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 간호과정 (간호사정,진단,계획,수행)과 감염관리 체계,방법,효과 분석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염관리 간호과정 (간호사정,진단,계획,수행)과 감염관리 체계,방법,효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감염관리의 정의

2. 전염성 질환 감염관리

3. 감염관리 체계

4. 감염관리 방법

5. 감염관리의 효과

6. 감염관리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1) 간호목표 설정
2) 간호중재 계획
(4) 간호수행

본문내용

리식염수로 희석하여 사용
(2) Benzol peroxide: 5-10% b.p.로션은 여드름 치료에 사용됨
(3) 과망간산칼륨(KMnO4):수렴, 함수, 방부소독, 해독, 화농성, 악취제거, 삼출성 습진이나 환부의 소독, 질이나 방광세척용으로 0.02-0.2%용액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6) 염소제제:수질 정화를 위한 음료수의 소독과 가구 등의 청결에 흔히 쓰이나 강한 부식작용이 있어 금속류에는 사용되지 않음, 값이 비싸고 작용이 신속하나 부식성이 있고 유기물을 불활성화시켜 많이 사용하지 않음, 치아염소산염
(1) 염소:자극성과 부식성이 강해 상수도, 하수도 소독 외 사용하지 않음
(2) 염화제피란(zephiran chloride)
7) 중금속류
(1) 질산은(silver nitrage)
- 화상환자드레싱, 신생아 점안, 구내염에 사용됨
- 차광하여 보관
(2) mercurochrome : 피부소독에 사용됨
8) 요오드 화합물 : 요오드는 미생물의 세포벽을 빠르게 투과하여 단백질과 헥산의 구조와 합성력을 저해시켜 살균력이 나타남, 피부소독에 사용됨
(1) 요오도(iodine)
(2) 포비돈 요오드(iodophors)
4. 멸균법
1) 멸균 과정
(1) 청결 : 멸균할 기재를 씻음(미생물의 수 감소), 빳빳한 솔로 깨끗이 씻은 후 맑은 물로 여러 번 헹구고 건조
(2) 포장 : 적절한 방법으로 포장 시 멸균상태 보존
- autoclave indicator : 간편하게 쓸 수 있는 표시(고압증기멸균의 높은 온도에 노출 시 사선으로 검은 줄 무늬가 생김)
(3) 보관 및 배부
- 보관 : 멸균된 기재는 깨끗하고 건조한 서랍, 장에 보관
- 배부 : 중앙공급부
2) 멸균법의 종류
(1) 고압증기멸균(Autoclave)
습기와 높은 열 가하여 모든 미생물을 파괴시키는 물리적 방법, 121℃, 15lb의 압력에서 약 15분간 멸균
수술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계류, 기구류, 린넨류, 분만장의 기구, 특수검사용 기구 등에 사용
- 기름, 가루, 프라스틱, 고무제품 사용 불가
(2) E.O(ethylene oxide) 가스
- 10.8도 이하에서는 액체이나 그 이상 온도에서는 가스화
- 50% 습도, 54도, 5시간 작용
각종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 각종 카테터 및 내시경, 유리앰플 등 열에 약하고 습기에 예민한 기구 소독
장) 열에 약한 물품 멸균에 사용, 모든 미생물이나 아포를 죽임, 비부식성이고 물품에 손상을 주지 않음, 구멍이 있는 모든 물질을 완전히 투과, 가스는 위험하지 않음
단)경비 많이 들고 피부 닿을 시 화상 위험
(3) 열에 의한 멸균
1) 건열 : 150-170도, 1~2시간 건열하는 방법으로 미생물을 완전 멸균하는 방법
ex) 유리기구, 주사기, 주사바늘, 탈쿰분말,파라핀, 페트로라툼거즈, 기름 등
2) 습열 (자비소독법) : 자비멸균기로 5~10분간 또는 30분간 끓여서 소독하는 방법
- 100도의 습열을 이용하는 방법(가정에서 효율적)
- 아포를 형성하지 않는 전염성 병원체를 죽일 수 있음
(4) 전자파 조사에 의한 멸균
1) 자외선 조사멸균법 : 무균실, 수술실 벽면과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미생물을 파괴시키는데 이용(햇빛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파괴하는 방법도 이에 속함)
2) 엑스선(X-ray) 조사 멸균법
5. 격리 예방조치
1) 범주별 격리지침 : 엄격한 격리, 접촉격리, 호흡격리, 결핵격리, 장 예방조치, 배액/분비물 예방조치, 혈액/체액 예방조치
2) 질병별 격리 예방조치
3) 전반적 예방조치
4) 신체물질 격리
1) 표준 예방조치 : 혈액, 체액과 분비물, 손상된 피부 및 점막에 적용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접촉 후 손 씻기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오염된 물건 접촉 시 장갑 착용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이 튀길 우려 있을 시 마스크, 보호안경, 얼굴 가리개, 가운 착용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로 더러워진 기구는 재사용시 소독, 1회용 기구는 폐기
더러워진 린넨은 옷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운반
사용한 바늘이나 다른 기구들로부터 손상 예방
2) 전파-근거 예방조치
공기전파(5마이크론 이하 병원균 차단, 1m 이상 거리) : 공기 음압체계 병실 사용, 독방 or 같은 질병의 환자와 같은 병실 사용, 대상자 이동시 마스크 착용
비말(5마이크론 이상 병원균 차단, 1m 이내 거리) : 공기전파와 유사
접촉: 독방 or 같은 질병의 환자와 같은 병실 사용, 장갑 착용,
6. 개별보호장구 착용
- 마스크(공기나 비말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착용, 체액분사될 경우 사용)
- 가운(위생가운, 멸균가운은 광범위한 상처가진 대상자의 드레싱 교환시 사용)
- 보호 안경(체액 분사 위험 있을시 사용)
- 장갑(멸균장갑은 개방성 상처와 접촉하는 경우 착용, 그 외 위생장갑 많이 착용)
이중포장 함: 오염된 물건의 포장이 다른 포장안에 쌓이는 관리방법
공기나 비말로 전파된다면 환자에게 마스크나 호흡기를 씌울 것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모든 직원은 개인 보호 장비 착용
7. 외과적 무균술
외과적 무균법: 장비에 아포를 포함한 미생물이 전혀 없도록 하는 방법, 수술실, 분만실, 특수진단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사용
무균기술(sterile technique): 무균 물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행위
1) 원칙
표시된 만기일 경과 시 더 이상 멸균된 것으로 간주하지 않음
바깥에서 2.5cm 까지의 가장자리는 오염지대로 간주
멸균포장이 젖으면 미생물 침투해 오염된 것으로 간주
허리선 이하의 것은 감시가 안되어 오염된 것으로 간주
외과적 손씻기 동안 손을 팔꿈치보다 위로 하기
2) 멸균영역 만들기
멸균포장 물품 열기
멸균용액 따르기: 용액을 따르는 동안 뚜껑을 들고 있으려면 뚜껑의 안쪽 면이 아래로 향하게 들고 있어야 하며, 테이블에 놓으려면 뚜껑의 안쪽 면이 위로 향하게 놓아야 함
용액이 튀어서 젖은 오염지역 만들지 않기 위해 용기의 높이가 너무 높지않게 함
3) 개인용품 착용하기
멸균가운 입기, 외과적 모자와 마스크 쓰기, 멸균장갑 끼기, 멸균 꾸러미 열기, 멸균용액 붓기, 멸균 영역에 멸균물품 첨가하기, 멸균포 펴기
  • 가격4,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3.10.13
  • 저작시기202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67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