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습식구조, 건식구조 건축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구조-습식구조, 건식구조 건축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과제명

2. 서론
2.1 건축구조의 정의
2.2 건축구조의 요소
2.3 건축구조의 분류

3. 본론
3.1 습식구조의 특징
3.2 습식구조의 건축물
3.3 건식구조의 특징
3.4 건식구조의 건축물

4. 결론

본문내용

을 장막벽, 상부 하중을 받아
견딜 수 있도록 설치된 벽
④ 바닥(floor, slab) : 건축물의 수평 바닥 부분으로 사람의 활동이나 물건을 적재하는 공간
을 이루고, 여기에 실린 적재하중을 받아 기둥 또는 내력벽으로 전달하는 부분
⑤ 지붕(roof) : 건물의 최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구조체로서 경사진 것과
수평으로 된 평지붕이 있다, 외기에 의한 풍화를 가장 많이 받는 부분
⑥ 천장(ceiling) : 지붕 또는 상부층의 밑을 막아 열 차단, 음향방지와 장식을 겸한 것
⑦ 계단(stairs) : 상부 바닥과 하부바닥을 연결하는 통로
⑧ 수장(fixture) : 벽면, 바닥, 천장에 단열, 방음 등의 차단과 장식을 목적으로 본 구조체에
붙여대는 것
⑨ 창호(door & window) : 사람과 물건을 출입, 채광, 통풍의 목적으로 벽체, 지붕, 천장
등에 개구부를 설치한 것
⑩ 마무리(finishing) : 건축물의 마감일로서 본 구조체를 덮어씌워 건물의 내구성을 증대
시키고 장식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
2.3 건축구조의 분류 (재료에 의한 분류)
① 나무구조 : 건축물의 체부, 뼈대를 목조로 접합 연결한 것으로 정착물로 보강하여 구성한 구조
② 벽돌구조 : 바깥벽을 벽돌로 쌓고 구조상 또는 장식 상으로 석재를 혼용한 구조
③ 블록구조 :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만든 블록을 쌓아 만든 구조
④ 돌구조 : 바깥벽을 돌로 쌓아 구성한 것으로 보통 돌의 뒷면은 벽돌 또는 콘크리트로 된 구조
⑤ 철근 콘크리트 구조 : 철근을 짜고 콘크리트를 부어 일체식으로 구성한 구조
⑥ 철골구조 : 여러 단면 모양으로 된 형강이나 강판을 짜 맞추어 리벳 조임 또는 용접한 구조
⑦ 철골 철근콘크리트구조 : 철골조의 각 부분을 콘크리트로 피복한 구조
건축구조의 분류 (형식에 의한 분류)
① 조적식 구조 : 단위 재료를 접착제로 사용하여 쌓아 올린 구조 (벽돌구조, 석구조)
② 가구식 구조 : 가늘고 긴 재료를 맞추고 이어서 구조체 형성 (목구조, 철골구조)
③ 일체식 구조 : 묽은 재료를 형틀에 넣어 굳혀서 만든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
3. 본론
3.1 습식구조의 특징
습식구조는 벽돌쌓기, 현장 콘크리트 타설, 미장 바름 등과 같이 현장에서 물을 사용하는
공정을 가진 구조를 말하며, 주재료가 시멘트이며 양생기간이 필요하여 공사 기간이 길다.
습식구조의 종류에는 조적식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가 습식구조에
해당한다. 현장에서 직접 생산하므로 인력의존도가 높으며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겨울철, 장마철 등 기후적인 제약을 받는다는 것과 공사 기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접합부의 일체화가 가능하고 오랫동안 축적된 기술력을 갖고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3.2 습식구조의 건축물
습식구조의 대표적인 구조인 조적식 구조는 벽돌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모르타르로 점착
하여 쌓는 구조로서 소규모 건물에 주로 쓰인다. 내습 및 내구성이 좋으며, 내화구조이고,
경제적이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구조적으로 지진이 적은 서유럽에서는 가장
구조법이 사용되고 의장적으로도 뛰어난 아치나 돔 등이 오래전부터 완성되어,
현재는 벽돌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진 등에 의한 수평 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취약한 단점을 보이며, 단일 벽체만으로 쌓을 수 있는 수평, 수직적인 한계가 있다.
대표적인 벽돌구조의 사례로 성당이 있으며, 석구조의 사례는 불국사 석탑 등이 있다.
3.3 건식구조의 특징
뼈대는 가구식 구조로 하고 벽판, 바닥판 등 규격화된 기성재를 짜 맞추어 구성하는 구조로서,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말한다. 건식구조의 종류에는 목구조, 철골구조, PC 구조
(Pre cast Concrete)가 건식구조에 해당한다. 공업화 즉, 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적용이 가능하고 기후적 영향을 받지 않으며 양생시키는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인력의 증감만으로 공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습식공법에 비해 공정이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단일 공정으로 골조를 완성할 수 있으며,
나중의 증축이나 구조변경 등의 부분 보수가 아주 쉽다. 때에 따라 DIY로도 가능하며
기술의 숙련 기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대량생산에 따른 공사비 절감과 현장에서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습식공법에 비해서 접합부의 일체화가 어렵다는 것과
수직이나 수평이 잘 맞아야 하며 맞지 않았을 경우 수정할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3.4 건식구조의 건축물
건식구조의 대표적인 구조인 목구조는 목재를 주요 재료로 사용한 구조물로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구조법이다. 자태가 아름답고 내구성이 강하여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본
주택에 주로 채용되는 구조이다. 친환경적이며 단열성능이 우수하다. 공사 기간이 짧고
수정과 변형이 유리하며 차음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수축 및 팽창하는 목재의 특성상
변화에 주의해야 하며, 해충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예방 계획이 필요하다. 부패하기 쉽고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한옥이 있다.
2019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최우수상을 차지한 국립산림과학원 약용자원연구소의
한그린 목조관은 콘크리트 구조인 계단실과 엘리베이터를 제외한 모든 구조가
중목구조로 설계된 대표적인 목조 건축물이다.
4. 결론
건축의 구조 선택에 있어서 안전성, 거주성, 내구성, 경제성, 구조적 아름다움을 고려해야 한다.
건축물은 인간 생활의 용기라는 측면에서 인간을 안전하게 수용해야 하며, 피난처로서의
기능인 방수, 단열, 채광, 통풍 등의 물리적 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건축물은
오랫동안 사용되므로 물리적, 역학적 성능이 잘 유지될 수 있어야 하며,
일정한 성능을 충족하는 가운데서 공기 단축, 시공비의 절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구조방식 자체가 건축의 표현이므로, 습식구조와 건식구조의 옳고 그름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특징 및 장단점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 적용하여야 하며,
때에 따라서는 습식과 건식을 함께 혼용하여 시공하기도 하여 합리적인 구조방식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1.03
  • 저작시기202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4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