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간호인력수급 이슈
2. 본론
1) 간호사 인력수급 현황
2) 간호사 인력수급 문제
3) 간호사 인력수급 문제 개선방안
1) 간호인력수급 이슈
2. 본론
1) 간호사 인력수급 현황
2) 간호사 인력수급 문제
3) 간호사 인력수급 문제 개선방안
본문내용
기관 확대와 증원은 교육환경의 질 저하를 가져오므로 더 이상 의미 없는 증원을 멈추고 임상 술기의 직접 실습 기회를 늘리고, 임상 실습 현장 지도자를 위한 질적 교육 등으로 간호 실습의 질 향상을 높이고, 신규 간호사의 현장 적응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여덟째, 입원관리료 중 간호 수가는 25%만 인정되고 있어 완전한 간호수가로 볼 수 없으며, 간호·간병서비스는 모든 간호사 대상의 수가가 아니기 때문에 따로 독립된 ‘간호 수가’를 만들어야 한다(곽월희 대한간호협회 정책위원장, 2019).
또한, 긍정적인 간호업무환경을 조성해 간호사의 재직을 유도하고, 숙련된 간호사를 확보해 환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하며, 인증을 받은 병원이 일하기 좋은 병원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평가인증제도가 잘 작동해야 한다(조정숙 대한간호협회 이사, 2019).
간호사의 이직률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실제 이직률 감소를 위한 간호사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신입 간호사 이직 감소, 지속 근무 증가, 직무만족도 증가, 스트레스 감소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고 프로그램 운영비용 대비 성과를 분석하면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이스 피츠패트릭 교수, 2019).
참고 문헌
정윤식 기자. ‘신규간호사 80% 수도권·부울경 지역에 몰려’, 의학신문, 2019.05.20. URL:http://www.bosa.co.kr
홍완기 기자. ‘간호인력 58%, 종합병원급 이상 “쏠림”’, 의협신문, 2019.04.12. URL:http://doctorsnews.co.kr
정규숙 편집국장. “[2019 간호계 주요 뉴스 ②]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개선 \'국회 정책토론회\'”, 간호사신문, 2019.12.18. URL:http://nursenews.co.kr
이태화 외. 국내외 간호사 인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1호. 2014년 1월.
통계청. 의료인력 및 병상수 추이.보건복지부; 2021-02. URL:https://www.index.go.kr/potal/info/idxKoreaView.do?idx_cd=2772
정다솜 기자. ‘교대근무, 야간근무, 부족한 휴식도 사직의 이유다.’, 참여와혁신, 2021.06.04. URL:http://www.laborplus.co.kr
김진현 외, ‘간호사인력의 수급 현황과 중장기 추계’, (2017,4) Vol. 19, No. 2 (B), pp. 1083-1097
여덟째, 입원관리료 중 간호 수가는 25%만 인정되고 있어 완전한 간호수가로 볼 수 없으며, 간호·간병서비스는 모든 간호사 대상의 수가가 아니기 때문에 따로 독립된 ‘간호 수가’를 만들어야 한다(곽월희 대한간호협회 정책위원장, 2019).
또한, 긍정적인 간호업무환경을 조성해 간호사의 재직을 유도하고, 숙련된 간호사를 확보해 환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하며, 인증을 받은 병원이 일하기 좋은 병원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평가인증제도가 잘 작동해야 한다(조정숙 대한간호협회 이사, 2019).
간호사의 이직률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실제 이직률 감소를 위한 간호사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신입 간호사 이직 감소, 지속 근무 증가, 직무만족도 증가, 스트레스 감소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고 프로그램 운영비용 대비 성과를 분석하면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이스 피츠패트릭 교수, 2019).
참고 문헌
정윤식 기자. ‘신규간호사 80% 수도권·부울경 지역에 몰려’, 의학신문, 2019.05.20. URL:http://www.bosa.co.kr
홍완기 기자. ‘간호인력 58%, 종합병원급 이상 “쏠림”’, 의협신문, 2019.04.12. URL:http://doctorsnews.co.kr
정규숙 편집국장. “[2019 간호계 주요 뉴스 ②]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개선 \'국회 정책토론회\'”, 간호사신문, 2019.12.18. URL:http://nursenews.co.kr
이태화 외. 국내외 간호사 인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1호. 2014년 1월.
통계청. 의료인력 및 병상수 추이.보건복지부; 2021-02. URL:https://www.index.go.kr/potal/info/idxKoreaView.do?idx_cd=2772
정다솜 기자. ‘교대근무, 야간근무, 부족한 휴식도 사직의 이유다.’, 참여와혁신, 2021.06.04. URL:http://www.laborplus.co.kr
김진현 외, ‘간호사인력의 수급 현황과 중장기 추계’, (2017,4) Vol. 19, No. 2 (B), pp. 1083-1097
추천자료
유료노인복지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 방향
[사회복지][민간복지][공공복지][사회복지체계][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의 의의, 민간복지의 ...
사회복지사자격제도의 발전과정, 교육환경과 사회복지사자격제도의 등급별 기준 및 미국의 사...
고용허가제의 정의, 고용허가제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고용허가제의 주요내용, 고용허가제의 ...
[인력수급, 노동시장, 물류업체, 방송산업, IT산업(정보기술산업)]노동시장의 인력수급, 물류...
[의료사회사업론 B형]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요, 노인장기요양 인정신청, 등급판...
[의료사회사업론2A] 우리나라 노인보건복지 현황, 노인복지시설 및 인력, 제도의 개선방안
육아휴직제도의 필요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
치매안심센터의 등장배경, 현황 및 치매국가책임제의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