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1. 성인에서의 KTAS 적용
1) 응급환자 분류과정
2) 1차 고려사항
3) 기타 1차 고려사항
4) 2차 고려사항
2. 소아에서의 KTAS 적용
1) 소아를 위한 응급환자 분류지침
2) 성인, 소아분류의 비교
3) 1차 고려사항
4) 기타 1차 고려사항
5) 2차 고려사항
1) 응급환자 분류과정
2) 1차 고려사항
3) 기타 1차 고려사항
4) 2차 고려사항
2. 소아에서의 KTAS 적용
1) 소아를 위한 응급환자 분류지침
2) 성인, 소아분류의 비교
3) 1차 고려사항
4) 기타 1차 고려사항
5) 2차 고려사항
본문내용
상 1가지이상 동반(두통, 구역, 호흡곤란, 흉통)
2
SBP>220 혹은
DBP>130
증상없음
3
SBP 200-220
혹은
DBP 110-130
고혈압관련증상 1가지이상 동반(두통, 구역, 호흡곤란, 흉통)
3
SBP 200-220
혹은
DBP 110-130
증상없음
< 선택적 2차 고려사항의 기타 다른 예시 >
주증상
개정된 고려사항
KTAS
흉통(비심장성)
기타 심각한 가슴통증(잡아째는, 찢어지는 통증)
2
사지약화/
뇌졸중 증상
발병시간<24시간
2
발병시간>24시간 혹은 회복
3
연하곤란, 장애
침흘림, 협착음
2
이물질 가능성
3
상지, 하지손상
명백한 변형
3
< 응급환자 분류결정, 요약 >
첫인상 평가(critical first look)
- 감염관리
- KTAS 주증상
- 1차 고려사항
: 활력징후(호흡곤란, 혈역학적안정성, 의식, 체온)
그 외; 통증점수, 출혈성질환, 사고기전
- 2차 고려사항
응급환자 분류담당자 판단(1차고려사항보다 높은 위험 세부증상시 up triage)
< 대기실에서의 재평가 >
level 1: 진료지속 level 2: 15분 마다 level 3: 30분 마다 level 4: 60분 마다 level 5: 120분 마다
소아에서 KTAS 의 적용
< 소아를 위한 응급환자 분류지침 >
1. 적용 대상
- 신생아~소아까지의 아동(0-15세)
- 청소년기(15~20세)는 병원별로 기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수 있음.
- 발달장애, 소아청소년과 치료를 받는 질환(뇌성마비, 간질)을 가진 성인 포함
- 생명유지기능 의료기기(인공호흡기, 기관절개관, 산소치료, 경장영양관, 정맥영양)사용 소아환아는 응급도가 낮은 증상이라도 응급실 진료 필요
< 성인, 소아 분류의 비교 >
- 성인과 동일한 KTAS 다섯단계를 따름
- 첫인상 평가는 소아평가 삼각형(pediatric assessment triangle)을 적용하여 의식상태(appearance), 호흡능력(work of breathing), 순환(circulation)상태를 확인
< KTAS 분류단계, 소아 >
1. 1단계: 소생
- 발작(현재 지속되는 발작)
- 무의식
- 중증외상
- 심각한 호흡부전
2. 2단계: 긴급
- 심각한 탈수
- 호흡곤란(중등도의 호흡부전): 산소포화도 <92 %
- 비정상적으로 침을 많이 흘리는 인후통
- 영구치의 탈락
3. 3단계: 응급
- 응급센터 도착 전의 발작(현재 명료)
- 이물질 흡인(호흡부전 없음)
- 연구개의 천공상처
- 중증의 천식: 산소포화도 92~94 %
- 의식소실을 동반한 두부외상(현재 명료 GCS 14-15)
4. 4단계: 준응급
- 경증의 천식: 산소포화도 9>94%
- 봉합이 필요한 열상
- 경증 두부외상(의식소실 없음)
- 비특이적인 열(건강해보임)
5. 5단계: 비응급
- 드레싱 교체
- 처방전 발급
- 물림(경증)
- 봉합이 필요없는 경한 열상
< 소아가 성인과 다른점 >
- 첫 인상평가는 소아평가 삼각형(pediatric assessme
nt triangle)을 이용하여 환자상태 파악(성인은 ABCD 확인 후 첫인상 평가시행)
- 소아의 해부학, 생리학적 특성을 고려
- 호소하는 증상, 각 증상의 중요도가 성인과 다름
- 생체징후의 평가기준과 고려사항이 성인과 다름
- 증상은 상태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을수 있음.
- 연령, 발달, 심리 사회적 요소가 소아평가에 상당한 영향을 줌
- 질병의 증상이 늦게 나타날 수 있음
- 만성 및 복합 질환을 가진 소아는 평소 상태를 먼저 확인해야 정확히 분류할수 있음.
