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베트남전쟁으로 미국과 한국 동향 변화
I. 서론
II. 베트남전쟁 원인과 과정
1. 베트남전쟁 발생 원인
2. 베트남전쟁 과정
III.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민간인 학살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 원인과 실익
2. 베트남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사례와 한국 정부의 태도
Ⅳ. 베트남전쟁 결과와 시사점
Ⅴ. 출처 및 참고문헌
I. 서론
II. 베트남전쟁 원인과 과정
1. 베트남전쟁 발생 원인
2. 베트남전쟁 과정
III.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민간인 학살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 원인과 실익
2. 베트남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사례와 한국 정부의 태도
Ⅳ. 베트남전쟁 결과와 시사점
Ⅴ.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쟁으로 캄보디아와 라오스는 공산화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인도차이나 전체가 공산주의로 물들었다. 미국은 더 이상의 공산화를 막기 위해서 베트남전쟁을 일으켰지만 2차대전과 달리 미국은 분명 군사적 우위를 장악하고도 베트남에서는 패했다. 이는 미국이 다른 나라에 군사적으로 개입할 때 무척 신경 쓸 정도로 베트남 증후군을 만들었다. 게다가 참전 군인들에 대한 미국 정부는 제대로 된 대우나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질병 치료도 최선을 다하지 않아 사회문제까지 될 정도로 안일하게 대처했다.
처음으로 국외 문제에 개입한 미국의 패배를 미국 정부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를 상기해 미국은 이후 국제문제에 매우 전략적으로 접근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미국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베트남에 개입했지만, 오히려 베트남 내에서 베트콩을 키운 빌미를 주었으며, 남베트남까지 공산화되었다. 또한, 전쟁의 참상이 그대로 전해지면서 미국 사회를 분열시켰다. 미국인들은 베트남에서의 폭력적인 학살에 놀라 전쟁에 참전한 군인들까지 배척하는 사회 여론이 확산했기에 민주주의 수호라는 베트남전쟁에 대한 명분은 사라졌다. 그리고 베트남전쟁으로 세계 곳곳에서 독립과 자유 운동이 시작되었다.
베트남전쟁은 미국과 한국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먼저 미국은 군사적 우위가 승리한다는 일반적 논리가 틀릴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로써 베트남전쟁으로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미국의 이미지는 실추되었고 경제적 타격도 심해 국제문제에서 미국은 외교적 해결의 중요성도 배웠다. 반면 한국은 미국과의 동맹입지 강화와 확실하게 경제적 이익을 보았다. 특히 한국전으로 안보 공백이 우려된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의 경제 지원으로 군사적 기술과 무기를 개발한 경험과 기회까지 얻게 되었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미국과 함께 세계 평화를 유지할 파트너로 입지를 굳힌 계기가 되었다.
Ⅴ. 출처 및 참고문헌
오홍국(2013).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군대발전 과정 분석 : 한미 안보협력과 연합 및 합동작전을 통한 한국군 발전”,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국내 박사 논문.
이종원(1999). “미국 외교정책에 있어 국가이익의 제한요인 연구 : 베트남 전쟁과 걸프전쟁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한충일(2016). “한국·미국·베트남의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 관련 내용 비교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이규봉, 『미안해요! 베트남』, 푸른역사, 2012년, 152쪽
권헌익, 유강은 역, 『학살, 그 이후』, Archive, 2012년, 62-67쪽
베트남 마을에 있는 한국군 \'증오비\', 이규봉, <오마이뉴스> 재인용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16141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https://ko.wikipedia.org/wiki/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하미마을 학살 사건
https://ko.wikipedia.org/wiki/하미 마을 학살 사건
국민일보 - 文 대통령 “한국-베트남 불행한 역사에 유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22206&code=11121200&cp=nv
경향신문 - [한·베트남 정상회담]김대중 “미안” 노무현 “마음 빚”…한국 대통령 세번째 ‘사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3232142005&code=910302#csidxbebcf8df54946ff8ddd2a82f8c7d10e
처음으로 국외 문제에 개입한 미국의 패배를 미국 정부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를 상기해 미국은 이후 국제문제에 매우 전략적으로 접근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미국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베트남에 개입했지만, 오히려 베트남 내에서 베트콩을 키운 빌미를 주었으며, 남베트남까지 공산화되었다. 또한, 전쟁의 참상이 그대로 전해지면서 미국 사회를 분열시켰다. 미국인들은 베트남에서의 폭력적인 학살에 놀라 전쟁에 참전한 군인들까지 배척하는 사회 여론이 확산했기에 민주주의 수호라는 베트남전쟁에 대한 명분은 사라졌다. 그리고 베트남전쟁으로 세계 곳곳에서 독립과 자유 운동이 시작되었다.
베트남전쟁은 미국과 한국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먼저 미국은 군사적 우위가 승리한다는 일반적 논리가 틀릴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로써 베트남전쟁으로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미국의 이미지는 실추되었고 경제적 타격도 심해 국제문제에서 미국은 외교적 해결의 중요성도 배웠다. 반면 한국은 미국과의 동맹입지 강화와 확실하게 경제적 이익을 보았다. 특히 한국전으로 안보 공백이 우려된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의 경제 지원으로 군사적 기술과 무기를 개발한 경험과 기회까지 얻게 되었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미국과 함께 세계 평화를 유지할 파트너로 입지를 굳힌 계기가 되었다.
Ⅴ. 출처 및 참고문헌
오홍국(2013).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군대발전 과정 분석 : 한미 안보협력과 연합 및 합동작전을 통한 한국군 발전”,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국내 박사 논문.
이종원(1999). “미국 외교정책에 있어 국가이익의 제한요인 연구 : 베트남 전쟁과 걸프전쟁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한충일(2016). “한국·미국·베트남의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 관련 내용 비교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이규봉, 『미안해요! 베트남』, 푸른역사, 2012년, 152쪽
권헌익, 유강은 역, 『학살, 그 이후』, Archive, 2012년, 62-67쪽
베트남 마을에 있는 한국군 \'증오비\', 이규봉, <오마이뉴스> 재인용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16141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https://ko.wikipedia.org/wiki/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하미마을 학살 사건
https://ko.wikipedia.org/wiki/하미 마을 학살 사건
국민일보 - 文 대통령 “한국-베트남 불행한 역사에 유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22206&code=11121200&cp=nv
경향신문 - [한·베트남 정상회담]김대중 “미안” 노무현 “마음 빚”…한국 대통령 세번째 ‘사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3232142005&code=910302#csidxbebcf8df54946ff8ddd2a82f8c7d10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