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유명 건축가(자유선택설계 주거건축물 1개에 대한 건축개요 및 개인별 작품설명, 작품 소감등을 도면과 함께 기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학 유명 건축가(자유선택설계 주거건축물 1개에 대한 건축개요 및 개인별 작품설명, 작품 소감등을 도면과 함께 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호세 루이스 세르트(José Luis Sert)
2) 건축개요
3) 작품설명
4) 작품 소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5. <부록> 건축물 도면

본문내용

잘 드러나 있었다.
피바디 테라스는 이 건축물에 대한 건축평론가 로버트 캠벨의 평가, 즉 \"건축가들에게 사랑받고 거의 모든 사람에게 미움받는 건물\"이라는 말이 매우 적절한 작품이었다. 세르트의 철학과 혁신성을 바로 이해하고 감탄한 당시의 건축가들에 비해 대중은 이전과 다른 세르트의 건축물을 보고 의아함을 느낀 듯 하다.
하지만 건물 외벽의 특수한 설계로 통풍과 조명을 조절하고, 이러한 디자인으로 건물 내부로 자연 채광을 유입시키면서도 개인 정보는 그대로 보호하는 형태는 지금 봐도 혁신적이고, 대단하다. 거기다 건물의 형태와 배치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주거 공간과 자연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도 한다. 이에 피바디 테라스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혁신적인 경험을 할 수 있기도 하다. 피바디 테라스 거주자들은 단순히 거주하는 것을 넘어, 건축이 인간의 삶과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체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혁신성을 보며 감탄하기도 하였다. 1960년대라는 지금으로부터 꽤 먼 과거에 현재에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구현해냈다는 것이 대단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피바디 테라스가 2023년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동시에 물론 피바디 테라스와 같은 사례가 있었기에 주거건축물이 진보하고, 도시계획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호세 루이스 세르트의 삶과 그의 작품 피바디 테라스를 살펴봄으로써, 그의 건축적인 시도와 도시와 건축물의 조화에 대한 철학이 우리의 삶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성중 (2003). 주변지역과 학교시설의 교집합 만들기: 학교시설과 주변시설과의 NET-WORK형성에 의한 휘문중·고등학교 종합적 배치계획 및 설계.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종엽, 이홍 (2006). 공간 디자인에 있어 집학적 기억에 관한 알도 로시와 렘쿨하스의 비교 연구-라파엘 모네오의 비평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6), 43-51.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1998). 미술대사전(인명편). 용인: 한국사전연구사.
\"AD Classics: Peabody Terrace\". arch daily. 출처: https://www.archdaily.com/486015/ad-classics-peabody-terrace-sert-jackson-and-gourley?ad_medium=office_landing&ad_name=article
Shand-Tucci, Douglass (1999). Built in Boston: City and Suburb, 1800-200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Hilary French (2008). Key urban housing of the twentieth century : plans, sections and elevations. 이현수 역 (2010). 건축 거장들의 명품 공동주택. 서울: 선.
5. <부록> 건축물 도면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1.03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4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