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은 선진국이 됐고, 많은 나라들이 한류에 열광하지만 과연 대다수 한국인은 행복할까? 이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 이유를 설명하기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각종 생활급여(생계급여)를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UAE의 경우 자국민 빈곤층에게 매달 약 5,000달러 이상의 생계급여를 지급하기에 UAE에는 공식적으로 빈곤층이 사라지게 되었다고 하는데... 이처럼 석유 자원부국에 살고 있는 국민들은 굳이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나라에게 국민의 생계문제를 책임져주기 때문에 행복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반면,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생산적 복지를 지향하면서 일할 생각이 없는 사람에게는 실업급여를 지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철저한 자산조사 및 구직활동 참여를 전제로 빈곤층에게 생계급여를 제공하고 있는데, 문제는 빈곤층에게 지급되는 생계급여가 터무니없이 적기 때문에 생계급여를 받는 빈곤층도 정상화되기도 힘들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한국 사람들은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나름대로 열심히 살아갈 수 밖에 없게 되었고, 무한경쟁이 반복됨에 따라 삶 자제가 피폐되었음은 물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없는 그런 골목길로 내몰린 상태라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한국인을 읽는다 (삶이 던지는 물음에 대표 석학 12인이 대답하다), 저자 최재천, 공우석 외 3명, 출판 베가북스, 2021.11.08.
반면,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생산적 복지를 지향하면서 일할 생각이 없는 사람에게는 실업급여를 지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철저한 자산조사 및 구직활동 참여를 전제로 빈곤층에게 생계급여를 제공하고 있는데, 문제는 빈곤층에게 지급되는 생계급여가 터무니없이 적기 때문에 생계급여를 받는 빈곤층도 정상화되기도 힘들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한국 사람들은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나름대로 열심히 살아갈 수 밖에 없게 되었고, 무한경쟁이 반복됨에 따라 삶 자제가 피폐되었음은 물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없는 그런 골목길로 내몰린 상태라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한국인을 읽는다 (삶이 던지는 물음에 대표 석학 12인이 대답하다), 저자 최재천, 공우석 외 3명, 출판 베가북스, 2021.11.0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