를 해아함
*고혈압환자의 식이요법을 위한 지침서
① 저염식이
나트륨은 많은 약물들 중에 특히 제산제, 기침약 등에 반작용을 한다
베이킹파우더나 소다, 연육소, 콩소스, 케찹, 마요네즈와 같은 상품에는 다량의 나트륨이 들어있다
통조림되거나 훈제 및 절인 고기와 생선 제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식당을 갈 때에도 소금을 넣지 않고 굽거나 끓인 음식 및 주스 등을 선택한다
나트륨이 없는 소금은 칼륨의 함량이 높아 이뇨제를 섭취하는 사람에게 칼륨결핍증을 방지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음식준비중에 소금을 않지 않거나, 처방에 필요한 소금의 반만 사용한다
샐러리나 양파, 마늘등의 gerb saltd는 염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②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식이
포화지방은 동물성 기름이며 불호화지방은 식물성 기름이다
신체는 자신의 콜레스테롤을 생성하므로 음식에서 추가로 콜레스테롤을 섭취할 필요가 없다
버터 대신에 식물성 기름을 사용한다
고기 국물 소스나 크림 및 치즈 소스는 피한다
기름에 튀기는 대신 끓이거나 굽는다
저지방 우유나 탈지 우유를 사용한다
살코기 얇게 썬 것을 이용하여 눈에 보이는 지방은 제거하고 닭기기 껍질도 모두 제거한다
고기를 구울 때 석쇠를 이용하여 기름이 빠지게 한다
기름을 적게 이용하기 위해여 테프론 프라이팬을 이용한다
고기스튜, 국물은 사전에 준비한 후 차게하여 기름을 굳힌 다음 걷어낸다
일주일에 계란 노른자 3개 이상은 섭취하지 말고 계란 흰자는 콜레스테롤이 낮으므로 이용할 수 있다
내장고기와 조개류의 사용은 피한다
③ 체중과 고혈압
과체중인 고혈압 환자의 체중 감소는 혈압을 유의하게 낮출 수 있으며 심장 부담을 줄인다
이상적으로 체중은 1주일에 0.5kg 이하로 줄이는 것이 좋다
④ 칼로리 섭취 조절에 대한 주의
tv를 보거나, 신문을 보는 등 어떤 일을 하면서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한다
식사 시 마다 생야채나 샐러드를 먼저 들도록 한다
한 끼 식사에 빵 한조각 이상 섭치하지 않는다
포만감을 느끼기 전에 식사를 멈준다
너무 배가 고플 때 식사하지 말고 식간에 칼로리가 낮은 스낵을 먹는다
모임에 나가기 전에 간단히 먹고간다
땅콩이나 아몬드 및 다른 견과류는 껍질 속에 있는 것을 먹는다
커피나 홍차와 같은 칼로리가 낮은 음료수를 마신다
알콜을 섭취하기전 1~2잔의 물을 마신다
설탕은 피하고 인공감미료를 사용한다
단 것이 먹고 싶을 때는 찻숟가락으로 설탕1/5를 먹어 욕망을 진정시킨다
설탕을 가능한 오랫동안 혀에 머무르게 한다
(2) 간호사정
고혈압성 응급상태의 경우 아주 짧은 기간에 기관 손상이 일어남
확장기압이 130mmHg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 3군이나 4군 정도의 망막질환 나타남
확장기압이 140mmHg 이상일 때 망막 출혈, 삼출액 및 유두부종 나타남
고혈압성 뇌질환의 징후로 안절부절못함, 혼돈, 섬망, 경련, 흐린시야, 두통, 오심/구토 나타남
심장 후부하가 극적으로 증가하여 좌심부전, 허혈성 심근 질환으로 진전될 수 있음
고혈압성 응급상태가 계속되면 콩팥손상이 불가피해짐
→ 이때 소변에 단백질 침전물, 적혈구 등이 나타남
고혈압성 응급상태는 조기에 질소혈증(azotemia)으로 진전되며 핍뇨 나타남
합병증으로 용혈성 빈혈, 파종혈관내응고(DIC) 나타날 수 있음
치료 하지 않은 경우 질병이 시작된 5일 이내에 뇌졸중이나 콩팥기능상실로 사망
* 고혈압환자의 안저소견

검안경 소견
1
정맥과 비교해 볼 때 망막동맥이 경한 상태에서 중정도의 상태로 좁아지거나 경화된 상태
2
망막동맥이 중정도에서 심한 상태로 좁아짐. 동맥이 흠이 있고 교차상태가 있음. 빛 반사가 증가되고 정맥이 압박을 받음
3
좁아진 부위와 흠을 따라 망막 삼출액이 있음. 부종과 출혈도 볼 수 있음, 정맥도 경화되고 좁아진 상태
4
위의 3가지 소견과 유두폐색이 있음(유두부종)
(3) 간호중재
치료 목적 : 가능한 빠르고 안전하게 혈압을 하강시키는 것
고혈압성 응급상태의 중증도는 혈압이 얼마나 상승되었느냐보다 목표 기관이 어느 정도 손상되었느냐와 관련됨
약물사용은 병의 원인이나 증상에 따라 다름
모든 약물을 비경구적으로 투여해야 함
보통 2~3가지의 약물을 동시에 투여
응급상황에서 벗어나면 구강으로 처방된 약물을 섭취
보통 이뇨제와 β-차단제 및 hydralazine을 복합적으로 처방
약물
경로
부작용
즉시작용
Nitroprusside
Nitroglycerin
Dlazoxide
Fenoldopam
Esmolol
IV 지속주입
IV 지속주입
IV bolus
IV 지속주입
IV 지속주입
오심, 구토, 근육경련, 발한, thiocyanate 중독증
빈맥, 홍조, 두통, 구토
오심, 저혈압, 홍조, 빈맥, 흉통
오심, 구토
서맥, 기관지 경련, 저혈당, 피로, 불면증
지연작용
Enalapril
Hydralazine
Labetalol
Nicardipine
IV
IV, IM
IV
IV
발열, 발진, 구내염
두통, 홍조, 빈맥, 구토
체위성 저혈압, 빈맥
두통 현기증, 오심, 홍조
중환자실에서 모니터 해야 함
관찰해야 할 중요한 지침 : 소변배설량, 혈압(동맥 내 도관 측정), 중심정맥압, 폐모세관압 등
계속적인 심전도 모니터는 허혈성 심근의 변화와 부정맥을 사정에 도움이 됨
침대 상부를 올린 편안한 자세로 안정 취함
환자의 긴장 완화를 위해 치료 과정을 설명
미세점적기로 5% D/W를 천천히 정맥주사
폐수종 등의 시급한 문제부터 해결
지속적으로 활력징후 관찰하면서 처방된 약물 투약
원인 규명을 위해 진단검사 실시
  • 가격4,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3.09.27
  • 저작시기202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5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