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질리언스 모델이 갖는 장점은 무엇인지 논의해 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질리언스 모델이 갖는 장점은 무엇인지 논의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레질리언스란

2. 레질리언스 모델

3. 레질리언스 모델이 갖는 장점
1) 상태를 되찾음
2) 보호
3) 위험

4.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르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된 바가 있다. 이는 외상치료의 회복이 증상 완화를 지향했다면 심리치료에서는 무엇으로 지향할 것인가를 고민해 왔다. Anthony(1993)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레질리언스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레질리언스는 개인적이고 독특한 과정으로 비록 질병으로 인한 한계는 있을지라도 커다란 어려움을 딛고 성장함에 따라 자신의 삶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 통제력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Long(1994)은 레질리언스를 자신의 질병에 맞서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잠재력과 강점을 발견해 나가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레질리언스는 학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Jacobson and Curtis(2000)은 레질리언스 개념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몇 가지 특성들을 정리하였다. 즉 레질리언스는 목표점이라기보다는 되어가는(becoming) 과정을 의미하며, 각 개인마다 개별적인 경로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반면 레질리언스에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서 문제에서 강점을 찾고 변화에 대한 희망을 갖는 것이라는 점은 공통된 현상이다. 이는 문제의 주체자로서 고통과 어려움을 새로운 시각으로 인식한다는 측면에서 강점관점이 지향하는 시각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레질리언스는 강점관점의 특성을 소유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레질리언스 모델이 갖는 장점은 무엇인지 논해 보았다. 강점관점은 레질리언스의 속성을 유지시키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바로 강점관점은 치료의 초점을 문제 중심에서 강점중심으로 이동시켰다는 점이다. 병리적 시각에서의 치료는 질병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회복은 ‘증상 없음’ 또는 ‘완화’로 보았다. 병리적 관점에 의한 외상치료가 주류를 이루면서 이러한 시각은 심리적인 문제에도 자연스럽게 활용되었다. 따라서 심리적인 문제도 레질리언스의 초점을 ‘증상완화’로 보았지만 이러한 의미의 레질리언스가 심리적인 측면에서 적용되는 데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을 보여주었다. 특히 병리적 관점의 시각에서 개입 된 치료 결과는 일시적으로 증상 완화가 되기도 했지만 장기적인 레질리언스로 유지되지 않았다. 즉 병이 재발되거나 또는 다른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많아 치료과정은 반복되었다. 따라서 질병중심의 치료를 통해 나타난 회복은 단기적이고 표면적이다 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즉 병리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적 치료의 결과를 레질리언스로 간주하기에는 문제가 많다. 따라서 심리적인 치료에서 궁극적인 레질리언스의 초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방안이 모색되었다.
Ⅳ. 참고문헌
김미영(2011). 정신장애인의 레질리언스모형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오현경. “청소년 학업 레질리언스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13.
김지영(2002). 정신분열증환자의 레질리언스경험: 삶의 재구성과정.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박애란(2008). 알코올 의존자의 레질리언스경험 : 삶의 거듭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10.15
  • 저작시기202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6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