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REPORT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REPORT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

본문내용

서 이 장면이 앞으로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가족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고도 추측한다. 그리고 책임질 수 없는 행동은 누군가의 인생에 큰 상처와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영화를 통해 다시 한번 알 수 있는 장면이었다. 부모의 역할과 부모의 기본적인 역할을 할 수 없다면 피임의 중요성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고로 공존과 책임의 필요성이 내면 깊은 곳으로부터 와닿았다.
#4 “못 걷는 것만 우울한 거 아니에요. 계속 걷는데 제자리걸음인 것 그것도 억울해요.”이다. 장애인 비장애인을 떠나서 우리는 살아가면서 어려움이 있는데 그런 서로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위로해주는 사람이야말로 이 시대에 진정한 필요한 사람이 아닐까? 즉 사람은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나 누구나 어려움이 있고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것이다. 즉 장애인은 필요 없고 비장애인은 필요한 게 아니라 서로가 부족한 부분을 테트리스처럼 채워줄 수 있는 존재가 필요하다는 게 이 시대가 원하는 걸음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완벽한 사람보다는 함께 할 수 있는 동반자를 원하기에 혼인도 하고 그렇기에 가족을 필요로 하는 게 아니겠냐는 생각이 든다. 인간이 사회적인 존재이기에 장애인 비장애인을 구분을 짓는 게 아니라 서로 연대하여 돕고 살아야 한다는 게 인류애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필요하다는 것을 이 대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어서 감명 깊었다. 즉 함께하면 강해진다.
4. 결론
이 영화를 보면서 장애인에 대한 나의 편견을 알 수 있었고 나는 내가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별로 없다고 생각했는데 미현이라는 인물을 보면서 나 역시 다른 비장애인들처럼 장애인에게 색안경을 끼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중요한 것은 이 영화를 통해 장애인들은 일방적으로 도와줘야 하는 수동적인 대상이 아니라 함께 지구사회를 살아가는 독립적이고 서로 보완해야 하는 동지로서 인식하는 계기가 되어서 스스로 각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앞으로 장애인들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다른 부분이 있는 또 다른 인간으로서 인식해야겠고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기에 장애인 비장애인을 떠나서 상부상조하며 살아가며 이왕이면 서로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고 지역사회와 지구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살아야겠다. 인간은 누구나 행복추구권이 있다. 이 영화를 통해 행복추구권에 대해 다시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었고 사회복지를 학습하는 만큼 인간의 행복에 조금이라도 이바지하는 일을 하며 보람을 느끼고 싶다. 정말 뜻깊은 과제였고 나 역시 영화 속 미현이라는 인물처럼 오염된 사고방식 없이 장애인, 비장애인 모두에게 유익한 인력으로 함께하고 싶다.
“사람은 태어나서 끝까지 살아야 할 책임이 있다.”라는 대사처럼 우리는 왜 태어났는지, 이런 사명감을 잊고 지낼 때가 많다. 경쟁에서 지고, 하고자 하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나 자신을 평가절하하고 자신을 괴롭혔다. 그러나 누구에게나 삶은 귀중하고 시간은 돈으로도 살 수 없는 것이다. 각자의 행복은 다르지만, 누구나 행복해질 권리는 있다는 것을 부디 잊지 말아야겠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11.17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0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