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장의 선정내용과 적용 방안
2. 2장의 선정내용과 적용 방안
3. 3장의 선정내용과 적용 방안
4. 4장의 선정내용과 적용 방안
5. 출처
2. 2장의 선정내용과 적용 방안
3. 3장의 선정내용과 적용 방안
4. 4장의 선정내용과 적용 방안
5. 출처
본문내용
첩되어서 한 번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이 모형의 ‘분석’ 단계에 있는 ‘학습 내용을 과제 수준에서 확인’하는 활동은 설계 단계의 ‘교수전략의 확인’과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단계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해, 학습과제를 분석하는 활동은 초기뿐만 아니라 전 단계에 걸처 지속적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래피드 프로토타입’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이는 최근 인터넷과 컴퓨터의 발달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이러닝 학습의 학습체제를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이러닝의 활용을 통해 학습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데, 우선 분석 단계를 요구 분석과 초기 학습과제 분석으로 나누고자 하는 래피드 프로토타입 모형에 따라 이 학습법의 주 수요자들의 실제적인 요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이러닝 학습이 실질적으로 강의 및 학습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선 초기 프로토타입을 설계한 뒤 이러닝 학습을 하고자 하는 교수자와 수업을 받고자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용성 평가를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이러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이후에는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마지막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최종적인 수정사항을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이러닝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출처
고재희. (2008).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이경미. (2010). ASSURE 모형을 활용한 음수 지도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러한 ‘래피드 프로토타입’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이는 최근 인터넷과 컴퓨터의 발달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이러닝 학습의 학습체제를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이러닝의 활용을 통해 학습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데, 우선 분석 단계를 요구 분석과 초기 학습과제 분석으로 나누고자 하는 래피드 프로토타입 모형에 따라 이 학습법의 주 수요자들의 실제적인 요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이러닝 학습이 실질적으로 강의 및 학습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선 초기 프로토타입을 설계한 뒤 이러닝 학습을 하고자 하는 교수자와 수업을 받고자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용성 평가를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이러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이후에는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마지막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최종적인 수정사항을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이러닝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출처
고재희. (2008).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이경미. (2010). ASSURE 모형을 활용한 음수 지도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추천자료
교육공학 2018) 교육공학 교재1장부터 4장까지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주제...
★ 교육공학 - 교재 1장부터 4장까지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주제를 하나씩 ...
교육공학 교재 핵심내용+적용방안]교육공학 교재1장부터 4장까지(교재3쪽~96쪽) 각각의 장에...
교육공학 교재 1장부터 4장까지 선정한 주제에 관한 핵심내용 요약 + 적용방안 2020년 방송대...
교육공학] 교육공학 교재 1장부터 4장까지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주제에 ...
대변동(위기, 선택, 변화) 요약
교육공학 2023] 교육공학 교재 1장부터 4장까지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주...
교육공학 2023) 교재 1장부터 4장까지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주제를 하나...
교육공학,교재 1장부터 4장까지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주제를 하나씩 선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