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메를로-퐁티 및 현상학, 신체, 경험 등과 같은 주제로 쓰는 글쓰기
1. 메를로-퐁티와 관련한 논문들을 읽고 미술관과 관련한 글쓰기
2. 메를로-퐁티와 관련한 논문들을 읽고 관람객과 관련한 글쓰기
* 참고문헌
1. 메를로-퐁티와 관련한 논문들을 읽고 미술관과 관련한 글쓰기
2. 메를로-퐁티와 관련한 논문들을 읽고 관람객과 관련한 글쓰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떠올리게 되면 지중해 관련된 국가를 여행했던 사람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것은 그 사람이 여행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그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코발트 색을 보고 지중해를 떠올려서 시원함을 떠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의미 자체들은 우리가 다들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하나의 작품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그 의미를 줄줄이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상 우리는 여태까지 우리의 삶을 살아오면서 하나의 작품을 보았을 때 우리의 경험을 연관지어서 생각하기 때문에 어떠한 것에 대해서 사물을 대입하여서 생각하거나 하나의 작품을 관람했을 때 관람평을 남기는 것 자체도 자신의 경험에서 비롯되어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다시 말해보자면 메를로 퐁티가 말했던 이 현상학적 의미 자체를 발동시키고 또 사람들끼리 공유하게 되는 것은 단순하게 인간이 다른 동물들보다 고등 동물이거나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동물인 것이 아닌, 우리 모두가 경험을 하는 한 인간이고 또 그 경험을 나누는 사람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메를로 퐁티 역시도 어떠한 것의 근원적 의미 자체를 하나의 인간의 두뇌적인 기능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여기서 바로 \'몸\' 이라는 매개체가 등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메를로 퐁티 그는 인간의 두뇌 활동 자체를 부정하고 있지는 않는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것의 목적은 바로 두뇌 활동 자체도 역시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어떠한 것에 대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미술 자체를 자신이 느끼기에 너무 지루하게만 느꼈다면 미술관에 관람을 하러 갔을 때 지루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람이 있겠지만, 에전 기억에서 미술관이 너무 흥미롭고 재밌었던 경험을 한 사람이 미술관에 다시 작품을 감상하러 간다면 미술관 자체가 너무 즐겁고 좋다고 느낄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퐁티는 이렇게 외부 세계에서 우리가 경험하고 나서 나오는 반응 자체를 지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지각 자체는 인간의 한 감각기관에서만 이어지는 것이 아니고 몸 그 총체적인 활동의 집합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당장 내 눈앞의 미술 작품을 바라 볼 때, 그리고 내가 관람객으로서 어딘가에 참여했을 때 등 모든 경험 자체를 총체적인 활동으로 분류하고 있다는 것이다.
퐁티가 이렇게 몸 자체를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것은 바로 그가 살았던 그 시대의 서양 철학 자체의 전통에 대해서 반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양 철학 자체는 인간이 몸으로 경험한 모든 것은 저평가 하는 반면에 지식이나 두뇌로 습득한 것에 대해서 고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퐁티 자체는 사실상 두뇌적인 활동에 대해서는 우리가 제한이 걸릴 수 있지만 몸으로 직접 부딪혀서 겪어보는 것은 제한이 없으며 이러한 몸에 축적된 결과에 따라서 두뇌가 습득하는 것 자체도 제한이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퐁티에서 말하는 지각 자체는 오랫동안 몸에서 직접 체험한 세계 의미 자체를 파악하는 것이며, 여태 말했던 전통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 최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소규모 미술관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요소에 관한 연구- 메를로 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2014
- 심귀연, 경상국립대학교,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시공간성과 주체성, 그리고 신체, 2012
- 이남인, 서울대학교, 후설과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2008
- 한보미, 중앙대학교, 제임스 터렐의 <간츠펠트> 시리즈에 나타난 \'체험된 공간\' 연구 :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공간론을 중심으로, 2017
- 박영욱, 바다출판사, 보고 듣고 만지는 현대사상, 2015
