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으로서‘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4. 출처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으로서‘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4. 출처
본문내용
라는 문장으로 사용될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되었고, 대신 ‘넋을 위로하다’ 혹은 ‘넋을 달래다’라는 문장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539 \'기리다\'의 올바른 사용법. 박지영. 2016.12.31.http://www.ieka.net/Escribiendo_correctamente_Coreano/72985
이를 이용한 적절한 문장은 ‘위인들을 기리는 날이므로 모두 기도합시다.’라는 문장이다.
‘보호하다’라는 단어는 곤란하지 않도록 보살피다, 잘못되지 않도록 보살피다 라는 의미로 이용된다. 이를 이용하는 문장은 ‘내가 이걸 입으면 이 옷이 날 보호해준다.’이다.
4. 출처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인하대학교 국어문화원 우리말바로알기- ‘로써’와 ‘로서’구분 2011.04.29.http://www.inhakorean.or.kr/onboard.php?bname=hangeul&mode=view&idx=1¤t_page=3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qna_seq=223208&pageIndex=1
[우리말 바루기] \'데다\'와 \'데이다\'. 중앙일보. 2013.10.22.
연세현대한국어사전 https://ilis.yonsei.ac.kr/dic/?keyword=%EC%9E%91%EB%8B%A4&id=62120&order=
충청북도교육문화원 한글사랑관 잘못쓰기 쉬운 우리말 작다/적다https://www.cbec.go.kr/hangeul/sub.php?menukey=218&mod=view&no=213849&page=38
[기자도 헷갈리는 우리말] \'작다\'와 \'적다\'. 나윤정 기자 2005.09.20.
충청남도>행정>도정소식>국어사랑방>\'다르다\'와 \'틀리다\' (상명대학교 국어문화원)http://www.chungnam.go.kr:8100/cnnet/board.do?mnu_url=/cnbbs/view.do?board_seq=121017&searchCnd=0&mnu_cd=CNNMENU01926&pageNo=7&pageGNo=0&showSplitNo=10&code=239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재질문] [재질문] ★ ‘돋구다/돋우다’에 대하여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qna_seq=233424&pageIndex=1
[나랏말싸미] \'젖히다\'와 \'제끼다\'와 \'제치다\', 이현정 기자, 2021.05.17.
‘탓’과 ‘덕’, 김선경 기자, 2014.02.05.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홀몸과 홑몸. 한글문화연대. 2020.09.10.
[우리말 톺아보기] ‘구설’과 ‘구설수’. 한국일보 오피니언.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2016.01.05.
539 \'기리다\'의 올바른 사용법. 박지영. 2016.12.31.http://www.ieka.net/Escribiendo_correctamente_Coreano/72985
이를 이용한 적절한 문장은 ‘위인들을 기리는 날이므로 모두 기도합시다.’라는 문장이다.
‘보호하다’라는 단어는 곤란하지 않도록 보살피다, 잘못되지 않도록 보살피다 라는 의미로 이용된다. 이를 이용하는 문장은 ‘내가 이걸 입으면 이 옷이 날 보호해준다.’이다.
4. 출처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인하대학교 국어문화원 우리말바로알기- ‘로써’와 ‘로서’구분 2011.04.29.http://www.inhakorean.or.kr/onboard.php?bname=hangeul&mode=view&idx=1¤t_page=3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qna_seq=223208&pageIndex=1
[우리말 바루기] \'데다\'와 \'데이다\'. 중앙일보. 2013.10.22.
연세현대한국어사전 https://ilis.yonsei.ac.kr/dic/?keyword=%EC%9E%91%EB%8B%A4&id=62120&order=
충청북도교육문화원 한글사랑관 잘못쓰기 쉬운 우리말 작다/적다https://www.cbec.go.kr/hangeul/sub.php?menukey=218&mod=view&no=213849&page=38
[기자도 헷갈리는 우리말] \'작다\'와 \'적다\'. 나윤정 기자 2005.09.20.
충청남도>행정>도정소식>국어사랑방>\'다르다\'와 \'틀리다\' (상명대학교 국어문화원)http://www.chungnam.go.kr:8100/cnnet/board.do?mnu_url=/cnbbs/view.do?board_seq=121017&searchCnd=0&mnu_cd=CNNMENU01926&pageNo=7&pageGNo=0&showSplitNo=10&code=239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재질문] [재질문] ★ ‘돋구다/돋우다’에 대하여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qna_seq=233424&pageIndex=1
[나랏말싸미] \'젖히다\'와 \'제끼다\'와 \'제치다\', 이현정 기자, 2021.05.17.
‘탓’과 ‘덕’, 김선경 기자, 2014.02.05.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홀몸과 홑몸. 한글문화연대. 2020.09.10.
[우리말 톺아보기] ‘구설’과 ‘구설수’. 한국일보 오피니언.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2016.01.05.
539 \'기리다\'의 올바른 사용법. 박지영. 2016.12.31.http://www.ieka.net/Escribiendo_correctamente_Coreano/72985
추천자료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글쓰기 중간과제물)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3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
글쓰기-2023년 교재 제I부 제1장 14쪽 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글쓰기(공통) - 교재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
글쓰기 )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
글쓰기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