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복지론 SBHI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복지론 SBH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 대기업
ⅱ. 중소기업
ⅲ. 중소기업의 개념과 기준

Ⅱ. 본론
1. SBHI의 정의
2. 2017~2018년 상반기 건강도지수

Ⅲ. 결론
1. 결론
2. 출처

본문내용

강도지수
17. 01
17. 03
17. 05
17. 07
17. 09
17. 11
18. 01
18. 03
18. 05
전산업
95.9
95.0
95.6
95.7
95.4
96.6
96.5
96.4
95.7
제조업
98.5
97.1
97.1
97.6
97.5
98.2
98.0
97.5
97.0
비제조업
93.9
93.4
94.4
94.2
93.9
95.5
95.5
95.6
94.8
건설업
91.9
97.0
90.5
95.8
95.5
96.0
98.7
97.4
96.9
서비스업
94.5
92.5
95.4
93.8
93.5
95.4
94.7
95.2
94.2
2017년도 1월부터 2018년도 5월까지의 경기전망 조사입니다. 각 산업마다 100을 넘는 산업이 없는데 점차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이유는 중소기업의 근로수준, 임금수준, 근로시간, 작업환경, 복리후생 환경 등과 같이 많은 이유로 청년들이 중소기업으로 취업하는 것을 꺼려합니다. 중소기업마다 다르겠지만 현재 알려진 네이버, 카카오, 교보생명, 하이트 등과 같은 중소기업 이외에 다른 기업들은 복리후생이 좋지 않다고 합니다. 많은 이유로 청년들이 복리후생이 좋은 대기업으로만 취업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ⅱ-2. 기업의 애로요인
기업에서 말하길 2016년 중소기업의 인원부족 현상에 대해 조사해 보았는데 총업체수 30,278개 중 취업지원자가 없다의 60.3%, 직무능력이 없다 34.3%, 근무여건열악 48.4%, 장기발전 가능성 없음 12.7%, 이외의 인력유치 경쟁, 회사주변 문화복지시설없음, 구직자에 대한 정보 부족, 출퇴근의 불편함이 대부분의 의견입니다. 경기건강도지수에 나타나듯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가 대부분 취업을 대기업으로만 할려하기 때문입니다.
제조업종 및 매출액규모별
2016
업체수 (개)
취업 지원자 없음 (%)
직무능력 갖춘지원자 없음 (%)
근무 여건 열악 (%)
장기발전 가능성 낮음 (%)
인력 유치 경쟁 (%)
회사주변 문화복지 시설부족 (%)
구직자에 대한 정보제공 부족 (%)
출/퇴근 불편 (%)
합계
30,278
60.3
34.3
48.4
12.7
2.0
2.0
2.2
8.1
Ⅲ.결론
중소기업의 취업전망이 더 좋아지기 위해서는 대기업 못지않은 복리후생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을 한다. 고용 측면에서 기준점을 낮추고 교육을 통해 먼저 경험하고 결정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노동의 측면에서 근무자들의 복지혜택이 더욱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그 복지혜택 중 기본적인 유연근무제 자택근무 이외에 격려금 장려, 지각 출근제도, 결혼 시 지원, 기업 방학, 휴가비 지원 등과 같은 복지가 있었으면 한다.
출처
중소기업 [中小企業] (중소기업청 전문용어, 2010. 11., 대한민국정부)
중소기업의 개념과 기준 출처 http://sminfo.mss.go.kr/sc/si/SSI015R0.do
중소기업건강도지수 [Small Business Health Index, 中小企業健康度指數] (두산백과)
중소기업청, 2011, 중소기업에 관한 연차보고서.2011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11.13
  • 저작시기202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0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