< 소아의 특수한 고려사항 >
- 미숙아, 선천성 기형, 대사질환, 의료기기를 유지하는 소아환자(인공호흡기, 기관절개관, 산소치료, 경장영양 관, 정맥영양 등), 발달장애, 아동학대
<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
1. 기도: 작을수록 기도의 직경이 작음. 경도의 부종, 소량의 분비물 또는 이물질 등이 기도를 막아 기도협착음을 유발할수 있음
어린 소아에서 상기도 분비물은 호흡곤란을 일으킴. 소량의 코 분비물, 부종으로도 기도폐쇄, 호흡곤란을 일으킴
2. 호흡기:
① 소아는 성인보다 폐활량이 작고 가스교환을 위한 폐포면적이 작음. 이를 보안하기 위해 호흡이 빠르고 호흡보조근을 많이 씀. 폐순응도(lung compliance)도 성인에 비해 높음. 흉곽이 발달하지 않아 복식호흡을 함. 호흡곤란시 추가로 호흡량을 늘릴수 있는 예비호흡량이 부족하여 빠르게 악화됨
② 영아는 상대적으로 혀가 크고 목을 가누지 못해 코로 호흡함
③ 작은 소아는 복근을 이용하여 호흡하며 흉부, 복부가 시소패턴의 움직임을 보임
④ 소아의 늑골은 주로 연골이고 복부를 감싸지 않아 외상시 장기보호를 못함
3. 심혈관(순환기)
① 중심동맥 및 말초동맥의 맥박, 피부색, 체온을 평가
② 소아에서 빈맥은 체액감소의 초기소견, 체액감소시 심장의 1회 박출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함. 따라서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을 쇼크의 민감한 징후로 판단해야 함. 반대로 느려진다면 순환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 분당 60회 미만의 맥박수는 심정지와 동일한 상태로 판단, CPR 필요
③ 어린 소아에서 체중당 순환혈액량이 작아 소량의 혈액손실도 위험할수 있음. 순환량의 25 %(체중에 따라 수백밀리리터 정도일수 있음)의 혈액소실만으로도 위험(성인은 30~40 %)
④ 영아는 목에서 중심정맥을 찾기 어려움. 상완 또는 대퇴동맥을 확인
⑤ 신생아는 스트레스에 대한 교감신경이 발달하지 않아 미주신경 자극에 취약, 기침, 구토, 흡입 등의 증상으로도 미주신경 자극되어 혈관을 이완시키고 저혈압 위험.
⑥ 소아는 대사율(metabolic rate)이 커서 산소, 당, 수분요구도가 높음, 영아와 어린 소아는 질병을 견딜수 있는 생리학적 예비에너지원(저장된 글라이코젠량)이 적거나 거의 없음.
⑦ 체중에 비해 넓은 체표면적(BSA)은 체온조절에 영향을 주며 체액의 불감상실(insensible losses)을 증가시킴
⑧ 체내 수분의 비율이 높아(영아체중의 75~80 %는 수분) 탈수의 정도를 평가하거나 필요 수액량을 계산할 때 연령이 낮을수록 주의필요
⑨ 땀을 흘리는 등 체액 불감상실 및 호
2
SBP>220 혹은
DBP>130
증상없음
3
SBP 200-220
혹은
DBP 110-130
고혈압관련증상 1가지이상 동반(두통, 구역, 호흡곤란, 흉통)
3
SBP 200-220
혹은
DBP 110-130
증상없음
< 선택적 2차 고려사항의 기타 다른 예시 >
주증상
개정된 고려사항
KTAS
흉통(비심장성)
기타 심각한 가슴통증(잡아째는, 찢어지는 통증)
2
사지약화/
뇌졸중 증상
발병시간<24시간
2
발병시간>24시간 혹은 회복
3
연하곤란, 장애
침흘림, 협착음
2
이물질 가능성
3
상지, 하지손상
명백한 변형
3
< 응급환자 분류결정, 요약 >
첫인상 평가(critical first look)
- 감염관리
- KTAS 주증상
- 1차 고려사항
: 활력징후(호흡곤란, 혈역학적안정성, 의식, 체온)
그 외; 통증점수, 출혈성질환, 사고기전
- 2차 고려사항
응급환자 분류담당자 판단(1차고려사항보다 높은 위험 세부증상시 up triage)
< 대기실에서의 재평가 >
level 1: 진료지속 level 2: 15분 마다 level 3: 30분 마다 level 4: 60분 마다 level 5: 120분 마다
소아에서 KTAS 의 적용
< 소아를 위한 응급환자 분류지침 >
1. 적용 대상
- 신생아~소아까지의 아동(0-15세)
- 청소년기(15~20세)는 병원별로 기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수 있음.
