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과제]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호흡곤란증후군 CASESTUDY(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과]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과제]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호흡곤란증후군 CASESTUDY(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사례연구 주제에 따른 문헌고찰
1)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2) 병태생리
3) 위험요인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진단별 간호
8) 예방
9) 예후
2. 간호과정 사례연구
1) 간호사정
(1) 일반정보
(2) 간호력과 건강사정
① 간호력
② 건강사정
2) 진단검사
(1) 혈액검사
(2) 영상의학검사
(3) 기타 자료
3) 치료(약물, 수술 등)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좌위를 취해주며, 호흡곤란이 심해질 경우 90도까지 상체를 올렸다.
7. 습도(40~60%)를 유지하도록 습화된 산소를 투여하고 가습기를 적용하였다.
평가
1. 대상자는 퇴원 시에 호흡이 편안하다고 말이나 글로 표현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수가 정상범위(20회/분)를 유지한다. (미달성)
→ 4/27 기준 호흡수가 29회/분으로 감소하였지만 목표는 달성하지 못하였다.
3.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호흡보조근을 사용하지 않고 호흡한다. (달성)
→ 4/29 기준 대상자는 호흡보조근을 사용하지 않고 호흡하였다.
일 시
4월 25일
입원 후 ( 1 )일
사정
주관적 자료
“입원 전날 열이 심해서 정신마저 없었어요.”
“숨쉬기 힘들어 했어요.”
객관적 자료
· V/S : BT 38.5℃, HR 118회/분, RR 38회/분, BP 145/95
· 기침(+), 객담(+, 노란색, 다량), 호흡곤란(+)
· 밝은 살색의 윤기 없고 탄력 없는 따뜻한 피부
· 위관영양 중
WBC (10/mm)
▲21.05
RBC (10/mm)
▼3.77
Hb (g/dl)
▼9.4
HCT (%)
▼37.9
· CBC
간호진단
3. 호흡기계 감염으로 인한 대사율 증가와 관련된 고체온
간호계획
<장기목표>
1. 대상자의 체온이 퇴원 시까지 정상체온(36.5~37℃) 범위에 있다.
<단기목표>
1. 대상자의 체온이 24시간 이내에 36.5~36.9℃를 유지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고체온으로 인한 탈수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중재계획
계획
근거
1. 대상자의 체온을 수시로 측정한다.
2. 탈수 징후를 관찰한다. (피부탄력성, 갈증, 근육통, 발한, 전신권태감, 식욕부진, 식은땀, 안면홍조, 피로, 두통, 섬망, 경련, 의식변화 등)
3. I/O를 관찰하여 농축뇨가 측정되었을 때 의사에게 보고한다.
4. 의사의 처방에 따라 혈액검사, 혈액 배양과 항생제 접합성 검사결과를 실시한다.
5. 오한이 있을 때는 Hot Bag과 담요를 제공하여 보온을 유지한다.
6. 전염병 병원체의 확산을 막기 위해 손 씻는 법, 사용한 화장지 처리법,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입이나 코를 막는 법 등을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1. 체온변화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 고열은 탈수로 이어지고, 탈수의 징후는 갈증, 메스꺼움, 두통, 어지러움, 허약, 호흡곤란, 말하기 어려움, 정신혼란, 조바심, 집중저하, 신경성 식욕부진, 비틀거림, 근경련, 소변량 감소가 있다.
3. 과다한 발한은 소변량을 감소시킨다
4. 감염원을 확인하고 항생제를 선택하며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5. 발열의 단계는 오한기-발열기-해열기이며 오한기 동안은 지정온도에 빨리 도달하도록 담요로 덮어준다.
6. 비말감염의 진전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대상자의 체온을 수시로 측정하였다.
09시
12시
15시
18시
4/25
38.6℃
38.5℃
38.3℃
38.2℃
4/26
38.0℃
37.9℃
37.5℃
37.6℃
4/27
37.7℃
37.4℃
37.4℃
37.3℃
2. 각 근무 시마다 탈수 징후를 관찰하였다.
날짜
근무번
4/25
4/26
4/27
Day
피부건조하며 열감 있음
해열제 투여 후 발한 증상 보이고 있음.
안면홍조 및 피부건조 증상 없음.
Evening
구강점막 건조증상 보여 수분섭취 격려함,
피부탄력성 좋으며 피부건조 증상 없음.
안면홍조 및 피부건조 증상 없음.
Night
피부건조증상 있으며 수액 공급 중임.
피부탄력성 좋음.
구강 점막 핑크색이며 촉촉한 상태임
3. I/O를 관찰하여 농축뇨가 측정되었을 때 의사에게 보고하였다.
날짜
4/25
4/26
4/27
I/O
2,400/2,000
3,050/2,700
3,000/2,520
4. 의사의 처방에 따라 혈액검사, 혈액 배양과 항생제 적합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 Routine CBC & diff, Urinalysis, Electrolyte, B/C & Gran stain
5. Hot Bag과 담요를 제공하여 보온을 유지하였다.
6.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손 씻는 법, 기침, 재채기 및 화장지 처리법을 보호자에게 시범 보여 교육하였다.
평가
1. 대상자의 체온이 퇴원 시까지 정상체온(36.5~37℃) 범위에 있다.
2. 대상자의 체온이 24시간 이내에 38℃ 이하로 감소한다. (달성)
→ 대상자의 체온이 4/26 37.6℃로 감소하였다.
3.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고체온으로 인한 탈수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달성)
5. 결론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수액을 폐에 축적시켜 혈중 산소 수치를 과도하게 낮추는 여러 가지 장애로 인한 호흡(폐) 부전의 한 유형입니다. 환자는 대게 빠르고 얕은 호흡을 하면서 숨가쁨을 겪고, 청색증이 시진되며, 심장과 뇌 등의 다른 기관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RDS의 예후는 즉각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생존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적절하게 치료할 경우 ARDS가 있는 환자 중 75% 정도가 생존합니다. 병원에서 재활을 통해 힘과 자립능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이번 case study를 진행하며 우리 간호사는 입술을 오므린 호흡, 복식호흡, 바른 자세, 이완술, 에너지 보존, 기침과 심호흡을 포함한 호흡법을 교육하고, 수분섭취를 독려하며, 기관지확장제 사용법을 정확하게 알려주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성인간호학 책과 기본간호학 책을 여러 번 보면서 열심히 공부하였습니다. 몇 번째 직접 진단을 내리고 결과계획과 중재계획을 세우는 활동을 했지만, 일일이 약물과 검사 수치를 찾는 일은 여전히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렸습니다. 노력은 훈련이 되어 제 지식으로 쌓여, 점차 속도가 날 것이라 생각합니다. 배운 것이 많은 공부였습니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2021). 성인간호학I 수문사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김정혜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이한기 외(2019). 새용어 해부생리학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 - 급성호흡곤란증후군 (http://www.snuh.org/)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3.10.07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6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