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공작기계, 반도체 제조설비, 3차원 측정기등에 설치되는 방진장치의 선정조건은 무엇인가?
※ 기기별 방진대책
※ 기기별 방진대책
본문내용
스프링에서 제한되고 조정되며, 입상관을 타고 흐르는 유체의 소음을 흡수한다. - 특히 입상관 방진스프링은 건물의 구조체에 진동전달요인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주므로 소음과 진동이 제한된 지역에는 반드시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입상관에 사용하였을 시가지관(Branch Pipes)과의 연결부분에 미치는 응력을 고려하여 가지관 에는반드시 후렉시블 조인트(EPDM재질)로 연결되어야 한다.
- 입상관 스프링의 방진기 설치방법
입상관을 세우면서 임시받침대(U 볼트, 앵클템플레이트)로서 고정한다. 스프링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클램프를 설치(용접)한다. 클램프와 스프링은 사각 스틸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스크류볼트로 고정한다. 모든 입상관 방진장치가 a∼c에 의해 설치를 완료시킨다. 스프링의 설치시 변위량만큼 조절볼트를 조절한다. 모든 스프링방진기의 조절이 끝나면 임시받침대를 제거한다.
(그림 7) 입상관 방진
7) 기계실 배관 및 덕트
건물의 구조물과 직접연결이나 접속을 피하고 회전기계로부터 연결되는 배관이나 덕트,쳄버등을 방진스프링 행거로 진동을 흡수,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기계실 천장부위는 많은 장비에서 토출흡입되는 배관과 덕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별행가 및 찬넬받침을 이용한 공동행거방진을 고려한다.
(그림 8) 덕트 방진 (그림 9) 공통배관 행가방진
8) 엘리베이터 기계실
엘리베이터의 특성상 단독으로의 소음원이 아닌 건축물의 일부분으로써 소음진동을 발생시키며 건축물 이용자 또는 거주자에게 피해를 끼치고 있다. 특히 Motor의 진동값이 아주 크게 나타나므로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방진재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대책을 강구하여 고체음의 전달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① 충분한 두께의 Slab구조
② 바닥면의 건식 또는 습식 구조의 뜬 바닥구조(Floating Floor 구조)
(그림 10) 엘리베이터 기계실 방진
③ 기계 Frame 밑에 방진고무 설치(적층고무패드 또는 단일 방진고무 마운트)
9) 지진완충기
지각의 변동이나 외부에서 거대한 충격진동이 장비에 전달되었을때는 이 충격진동으로 인한 장비의 뒤틀림이나 쓰러짐 또는 배관연결의 파열이 일어난다. 이때 장비를 안정되게 하고 진동의 흡수를 하며 기계장비에 직접 연결하여 순간적, 연속적인 강한 충격이나 진동을 일차적으로 완충 흡수한다.
지진완충기가 잘못 장치되면 지진이 발생할 때 엄청난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는 재산과 인명에 커다란 손실이 됨은 자명한 일이다. 그리고 지진완충장치가 지진영향하의 공진상태에서 그 완충역할을 충분히 해낸다. 지진 완충기는 지진이 진행되는 동안이나 이후에도 장비의 내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그 자리에 장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11은 지진완충기의 전형적인 설치이며, 그림 12는 무게중심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앵카지지 보울트의 전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림 13은 완충기의 배열모형도를 나타낸다.
(그림 11) 지진완충기 (그림 12) 회전의 장력손실 (그림 13) 완충기의 배열모형도
- 입상관 스프링의 방진기 설치방법
입상관을 세우면서 임시받침대(U 볼트, 앵클템플레이트)로서 고정한다. 스프링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클램프를 설치(용접)한다. 클램프와 스프링은 사각 스틸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스크류볼트로 고정한다. 모든 입상관 방진장치가 a∼c에 의해 설치를 완료시킨다. 스프링의 설치시 변위량만큼 조절볼트를 조절한다. 모든 스프링방진기의 조절이 끝나면 임시받침대를 제거한다.
(그림 7) 입상관 방진
7) 기계실 배관 및 덕트
건물의 구조물과 직접연결이나 접속을 피하고 회전기계로부터 연결되는 배관이나 덕트,쳄버등을 방진스프링 행거로 진동을 흡수,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기계실 천장부위는 많은 장비에서 토출흡입되는 배관과 덕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별행가 및 찬넬받침을 이용한 공동행거방진을 고려한다.
(그림 8) 덕트 방진 (그림 9) 공통배관 행가방진
8) 엘리베이터 기계실
엘리베이터의 특성상 단독으로의 소음원이 아닌 건축물의 일부분으로써 소음진동을 발생시키며 건축물 이용자 또는 거주자에게 피해를 끼치고 있다. 특히 Motor의 진동값이 아주 크게 나타나므로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방진재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대책을 강구하여 고체음의 전달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① 충분한 두께의 Slab구조
② 바닥면의 건식 또는 습식 구조의 뜬 바닥구조(Floating Floor 구조)
(그림 10) 엘리베이터 기계실 방진
③ 기계 Frame 밑에 방진고무 설치(적층고무패드 또는 단일 방진고무 마운트)
9) 지진완충기
지각의 변동이나 외부에서 거대한 충격진동이 장비에 전달되었을때는 이 충격진동으로 인한 장비의 뒤틀림이나 쓰러짐 또는 배관연결의 파열이 일어난다. 이때 장비를 안정되게 하고 진동의 흡수를 하며 기계장비에 직접 연결하여 순간적, 연속적인 강한 충격이나 진동을 일차적으로 완충 흡수한다.
지진완충기가 잘못 장치되면 지진이 발생할 때 엄청난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는 재산과 인명에 커다란 손실이 됨은 자명한 일이다. 그리고 지진완충장치가 지진영향하의 공진상태에서 그 완충역할을 충분히 해낸다. 지진 완충기는 지진이 진행되는 동안이나 이후에도 장비의 내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그 자리에 장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11은 지진완충기의 전형적인 설치이며, 그림 12는 무게중심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앵카지지 보울트의 전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림 13은 완충기의 배열모형도를 나타낸다.
(그림 11) 지진완충기 (그림 12) 회전의 장력손실 (그림 13) 완충기의 배열모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