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4. 참고문헌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갑절\'은 어떤 수량의 2배라는 뜻만을 가지고 있지만 \'곱절\'은 \'세 곱절, 네 곱절\' 등과 같이 배수를 세는 단위로 사용되는 말이다.
예문 : 지금 빌려줄 테니 기한 내로 갑절로 갚아라.
예문 : 할머니의 얼굴에 주름이 몇 갑절 늘어난 듯 하다.
(5) (2라) 염치 불고
\'염치 불고하다\'는 망설이거나 민망하게 행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염치 불구하다는 틀린 표현이다.
예문 : 그가 말하려 하던데, 염치 불고해하며 말이 안 나오는 것 같다.
(6) (3가) 돋구다 돋우다
돋우다는 ‘감정이나 기색 따위가 생겨나다’를 뜻하는 ‘돋다’의 사동사이다. 돋구다는 ‘안경의 도수 따위를 높이다’라는 뜻으로 안경 도수 이외에는 ‘돋우다’를 사용한다.
예문 : 된장찌개 속 향긋한 냉이가 입맛을 돋우다.
예문 : 근처 안경점에서 시력검사를 했는데 안경 도수를 더 돋구어야 한다네.
(7) (3나) 주위/주의가 산만하다
\'주의가 산만하다\'는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쉽게 산만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예문 : 그의 주의가 산만해서 계속 실수를 하고 있다.
(8) (3다) 주위/주의를 환기하다
\'주의를 환기하다\'는 집중력을 되살리거나 깨우치는 것을 나타낸다.
예문 : 쉬고 있는 동안에는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9) (3라) 제치다 제끼다
’제치다\'는 무엇을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거나 일정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는 것을 나타낸다. 제끼다는 잘못된 표현이다.
예문 : 지난 주에 나는 일부 프로젝트를 제쳐 두고 다른 것에 집중했다.
(10) (4가) 주인공 장본인
\'주인공\'은 소설이나 영화에서 중심이 되는 인물을 나타내며, \'장본인\'은 부정적인 의미에서 일어난 일의 원인이 되는 사람을 나타낸다.
예문 : 이 소설의 주인공은 어떤 모험을 겪게 된다.
예문 : 이 사건의 장본인은 그 회사의 대표이다.
(11) (4나) 사단 사달
사달은 문제나 곤란한 일을 일으키는 것을 나타내며 사단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예문 : 그의 부주의한 태도는 결국 큰 사달을 일으켰다.
(12) (4다) 모듬 모둠
모둠은 여러 가지 다양한 것들의 집합을 나타내며, 모듬은 잘못된 표현이다.
예문 : 이 빵집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모둠 빵을 판매한다.
(13) (4라) 탓
\'탓\'은 누군가 혹은 무엇 때문에 문제가 생긴 것을 나타내며, 주로 나쁜 결과를 불러일으킨 원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문 : 내 불찰로 인해 그 사고가 일어났다는 탓을 받았다.
예문 : 그의 실패는 자신의 무능력함 때문이 아니라 상황의 탓이다.
(14) (5가) 역임하다
\'역임하다\'는 여러 책임이나 역할을 두루 걸쳐 맡는 것을 나타낸다.
예문 : 그는 사외 이사, 회장을 역임하고 지금은 은퇴만을 바라보고 있다.
(15) (6가) 예스럽다
‘예스럽다’는 옛 것과 같은 맛이나 멋이 있다는 의미로 잘못된 표현으로 ‘옛스럽다’ 가 있다.
예문 : 할머니는 예스런 한복으로 모든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4. 참고문헌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온라인가나다
예문 : 지금 빌려줄 테니 기한 내로 갑절로 갚아라.
예문 : 할머니의 얼굴에 주름이 몇 갑절 늘어난 듯 하다.
(5) (2라) 염치 불고
\'염치 불고하다\'는 망설이거나 민망하게 행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염치 불구하다는 틀린 표현이다.
예문 : 그가 말하려 하던데, 염치 불고해하며 말이 안 나오는 것 같다.
(6) (3가) 돋구다 돋우다
돋우다는 ‘감정이나 기색 따위가 생겨나다’를 뜻하는 ‘돋다’의 사동사이다. 돋구다는 ‘안경의 도수 따위를 높이다’라는 뜻으로 안경 도수 이외에는 ‘돋우다’를 사용한다.
예문 : 된장찌개 속 향긋한 냉이가 입맛을 돋우다.
예문 : 근처 안경점에서 시력검사를 했는데 안경 도수를 더 돋구어야 한다네.
(7) (3나) 주위/주의가 산만하다
\'주의가 산만하다\'는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쉽게 산만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예문 : 그의 주의가 산만해서 계속 실수를 하고 있다.
(8) (3다) 주위/주의를 환기하다
\'주의를 환기하다\'는 집중력을 되살리거나 깨우치는 것을 나타낸다.
예문 : 쉬고 있는 동안에는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9) (3라) 제치다 제끼다
’제치다\'는 무엇을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거나 일정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는 것을 나타낸다. 제끼다는 잘못된 표현이다.
예문 : 지난 주에 나는 일부 프로젝트를 제쳐 두고 다른 것에 집중했다.
(10) (4가) 주인공 장본인
\'주인공\'은 소설이나 영화에서 중심이 되는 인물을 나타내며, \'장본인\'은 부정적인 의미에서 일어난 일의 원인이 되는 사람을 나타낸다.
예문 : 이 소설의 주인공은 어떤 모험을 겪게 된다.
예문 : 이 사건의 장본인은 그 회사의 대표이다.
(11) (4나) 사단 사달
사달은 문제나 곤란한 일을 일으키는 것을 나타내며 사단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예문 : 그의 부주의한 태도는 결국 큰 사달을 일으켰다.
(12) (4다) 모듬 모둠
모둠은 여러 가지 다양한 것들의 집합을 나타내며, 모듬은 잘못된 표현이다.
예문 : 이 빵집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모둠 빵을 판매한다.
(13) (4라) 탓
\'탓\'은 누군가 혹은 무엇 때문에 문제가 생긴 것을 나타내며, 주로 나쁜 결과를 불러일으킨 원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문 : 내 불찰로 인해 그 사고가 일어났다는 탓을 받았다.
예문 : 그의 실패는 자신의 무능력함 때문이 아니라 상황의 탓이다.
(14) (5가) 역임하다
\'역임하다\'는 여러 책임이나 역할을 두루 걸쳐 맡는 것을 나타낸다.
예문 : 그는 사외 이사, 회장을 역임하고 지금은 은퇴만을 바라보고 있다.
(15) (6가) 예스럽다
‘예스럽다’는 옛 것과 같은 맛이나 멋이 있다는 의미로 잘못된 표현으로 ‘옛스럽다’ 가 있다.
예문 : 할머니는 예스런 한복으로 모든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4. 참고문헌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온라인가나다
추천자료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글쓰기 중간과제물)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3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
글쓰기-2023년 교재 제I부 제1장 14쪽 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글쓰기(공통) - 교재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
글쓰기 교재 제II부 제1장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
제I부 제1장 14쪽-16쪽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
글쓰기 좋은 글 요건 요약,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