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중풍의 개요
Ⅱ. 양방적 중풍
Ⅲ. 한방적 중풍
Ⅳ. 중풍과 뇌졸중의 개념 차이
Ⅴ. 참고문헌
Ⅱ. 양방적 중풍
Ⅲ. 한방적 중풍
Ⅳ. 중풍과 뇌졸중의 개념 차이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를 사용하거나 관장을 하여 변비의 심함을 예방하고 젖은 배변 분이물이 그대로 있도록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8) 2~3주후 경과가 호전되고 의식이 좋아지면 점차 운동을 조금씩 해야하는데 누운 채로 손 발을 움직이도록 하고 앉고, 서고, 걷는 습관을 조금씩 연장해 간다. 마비된 쪽 상 하지 관절(關節)의 탈구(脫臼)에 주의해야한다.
Ⅳ. 중풍과 뇌졸중의 개념 차이
전통의학에서 말하는 중풍이란 ‘좋지 않은 바람을 맞았다’는 의미로 뇌졸중보다 더 크고 모호한 개념이다. 현대의학으로 보면 중풍의 범주내에는 고혈압고 포함되고, 말초성 안면 신경 마비도 포함된다. 그리고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파킨슨병과 간질까지도 포함된다. 이런 질환들은 현대의학적으로는 뇌졸중과는 엄격히 구별되며 치료도 전혀 다르다. 일 례를 들어 아사풍이라는 말초성 안면 신경마비는 중추 신경의 손상에 의한 안면마비와 발현되는 양상이 다르다. 환자로 하여금 위를 쳐다보도록 하면 뇌졸중을 안면마비가 온 경우에는 마비된 쪽 이마에도 주름이 잡히나, 말초성 안명신경에 손상을 입어 마비가 온 경우에는 마비된 쪽의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는다. 이 두 증상은 현대의학적으로 보아 원인과 병태생리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치료방법도 다르다. 전통의학에서는 이들 질환을 크게 풍의 개념으로 함께 치료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런 차이는 현대의학과 전통의학간의 질환에 대한 시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Ⅴ. 참고문헌
1. 전시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010, p.489~505
2. 김성훈,김동희,김정효 ,동의간호학, 정문각, 2003, p.198~203
3. 두산백과>의학>한의학>한의학상의질병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43782&mobile&categoryId=200000743
4.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실>의학백과사전>종합질병정보>뇌졸중
http://www.snuh.org/health/medical/ContentsView1.jsp?id=NS01&sub=1&seq=0
5. 너스케입>간호도서관>의학정보>뇌졸중
http://www.nurscape.net/
6. 동강한방병원 사상체질과장, 전문의 이현민, 「중풍의 한방적 치료와 예방(2)」, 『울산종합신문』, 기사작성일 : 2005-03-19 10:14:15
http://www.ujnews.co.kr/?bo_table=hanbang&doc=bbs/gnuboard.php&wr_id=7
7. 동신대학교한방병원>진료네트워크>건강상담
http://www.dsuoh.co.kr/?m=bbs&bid=faq&uid=34
8. 행복의집>질병>중풍
http://www.1004tv.net/cgi-bin/1004/read.cgi?board=data&nnew=2&y_number=21
9. 전북대학교병원>정산임산신경센터>뇌졸중교실>F.A.Qhttp://www.js-stroke.com/gnuboard4/bbs/board.php?bo_table=faq&wr_id=8
8) 2~3주후 경과가 호전되고 의식이 좋아지면 점차 운동을 조금씩 해야하는데 누운 채로 손 발을 움직이도록 하고 앉고, 서고, 걷는 습관을 조금씩 연장해 간다. 마비된 쪽 상 하지 관절(關節)의 탈구(脫臼)에 주의해야한다.
