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_Case study_Cerebral aneurysm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_Case study_Cerebral aneurysm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비파열성 뇌동맥류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간호수행-간호평가

Ⅲ. 결론 및 실습 소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도록 의뢰를 중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대상자에게 퇴원계획이 필요하지만, 대상자에 따라 구체적인 서비스가 필요하기도 하다. 대상자는 퇴원한 후에도 치료가 필요하며 고령으로 가족들의 간호가 필요하다. 만약 가족들이 이런 상황에 대비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대상자는 증세의 악화나 합병증을 경험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교육 시 보호자가 원하는 시간에 실시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치료적 계획
편안한 환경에서 교육해야 효과적인 교육이 될 수 있다.
교육적 계획
비 파열 뇌동맥류의 치료 후 장기간 경과 관찰에 대해 설명한다.
보호자에게 질문의 기회를 제공한다.
보호자에게 수술 관련 합병증, 위험성, 대상자에게 퇴원 후 주의사항, 질병 악화 예방 방법을 교육한다.
교육자료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이해를 돕는다.
교육 후 보호자에게 교육받은 내용에 대해 다시 말해보도록 한다.
교육적 계획
혈관 내 치료 후에는 불완전 폐색이나 재개통 등을 확인하기 위해 경과 관찰을 하는 것이 권고된다.
성공적인 퇴원계획에서 중요한 점은 대상자와 간호제공자들 간의 원활한 정보교환이다.
보호자에게 수술 관련 정보를 교육함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고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한다.
소책자 등의 교육자료는 교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돕는다.
보호자의 이해 정도를 사정하고 부족한 부분은 추가로 설명해주어야 한다.
간호수행
보호자가 현재 알고 있는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하였다.
보호자가 잘못 알고 있는 정보를 정정해주고, 서면화된 자료를 이용하여 필요한 내용을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대퇴동맥 지혈 중요성을 설명하였고, 검사 시행 다리를 최대한 조심하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퇴원 후 주의사항과 1주일간 Aspirin을 복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보호자에게 고혈압이 뇌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하고, 고혈압 예방 교육을 실시하였다.
간호평가
보호자는 대상자에게 대퇴를 굴곡하지 않는 올바른 체위를 취해주고,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였다.
보호자는 2일 이내 대상자의 복용 약물에 대해 말로 설명하고, 궁금한 점을 간호사에게 질문하였다.
보호자는 뇌동맥류의 합병증을 알고,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로 설명하였다.
Ⅲ. 결론 및 실습 소감
사례 연구의 대상자는 1990년경 첫 뇌 손상 발생부터 현재까지 본원에서 치료하였기에, 대상자의 History를 통해 뇌 손상의 장기간의 경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입원의 목적은 2개의 뇌동맥류 중 size가 더 큰 동맥류의 코일 색전술을 위함이었다. 대상자는 현재 2개의 동맥류와 우측 뇌경색 진단을 가지고 있는데, 상황에 따라 무엇을 우선하여 치료하는지 알 수 있었다.
코일 색전술(Coil embolization)뿐만 아니라, 개두술을 하는 cerebral aneurysm clipping과 동맥류와 뇌경색 등의 뇌혈관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TFCA(Transfemoral carotid angiography) 시술 전후 간호과정도 함께 배웠다.
국내에서 뇌졸중은 10대 사망원인 중 암, 심장 질환, 폐렴 다음으로 4번째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뇌졸중 환자는 질병 발생 부위와 정도에 따라 경험하는 건강 문제의 우선순위에는 차이가 있다. 이에 대상자들의 주 호소 증상과 뇌 손상 영역에 대해 학습해보았다. 대상자의 뇌 손상 영역을 알고, 미리 어떤 부분을 간호해야 할 것인지 계획할 수 있을 것 같다. 뇌졸중 환자들은 급성기 치료가 끝나면 급성기 후 병원에 입원하며 재활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신경외과에서 만난 대상자들의 의식상태는 alert부터 coma까지 단계별로 다양했다. 또한 진단검사를 위해 입원한 비교적 건강해 보이는 분들도 있었으나 편마비, 사지마비를 가진 대상자들이 더 많았다. 그래서인지 일반 병동과는 다르게 대상자들과의 대화보다 간병인이나 보호자와의 언어적 의사소통이 주를 이뤘다. 중증도가 높고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를 간호할수록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신경외과 실습은 지금까지의 성인간호학 실습 중 가장 중증도가 높은 대상자들이었다. 그래서인지 재활치료를 받으면서 점차 호전되는 대상자들을 보니 놀라웠다. 처음엔 의식도 없이 잠만 주무시던 대상자가, 실습이 끝나갈 때쯤 ‘고마워요’라고 하며 살짝 웃었다. 사실 실습 초반엔 이렇게 나아지리라 생각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Vital sign을 측정할 때 인사를 하고 측정 과정을 설명해 드렸었는데, 이러한 내 행동들이 더욱 옳게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Ⅳ. 참고문헌
강동훈, 김용선, 박재찬. (2010).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혈관 내 수술 (pp. 6-27). 대구광역시: 경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고흥, 문주호, 김기태, 신선미. (2014). 노화에 관련된 뇌위축과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8.2, 200-205.
공두식, 홍승철. (2004). 뇌혈관 질환에서 고혈당이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erebrovascular Surgery, 6(2), 155-159.
권양. (2000). 뇌동맥류의 혈관 내 수술시 합병증 발생과 치료법. Korean Journal of Cerebrovascular Surgery, 29, 1121-1125.
김영훈. (2021). 생명을 직접 위협하는 뇌동맥류, 유전인자 있다면 위험도 높아져. 꿈(KUMM), 14, pp. 4.
김형동. (2000). 뇌동맥류수술의 대뇌반구간 접근법. Korean Journal of Cerebrovascular Surgery, 2(2), 154-162.
박준오, 권택현, 박윤관, 정흥섭, 이훈갑, 서중근. (2001). 전 교통 동맥 동맥류 치료의 예후인자.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30(5), 592-599.
윤평호, 김용배. (2009). 뇌동맥류의 중재적 치료. J Neurocrit Care, 2009;2 Suppl 2:S74-S79.
최성희. (2007). 입원 환자 및 중환자실 환자에서 철저한 혈당 조절의 중요성.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지, 17(1), 31-36.
  • 가격5,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23.11.05
  • 저작시기202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94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