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제 2 장 이론적 배경
1. 인적자원관리
1) 인적자원관리의 정의
2) 인적자원관리의 기능 및 하위요인
2. 사회복지 교육훈련
1)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정의
2)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대상과 내용
제 3 장 담론
1.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개선방향
제 4 장 결 론
5.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제 2 장 이론적 배경
1. 인적자원관리
1) 인적자원관리의 정의
2) 인적자원관리의 기능 및 하위요인
2. 사회복지 교육훈련
1)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정의
2)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대상과 내용
제 3 장 담론
1.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개선방향
제 4 장 결 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훈련의 강사 전문성 확보와 강사 선정을 용이하도록 한다. 고용노동부 직업훈련교사 자격제도와 대한상공회의소 ‘산업체 전문강사풀’ 제도를 롤모델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교육훈련 시간과 관련하여 현행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시간은 타기관 종사자에 비해 매우 부족하다. 보수교육 및 직무교육 시간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법정 의무교육시간인 보수교육 8시간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의무교육시간인 보수교육과 함께 직무교육도 의무화하여 사회복지직 공무원 등 공무원 교육수준에 상응하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현행 공무원 의무교육 시간이 80시간 내외임을 감안할 때 최소한 연간 40시간 이상의 교육시간을 의무화하여야 한다. 또한 늘어난 교육시간에 걸맞은 교육과정 편성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함께 사회복지사 등 자격증 취득자 중 법정 의무대상이 아닌 자격 취득자에 대한 법정 의무교육 시간을 편성하여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자가 교육훈련에 관심과 책임을 갖고 역량을 개발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교육훈련 방식 개선으로는 사회복지사의 업무가 바쁘고, 사회복지시설의 규모 등 특성상 교육시간 확보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집합교육 이외에 토론세미나를 포함한 집합교육 확대하는 한편 쌍방향 형태의 인터넷 교육, 슈퍼비전 등 현장 교육과 실습 교육, 상시학습, 학습동아리 및 연구 교육을 확대하거나 개발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서 제시한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에서 이런 역할을 담당하고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훈련 방법 개선사항이 실질적으로 사회복지시설에 적용되기 위해
서는 이를 지침으로 규정화하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 4 장 결 론
사회복지조직의 HRM이 활성화 되기 위한 방안 중 교육훈련에 대하여 현황을 살펴보아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교육훈련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과 환경조성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교육훈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동기가 현재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동기 강화는 사회복지사의 직업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때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근로환경과 처우가 개선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후속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이장원. 2002. \"지역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관한연구\". 대진대학교 경영행정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채영. 2011. “사회복지기관의 인적자원관리 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주석진 (2010),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보수교육 실태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의 교육을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제7권 제1호,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김명점 (2014), 교육훈련이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교육훈련 방식 개선으로는 사회복지사의 업무가 바쁘고, 사회복지시설의 규모 등 특성상 교육시간 확보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집합교육 이외에 토론세미나를 포함한 집합교육 확대하는 한편 쌍방향 형태의 인터넷 교육, 슈퍼비전 등 현장 교육과 실습 교육, 상시학습, 학습동아리 및 연구 교육을 확대하거나 개발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서 제시한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에서 이런 역할을 담당하고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훈련 방법 개선사항이 실질적으로 사회복지시설에 적용되기 위해
서는 이를 지침으로 규정화하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 4 장 결 론
사회복지조직의 HRM이 활성화 되기 위한 방안 중 교육훈련에 대하여 현황을 살펴보아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교육훈련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과 환경조성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교육훈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동기가 현재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동기 강화는 사회복지사의 직업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때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근로환경과 처우가 개선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후속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이장원. 2002. \"지역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관한연구\". 대진대학교 경영행정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채영. 2011. “사회복지기관의 인적자원관리 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주석진 (2010),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보수교육 실태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의 교육을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제7권 제1호,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김명점 (2014), 교육훈련이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소개글