Ⅳ. 중풍과 뇌졸중의 개념 차이
전통의학에서 말하는 중풍이란 ‘좋지 않은 바람을 맞았다’는 의미로 뇌졸중보다 더 크고 모호한 개념이다. 현대의학으로 보면 중풍의 범주내에는 고혈압고 포함되고, 말초성 안면 신경 마비도 포함된다. 그리고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파킨슨병과 간질까지도 포함된다. 이런 질환들은 현대의학적으로는 뇌졸중과는 엄격히 구별되며 치료도 전혀 다르다. 일 례를 들어 아사풍이라는 말초성 안면 신경마비는 중추 신경의 손상에 의한 안면마비와 발현되는 양상이 다르다. 환자로 하여금 위를 쳐다보도록 하면 뇌졸중을 안면마비가 온 경우에는 마비된 쪽 이마에도 주름이 잡히나, 말초성 안명신경에 손상을 입어 마비가 온 경우에는 마비된 쪽의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는다. 이 두 증상은 현대의학적으로 보아 원인과 병태생리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치료방법도 다르다. 전통의학에서는 이들 질환을 크게 풍의 개념으로 함께 치료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런 차이는 현대의학과 전통의학간의 질환에 대한 시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Ⅴ. 참고문헌
1. 전시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010, p.489~505
2. 김성훈,김동희,김정효 ,동의간호학, 정문각, 2003, p.198~203
3. 두산백과>의학>한의학>한의학상의질병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43782&mobile&categoryId=200000743
4.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실>의학백과사전>종합질병정보>뇌졸중
http://www.snuh.org/health/medical/ContentsView1.jsp?id=NS01&sub=1&seq=0
5. 너스케입>간호도서관>의학정보>뇌졸중
http://www.nurscape.net/
6. 동강한방병원 사상체질과장, 전문의 이현민, 「중풍의 한방적 치료와 예방(2)」, 『울산종합신문』, 기사작성일 : 2005-03-19 10:14:15
http://www.ujnews.co.kr/?bo_table=hanbang&doc=bbs/gnuboard.php&wr_id=7
7. 동신대학교한방병원>진료네트워크>건강상담
http://www.dsuoh.co.kr/?m=bbs&bid=faq&uid=34
8. 행복의집>질병>중풍
http://www.1004tv.net/cgi-bin/1004/read.cgi?board=data&nnew=2&y_number=21
9. 전북대학교병원>정산임산신경센터>뇌졸중교실>F.A.Qhttp://www.js-stroke.com/gnuboard4/bbs/board.php?bo_table=faq&wr_id=8
추천자료
[뇌성마비][뇌성마비아][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 치료][뇌성마비 간호][뇌성마비아 장애 극복...
[실어증][실어증 원인][실어증 증상][실어증 치료][실어증 회복][K-BNT]실어증의 정의, 실어...
[우울증][우울증 정의][우울증 원인][우울증 종류][우울증 발병률][우울증 증상][우울증 치료...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의 원인과 성격장애의 종류 증상 치료, 정신 치료의 정의와 목적
[골절][경골골절][상완골골절][골절치료][뼈][골격]골절의 정의와 양상, 골절의 유형, 경골 ...
[폐암][폐암의 정의][폐암의 원인][폐암과 흡연][폐암과 폐기종][폐암의 치료법][폐암의 예방...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아래와 같은 가족치료이론 중 2개를 선택하여 설명...
[쇼크, 충격, 쇼크 정의, 쇼크 원인, 쇼크 분류, 쇼크 증상, 충격 단계, 쇼크 치료]쇼크(충격...
가족치료의 정의, 특징, 가족치료이론에 대한 개인의견
반사회적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정의 및 특징, ...
자신에게 가능성 있는 정신장애를 선정하여 자신의 경우 원인, 증상 일반적인 치료법과 자신...
ADHD의 정의 및 원인, 증상과 치료방법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방법과 부모교육의 내용...
★ 지적장애 - Intellectual Disorder ( 지적장애의 정의, 지적장애의 특성, 지적장애아의 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