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 ~ 1980년대 중남미의 Nueva Cancion 운동과 한국의 민중가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60 ~ 1980년대 중남미의 Nueva Cancion 운동과 한국의 민중가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주제 선정 이유와 탐구동기

II. 본론
1.민중가요란 무엇인가
2.중남미와 한국의 민중가요 형성 배경과 전개
3.몇 가지의 키워드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불이 되자 하네 되자 하네 되고자 하네 다시 산 번 이 고을은 반란이 되자 하네 청송녹죽 가슴에 꽂히는 죽창이 되자 하네 죽창이 청송녹죽 가슴에 꽂히는 죽창이 되자하네 죽창이” - 김남주 『노래』
“내 기타는 돈 많은 자들의 기타도 아니고 그것과는 하나도 닮지 않았지 내 노래는 저 별에 닿는 발판이 되고 싶어 의미를 지닌 노래는 고동치는 핏줄 속에 흐르지 죽어갈 자의 혈관 속에서 참다운 진실을 노래하면서 내 노래에는 덧없는 칭찬이나 국제적인 명성이 필요 없다네 내 노래는 한 마리 종달새의 노래이 땅 저 깊은 곳에서 들려오지” -Victor Jara 『선언』中
위의 두 노랫말에 나타나듯 노래는 분명히 우리와 그들의 공통된 무기였다. 독재와 폭력에 저항하고 자유와 사랑, 평화와 평등을 노래했던 우리의 소망은 그들의 소망과 다르지 않다. 지구 반대편에 있지만, 지금의 경제적·사회적 환경을 고려하면 한참이나 동떨어져 있는 것 같지만, 실은 역사의 아주 중요한 부분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필자는 이를 통해 라틴아메리카가 품고 있는 역사와 현재의 아픔에 대한 우리의 무관심한 태도가 변화되기를 바란다. 그것이 전 세계의 행복을 위해 우리가 내딛을 수 있는 사소하지만 중대한 발걸음이 아니겠는가!
IV. 참고문헌
강웅식 (2006). 민중가요의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계간 서정시학, 16(1), 51-63
이장직 (1984). 라틴 아메리카의 <새로운노래>운동. 외국문학(2), 240-269
정경은 (2005). 한국 민중가요와 중남미 민중가요 비교 연구. 비평문학(21), 107-139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11.11
  • 저작시기201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0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