이 의미 자체들은 우리가 다들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하나의 작품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그 의미를 줄줄이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상 우리는 여태까지 우리의 삶을 살아오면서 하나의 작품을 보았을 때 우리의 경험을 연관지어서 생각하기 때문에 어떠한 것에 대해서 사물을 대입하여서 생각하거나 하나의 작품을 관람했을 때 관람평을 남기는 것 자체도 자신의 경험에서 비롯되어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다시 말해보자면 메를로 퐁티가 말했던 이 현상학적 의미 자체를 발동시키고 또 사람들끼리 공유하게 되는 것은 단순하게 인간이 다른 동물들보다 고등 동물이거나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동물인 것이 아닌, 우리 모두가 경험을 하는 한 인간이고 또 그 경험을 나누는 사람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메를로 퐁티 역시도 어떠한 것의 근원적 의미 자체를 하나의 인간의 두뇌적인 기능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여기서 바로 \'몸\' 이라는 매개체가 등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메를로 퐁티 그는 인간의 두뇌 활동 자체를 부정하고 있지는 않는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것의 목적은 바로 두뇌 활동 자체도 역시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어떠한 것에 대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미술 자체를 자신이 느끼기에 너무 지루하게만 느꼈다면 미술관에 관람을 하러 갔을 때 지루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람이 있겠지만, 에전 기억에서 미술관이 너무 흥미롭고 재밌었던 경험을 한 사람이 미술관에 다시 작품을 감상하러 간다면 미술관 자체가 너무 즐겁고 좋다고 느낄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퐁티는 이렇게 외부 세계에서 우리가 경험하고 나서 나오는 반응 자체를 지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지각 자체는 인간의 한 감각기관에서만 이어지는 것이 아니고 몸 그 총체적인 활동의 집합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당장 내 눈앞의 미술 작품을 바라 볼 때, 그리고 내가 관람객으로서 어딘가에 참여했을 때 등 모든 경험 자체를 총체적인 활동으로 분류하고 있다는 것이다.
퐁티가 이렇게 몸 자체를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것은 바로 그가 살았던 그 시대의 서양 철학 자체의 전통에 대해서 반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양 철학 자체는 인간이 몸으로 경험한 모든 것은 저평가 하는 반면에 지식이나 두뇌로 습득한 것에 대해서 고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퐁티 자체는 사실상 두뇌적인 활동에 대해서는 우리가 제한이 걸릴 수 있지만 몸으로 직접 부딪혀서 겪어보는 것은 제한이 없으며 이러한 몸에 축적된 결과에 따라서 두뇌가 습득하는 것 자체도 제한이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퐁티에서 말하는 지각 자체는 오랫동안 몸에서 직접 체험한 세계 의미 자체를 파악하는 것이며, 여태 말했던 전통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 최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소규모 미술관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요소에 관한 연구- 메를로 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2014
- 심귀연, 경상국립대학교,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시공간성과 주체성, 그리고 신체, 2012
- 이남인, 서울대학교, 후설과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2008
- 한보미, 중앙대학교, 제임스 터렐의 <간츠펠트> 시리즈에 나타난 \'체험된 공간\' 연구 :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공간론을 중심으로, 2017
- 박영욱, 바다출판사, 보고 듣고 만지는 현대사상, 2015
추천자료
[문학치료][문학치료의 정의][문학치료의 단계][문학치료의 장점][외국의 문학치료 사례][문...
[글쓰기][작문][유창성][경험][전뇌활동]글쓰기(작문)의 개념, 글쓰기(작문)의 유창성, 글쓰...
일기쓰기지도(학습, 수업)방법, 동시쓰기지도(학습, 수업)방법, 주의력결핍아동지도(학습, 수...
박종석 저자의 글쓰기 기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
효과적인 글쓰기 이론과 실제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효과적인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의 출현 유비쿼터스 공간
[표현활동][표현][표현활동 종류][표현활동 필요성][표현활동 효과][표현활동 이론][표현활동...
유아발달 ) 유아발달의 이론 중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해 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