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교육과정의 개념을 간단히 기술하고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가 되는 철학적 배경,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배경,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배경을 각각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교육과정의 개념
(2) 철학적 배경
(3) 심리학적 배경
(4) 사회학적 배경
(5) 정리
2.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시오.
3. 참고문헌
1. 교육과정의 개념을 간단히 기술하고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가 되는 철학적 배경,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배경,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배경을 각각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교육과정의 개념
(2) 철학적 배경
(3) 심리학적 배경
(4) 사회학적 배경
(5) 정리
2.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시오.
3. 참고문헌
본문내용
n\'s)와 멕타이(McTighe)의 백워드 설계모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이 모형은 교육과정의 목표를 먼저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 경험을 설계하는 전형적인 역행설계모형의 설계 방식을 제안한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이 모형은 교육과정 개발을 목표 설정, 핵심 개념 파악, 학습자의 이해도 파악, 평가 계획, 학습 경험 설계, 평가 및 수정의 6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교육과정의 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자가 어떤 것을 배울 것인지, 어떤 능력과 기술을 갖출 것인지 명확히 설정하는 것을 교육과정 개발의 첫 단계로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이 무엇을 배울지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업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방식으로 학습 경험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교육과정 개발뿐만 아니라 교수방법이나 교육과정의 평가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같은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IT 프로젝트의 설계나 제품 생산의 기획에도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특히 이러한 역행설계모형에는 평가의 단계가 중요하다. 여기서 평가 단계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평가하고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단계인 것이다. 즉 교육과정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교육과정을 수정하여 보완하는 피드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목표 달성의 정도, 학습자의 성취도, 교육과정의 효과 등 목표에 따른 평가 기준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수정함으로써 목표 달성에 더욱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3. 참고 문헌
(1) 2022 개정 초중등학교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확정발표, 교육부, 2022,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3459&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2) 뒤늦은 교육과정 개정은 \'교육 알박기?\', 이덕환, 2021,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7573
(3) 맥타이와 위긴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음악적 전이기반 감상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이보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https://s-space.snu.ac.kr/handle/10371/170048
(4) 교육관련 국제기구 지식정보원, 노영희, 한국학술정보(주), 2011
이 모형은 교육과정 개발을 목표 설정, 핵심 개념 파악, 학습자의 이해도 파악, 평가 계획, 학습 경험 설계, 평가 및 수정의 6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교육과정의 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자가 어떤 것을 배울 것인지, 어떤 능력과 기술을 갖출 것인지 명확히 설정하는 것을 교육과정 개발의 첫 단계로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이 무엇을 배울지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업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방식으로 학습 경험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교육과정 개발뿐만 아니라 교수방법이나 교육과정의 평가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같은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IT 프로젝트의 설계나 제품 생산의 기획에도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특히 이러한 역행설계모형에는 평가의 단계가 중요하다. 여기서 평가 단계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평가하고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단계인 것이다. 즉 교육과정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교육과정을 수정하여 보완하는 피드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목표 달성의 정도, 학습자의 성취도, 교육과정의 효과 등 목표에 따른 평가 기준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수정함으로써 목표 달성에 더욱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3. 참고 문헌
(1) 2022 개정 초중등학교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확정발표, 교육부, 2022,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3459&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2) 뒤늦은 교육과정 개정은 \'교육 알박기?\', 이덕환, 2021,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7573
(3) 맥타이와 위긴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음악적 전이기반 감상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이보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https://s-space.snu.ac.kr/handle/10371/170048
(4) 교육관련 국제기구 지식정보원, 노영희, 한국학술정보(주), 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