- 발달장애, 소아청소년과 치료를 받는 질환(뇌성마비, 간질)을 가진 성인 포함
- 생명유지기능 의료기기(인공호흡기, 기관절개관, 산소치료, 경장영양관, 정맥영양)사용 소아환아는 응급도가 낮은 증상이라도 응급실 진료 필요
< 성인, 소아 분류의 비교 >
- 성인과 동일한 KTAS 다섯단계를 따름
- 첫인상 평가는 소아평가 삼각형(pediatric assessment triangle)을 적용하여 의식상태(appearance), 호흡능력(work of breathing), 순환(circulation)상태를 확인
< KTAS 분류단계, 소아 >
1. 1단계: 소생
- 발작(현재 지속되는 발작)
- 무의식
- 중증외상
- 심각한 호흡부전
2. 2단계: 긴급
- 심각한 탈수
- 호흡곤란(중등도의 호흡부전): 산소포화도 <92 %
- 비정상적으로 침을 많이 흘리는 인후통
- 영구치의 탈락
3. 3단계: 응급
- 응급센터 도착 전의 발작(현재 명료)
- 이물질 흡인(호흡부전 없음)
- 연구개의 천공상처
- 중증의 천식: 산소포화도 92~94 %
- 의식소실을 동반한 두부외상(현재 명료 GCS 14-15)
4. 4단계: 준응급
- 경증의 천식: 산소포화도 9>94%
- 봉합이 필요한 열상
- 경증 두부외상(의식소실 없음)
- 비특이적인 열(건강해보임)
5. 5단계: 비응급
- 드레싱 교체
- 처방전 발급
- 물림(경증)
- 봉합이 필요없는 경한 열상
< 소아가 성인과 다른점 >
- 첫 인상평가는 소아평가 삼각형(pediatric assessme
nt triangle)을 이용하여 환자상태 파악(성인은 ABCD 확인 후 첫인상 평가시행)
- 소아의 해부학, 생리학적 특성을 고려
- 호소하는 증상, 각 증상의 중요도가 성인과 다름
- 생체징후의 평가기준과 고려사항이 성인과 다름
- 증상은 상태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을수 있음.
- 연령, 발달, 심리 사회적 요소가 소아평가에 상당한 영향을 줌
- 질병의 증상이 늦게 나타날 수 있음
- 만성 및 복합 질환을 가진 소아는 평소 상태를 먼저 확인해야 정확히 분류할수 있음.
< 소아의 특수한 고려사항 >
- 미숙아, 선천성 기형, 대사질환, 의료기기를 유지하는 소아환자(인공호흡기, 기관절개관, 산소치료, 경장영양 관, 정맥영양 등), 발달장애, 아동학대
<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
1. 기도: 작을수록 기도의 직경이 작음. 경도의 부종, 소량의 분비물 또는 이물질 등이 기도를 막아 기도협착음을 유발할수 있음
어린 소아에서 상기도 분비물은 호흡곤란을 일으킴. 소량의 코 분비물, 부종으로도 기도폐쇄, 호흡곤란을 일으킴
2. 호흡기:
① 소아는 성인보다 폐활량이 작고 가스교환을 위한 폐포면적이 작음. 이를 보안하기 위해 호흡이 빠르고 호흡보조근을 많이 씀. 폐순응도(lung compliance)도 성인에 비해 높음. 흉곽이 발달하지 않아 복식호흡을 함. 호흡곤란시 추가로 호흡량을 늘릴수 있는 예비호흡량이 부족하여 빠르게 악화됨
② 영아는 상대적으로 혀가 크고 목을 가누지 못해 코로 호흡함
③ 작은 소아는 복근을 이용하여 호흡하며 흉부, 복부가 시소패턴의 움직임을 보임
④ 소아의 늑골은 주로 연골이고 복부를 감싸지 않아 외상시 장기보호를 못함
3. 심혈관(순환기)
① 중심동맥 및 말초동맥의 맥박, 피부색, 체온을 평가
② 소아에서 빈맥은 체액감소의 초기소견, 체액감소시 심장의 1회 박출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함. 따라서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을 쇼크의 민감한 징후로 판단해야 함. 반대로 느려진다면 순환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 분당 60회 미만의 맥박수는 심정지와 동일한 상태로 판단, CPR 필요
③ 어린 소아에서 체중당 순환혈액량이 작아 소량의 혈액손실도 위험할수 있음. 순환량의 25 %(체중에 따라 수백밀리리터 정도일수 있음)의 혈액소실만으로도 위험(성인은 30~40 %)
④ 영아는 목에서 중심정맥을 찾기 어려움. 상완 또는 대퇴동맥을 확인
⑤ 신생아는 스트레스에 대한 교감신경이 발달하지 않아 미주신경 자극에 취약, 기침, 구토, 흡입 등의 증상으로도 미주신경 자극되어 혈관을 이완시키고 저혈압 위험.
⑥ 소아는 대사율(metabolic rate)이 커서 산소, 당, 수분요구도가 높음, 영아와 어린 소아는 질병을 견딜수 있는 생리학적 예비에너지원(저장된 글라이코젠량)이 적거나 거의 없음.
⑦ 체중에 비해 넓은 체표면적(BSA)은 체온조절에 영향을 주며 체액의 불감상실(insensible losses)을 증가시킴
⑧ 체내 수분의 비율이 높아(영아체중의 75~80 %는 수분) 탈수의 정도를 평가하거나 필요 수액량을 계산할 때 연령이 낮을수록 주의필요
⑨ 땀을 흘리는 등 체액 불감상실 및 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