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제목
2.일시
3.목적
4.시약 및 기구
5.이론
6.실험과정
7.참고문헌
2.일시
3.목적
4.시약 및 기구
5.이론
6.실험과정
7.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분 몰랄 부피를 얻으려면, 농도에 따른 용액의 밀도를 측정해야 한다. 분 몰랄 부피는 몇 가지 방법 중의 어느 하나로 계산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다른 한 성분의 몰수를 일정하게 잡고 나머지 한 성분의 몰수 대 부피의 도표를 만들어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분 몰랄 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표법 중의 하나는 절편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어떠한 분 몰랄 양을 알아내는 데도 쓰일 수 있다. 또 열역학상태량 뿐만아니라, 혼합물에 관한 양이 1차 동차 함수일 때, 일반적으로 부분몰량이 정의된다. 몰굴절등이 그 보기이다.
3) 겉보기 몰랄 부피 (Apparent molal volume) 0V
- 겉보기 몰랄 부피 0V는 분몰랄 부피와 관계가 있다. 용액이 nA몰의 용매와 nB몰의 용질을 함유하고 있으면, 겉보기 몰랄 부피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용액의 부피를 V, 성분 A의 몰랄 부피를 VA\'라 하면,
0V = (3-1)
식(3-1)을 재정리하면
(3-2)
이 식을 미분하면
(3-3)
식(3-3)을 고쳐쓰면
(3-4)
그리고 이제 식 (3-2), (3-3), (3-4)를 조합하면
(3-5)
그런데 V는 다음의 관계가 있으므로
(3-6)
(단, MA, MB는 성분 A, B의 분자량, ρ는 용액의 밀도)
식 (3-6)을 (3-1)에 대입하면
0V = (3-7)
만약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면
nB = m (몰랄 농도)
nA = 1000/MA (용매 1000g중의 성분 A의 몰수로 환산)
식 (3-7)은 다음과 같이 된다.
0V = (3-8)
MA/VA\'=ρA (일정한 온도 및 압력하의 순수한 성분 A의 밀도)
이 관계를 식 (4-8)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0V = (3-9)
실험과정
1.증류수를 사용하여 비중병을 검증한다. 측정한 온도와 측정 온도에서 물의 밀도 값 , 비중병을 채우는데 사용한 물의 무게를 사용하면 몰 부피를 알 수 있다.
3.3몰 소금 용액을 만들고 이를 희석시켜서 여러 농도의 소금물을 만든다.
4.비중병의 부피로부터 필요한 3몰 소금 용액을 제조한다.
5.비중병을 여러 소금 용액으로 각기 채우고 용액의 밀도를 무게로부터 계산한다. 이 값으로부터 원하는 밀도 값을 얻는다.
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 (physical chemistry lab) - 이학일 등 공저 , 네이버 위키백과 , 물리화학실험, 이문득, 자유아카데미 , 물리 화학실험 사공렬 한양대학교 출판원
3) 겉보기 몰랄 부피 (Apparent molal volume) 0V
- 겉보기 몰랄 부피 0V는 분몰랄 부피와 관계가 있다. 용액이 nA몰의 용매와 nB몰의 용질을 함유하고 있으면, 겉보기 몰랄 부피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용액의 부피를 V, 성분 A의 몰랄 부피를 VA\'라 하면,
0V = (3-1)
식(3-1)을 재정리하면
(3-2)
이 식을 미분하면
(3-3)
식(3-3)을 고쳐쓰면
(3-4)
그리고 이제 식 (3-2), (3-3), (3-4)를 조합하면
(3-5)
그런데 V는 다음의 관계가 있으므로
(3-6)
(단, MA, MB는 성분 A, B의 분자량, ρ는 용액의 밀도)
식 (3-6)을 (3-1)에 대입하면
0V = (3-7)
만약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면
nB = m (몰랄 농도)
nA = 1000/MA (용매 1000g중의 성분 A의 몰수로 환산)
식 (3-7)은 다음과 같이 된다.
0V = (3-8)
MA/VA\'=ρA (일정한 온도 및 압력하의 순수한 성분 A의 밀도)
이 관계를 식 (4-8)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0V = (3-9)
실험과정
1.증류수를 사용하여 비중병을 검증한다. 측정한 온도와 측정 온도에서 물의 밀도 값 , 비중병을 채우는데 사용한 물의 무게를 사용하면 몰 부피를 알 수 있다.
3.3몰 소금 용액을 만들고 이를 희석시켜서 여러 농도의 소금물을 만든다.
4.비중병의 부피로부터 필요한 3몰 소금 용액을 제조한다.
5.비중병을 여러 소금 용액으로 각기 채우고 용액의 밀도를 무게로부터 계산한다. 이 값으로부터 원하는 밀도 값을 얻는다.
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 (physical chemistry lab) - 이학일 등 공저 , 네이버 위키백과 , 물리화학실험, 이문득, 자유아카데미 , 물리 화학실험 사공렬 한양대학교 출판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