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철학의이해, 공통) 플라톤 “에우튀프론”의 내용 요약과 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3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철학의이해, 공통) 플라톤 “에우튀프론”의 내용 요약과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플라톤 “에우튀프론”의 내용 요약과 감상문

1. 내용 요약

2. 감상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람의 모습이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질문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거나 주저한다. 묻는 것 즉, 질문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는 상대방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귀를 기울여 듣고,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을 가려내고,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만들어서 상대방의 반응을 얻어낼 수 있는 말을 건네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어느 한 단계에서라도 잘못되면, 상대방으로부터 엉뚱한 답변이 돌아오거나 상대방의 분노를 사게 마련이다.
에우튀프론 에서 소크라테스는 질문을 성공적으로 하는 사람일까? 이런 측면에서 보면 다른 사람들의 판단은 어떤지 잘 모르겠으나,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대한 내 평가는 다소 낮은 점수이다. 소크라테스의 집요함 하나만큼은 높이 살 만하다고 생각하지만, 소크라테스의 대화 상대가 이런저런 말을 아무렇게나 내던지는 것처럼 생각되는 만큼이나, 소크라테스 또한 상대방이 어떤 의도로 말하는지 알면서도 이상한 방식으로 질문을 던지는 것처럼 보인다. 에우튀프론 본인도 자기의 주장이 긴가민가하는 애매한 부분에서는 트릭을 거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특히 에우튀프론 의 핵심으로 꼽히는 \'경건하기 때문에 사랑받는가, 사랑하기 때문에 경건한가?\'에 대한 논의 부분이 그렇다. 상대를 논쟁에서 항복시키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그런 기술을 걸어본 것인지도 모른 다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우튀프론 에서 전면적으로 다루는 주제인 ‘경건함’에 관한 에우튀프론과 소크라테스, 이 두 사람의 생각은 음미해볼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 소크라테스가 대화를 통해 직접 말하였듯이, 이것은 신들조차도 합의할 수 없을지 모르는 그런 유형의 문제일지도 모른다. 아마 뭉뚱그리면 가치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사람들은 대체로 “좋은 게 좋은 거”라고 상황에 맞춰서 생각하게 마련이고, 실제로 이것은 인간 삶에 큰 도움이 되는 태도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반성하지 않는 우리들의 삶에, 소크라테스는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면서 논리적·실천적인 일관성을 갖추기를 요구한다. 혹여 논리적·실천적인 일관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다가 에우튀프론처럼 다이달로스의 순환 논증에 빠져서 허우적댈 수 있을지라도 이러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에는 현실에서 어떠한 판단도 내릴 수 없는 끔찍한 상황에 갇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에우튀프론 에서는 에우튀프론이 신관인 점에서 신관의 가장 큰 덕목으로 \'경건함\'이 뽑힌다. 따라서 에우튀프론은 가장 경건함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사람일 텐데, 그러한 에우튀프론 조차 경건함에 대해 그 경건함이 무엇인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상황 자체가 그러한 경건함에 대한 의문과 회의를 담고 있는 내용이다. 또한, 신비와 열정의 영역으로 취급되던 경건함의 문제 역시 결국 \'앎\' 의 문제라는 것을 논증함으로써 인간으로서의 훌륭함은 앎에 의해 성취된다는 소크라테스, 플라톤의 사상이 잘 드러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참고문헌
플라톤 “에우튀프론” 강성훈 옮김. 아카넷. 2021
  • 가격6,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10.17
  • 저작시기202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7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