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DS(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의 환자간호 (History, 진단적 기준, 발병률, 사망률, 원인, 병태생리, 기계적 치료, 내과적 치료).PPT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RDS(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의 환자간호 (History, 진단적 기준, 발병률, 사망률, 원인, 병태생리, 기계적 치료, 내과적 치료).PPT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History
진단적 기준
발병률, 사망률
원인
병태생리
기계적 치료
내과적 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ARDS의 환자간호




급성호흡곤란 증후군(ARDS) -History

• 1967년 처음으로 기술

• 성인에게만 일어나는 증후군이라 생각하여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이라 불려졌다.
 ->젊은 환자에서 이 증후군이 이환됨을 인지하고 현재 용어로 불려짐.




급성호흡곤란 증후군(ARDS) -진단적 기준

➢ 1967년 ashbaugh-ARDS의 임상적 특징 보고
 ① 호흡곤란
 ② 산소호흡으로도 호전되지 않는 청색증
 ③ Chest X-ray상 양폐야 침윤

➢ 1994년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
 : 급성폐손상(ALL)과 급성호흡곤란 증후군(ARDS)의 진단적 기준 제시




ALL과 ARDS의 진단적 기준

┌─────────────────────────────────────────────────
│         기준         │   ALL    │ ARDS
├─────────────────────────────────────────────────
│ PaO2: FiO2비율 (PEEP수준에 관계없이) │ 300보다 작음 │ 200보다 작음
│       Chest x-ray        │ 양쪽 침윤
│      폐모세혈관쐐기압      │ 18mmHg보다 작거나 혹은 좌심방 고혈압의 적응점이 없음
└─────────────────────────────────────────────────




폐모세혈관 쐐기압 pulmonay capillary wedge P.

• 목적: 혈류학적 변수에 대한 직접적이고 정확한 관찰을 통하여 유발될 수 있는 critical status를 미리 예방하고 진행되어지는 상태에 대한 즉각적이고 신속한 그리고 정확한 처치 및 그에 따른 수행을 하기 위함

• 좌심실기능에 대한 정보 사정

• Swan-ganz cath.이용하여 좌심실의 기능 지표인 좌심실 이완기말압을 측정
 -좌심실 이완기말압: 12~15mmHg
 -폐동맥 이완기말압: 4~12mmHg
 -폐모세혈관압: 4~12mmHg
  • 가격1,5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4.04.19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14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