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병동 사례보고서 양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병동 사례보고서 양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간호사례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
호흡 양상
호흡음
4/29
10:00
40
얕음
쌕쌕거림
14:00
38
얕음
쌕쌕거림
20:00
38
얕음
쌕쌕거림
4/30
08:00
35
조금 얕음
쌕쌕거림
14:00
36
조금 얕음
약하게 쌕쌕거림
20:00
37
정상
약하게 쌕쌕거림
5/1
08:00
36
정상
정상음
14:00
37
정상
정상음
3. 6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음을 사정하였다.
4/29 - 청진시 Rale과 wheezing이 들린다.
4/30 청진시 Rale과 wheezing이 줄어들었다.
5/1 청진시 Rale과 wheezing이 들리지 않는다.
4.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시범을 보이며 흉부물리요법(타진)을 설명하고, 20~30분마다 한 번씩 3~5분간 실시하도록 하였다.
5. 하루 4번 Nebulizer를 적용하였다.
1, 3회 시 살부타몰 0.5cc + 부데코트 1개
2, 4회 시 살부타몰 0.5cc + 생리식염수 2cc
6. 분비물이 있을 시 흡인하고, 호흡상태를 관찰하였다.
4/29 17:00 콧물, 가래가 심하고, 기침하다 구토했다 하여 흡인 시행하였음.
흡인 후 호흡양상 개선됨.
7. 보호자에게 분비물이 묽어지도록 하기 위해 가습기를 틀고, 환아가 하루 800ml 정도의
수분 섭취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1. 호흡 시 쌕쌕거리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달성)
▶ 입원 시에는 호흡 시 쌕쌕거리는 소리가 들렸는데, 5월 1일에는 정상호흡음이 들렸다.
2. 청진 시 Rale과 wheezing이 들리지 않는다. (달성)
▶ 입원 시에는 Rale과 wheezing이 들렸는데, 5월 1일에는 Rale과 wheezing은 들리지 않았다.
3. 효율적인 호흡 양상을 보인다. (달성)
▶ 3일째 가래 소리가 덜 나며 호흡을 하는데 얼굴표정이 편안해 보였다.
일시
2023년 4월 29일
입원 ( 1 ) 일
사정
주관적자료
“아이가 기침 때문에 잠을 못자요.”(엄마)
“아이가 밤에 기침하다가 토했어요.”(엄마)
“아이가 새벽에 깨서 계속 칭얼거려요.”
객관적자료
- 진단명 : Acute Bronchitis, Asthma
- AM 1시 경에도 아직 자지 않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이전 수면양상 : 12시간 이상 → 기침으로 인해 약 8시간 이하로 줄어들음
기침 시 발작적인 기침을 하는 것이 관찰됨
간호진단
기침과 관련된 수면양상의 장애
목표
단기목표
보호자가 1일 내에 수면의 방해요인과 증진방법에 대해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보호자가 퇴원 시까지 편안히 수면을 취함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1. 대상자의 평소 수면습관을 사정한다.
2. 매일 오후 11:00에 수면을 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3. 수면에 방해가 되는 환경적 요인을 개선한다.
4. 대상자와 함께 수면증진을 위한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5. 수면증진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교육한다.
6. 취침 전 수면에 방해가 되는 행동을 교육한다.
1. 평소 수면습관을 사정해야 더 효과적으로 간호할 수 있다.
2. 규칙적으로 수면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충분한 수면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시끄러운 환경, 밝은 조명은 수면과 휴식을 방해하므로 편안하게 쉴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정상적인 수면에 들 수 있도록 한다.
4. 대상자와 함께 방해요인과 증진 방법을 이야기하면서 대상자 스스로 수면에 도움이 되는 방법에 대한 insight를 갖게 할 수 있다.
5. 수면증진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는 따뜻한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이 있다.
6. 취침 전 과도한 움직임은 수면을 방해한다.
간호
중재
1. 대상자의 평소 수면습관을 사정하였다.
평소 12시간 이상 수면하였지만, 최근 수면시간이 8시간으로 줄어들었다.
2. 매일 오후 11:00 시에 수면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4/29 오후 11:00 수면에 들지 않고 칭얼거리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3. 수면에 방해가 되는 환경적 요인을 개선한다.
- 스크린을 쳐서 사생활을 보호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함.
- 수면시간에는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간호를 수행함.
- 조용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병실의 문은 닫고 다니도록 함.
4. 대상자와 함께 방해요인(호흡곤란, 낯선 환경)과 증진 방법(낮잠 줄이기)을 이야기하면서 수면에 도움이 되는 방법에 대한 insight를 갖게 하였다.
5. 수면증진에 도움이 되는 음식(따뜻한 우유, 요구르트, 치즈)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6. 취침 전 과도하게 움직이는 활동을 하지 않을 것을 교육하였다.
평가
1. 보호자가 1일 내에 수면의 방해요인과 증진방법에 대해 말로 표현한다. (달성)
▶ 보호자가 4월 30일 수면의 방해요인(호흡곤란, 낯선환경)과 증진방법(수면에 도움되는 음식 섭취, 낮잠 자지 않기)에 대해 말로 설명하였다.
2. 퇴원 시까지 편안히 수면을 취하고 생활에 피로감을 느끼지 않음을 말로 표현한다. (달성)
▶ 대상자는 퇴원 전날 숙면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한 번도 깨지 않았다고 표현하였다.
Ⅳ. 결론
OO아동병원 주사실, OO병동에서 아동간호학 실습을 진행하였다. 처음에는 아동과 소통하는 것이 어색하고 당황스러웠지만, 점차 익숙해져 실습 8일 차인 오늘은 아동을 대하는 것이 첫날보다 훨씬 나아진 것을 느꼈다. 또한 정맥주사할 때 아동을 잡아주는 것이 조심스럽고 서툴렀는데, 안전하게 한 번에 바늘을 삽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고, 아동을 놓치지 않고 잘 잡아주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5병동에는 호흡기계 감염 아동이 많았으며 특히 기관지염, 천식 환아들이 대부분이었다. 병동 실습을 통해 아동의 쌕쌕거리는 호흡음을 실제로 처음 들어보아서 인상 깊었고, 네뷸라이저 적용 방법을 알게 되었다. 이번 사례연구보고서를 통해 질병에 대해 문헌고찰하고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중재를 고민해보면서 기관지염에 대해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Ⅴ. 참고문헌
- 방경숙 외(2018). 아동간호학 2판 학지사메디컬, p.333-334.
-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 김정혜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 드럭 인포 (www.druginfo.co.kr)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3.11.05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9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